2006년 피지 쿠데타

덤프버전 :


2006년 피지 쿠데타
2006 fijian coup d'état
일시
2006년 12월 5일
장소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전역
원인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지속된 정치위기
유형
군사반란(군사 쿠데타)
교전국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정부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iji_cap_badge.png 피지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휘관
파일:피지 국기.svg 조세파 일로일로
파일:피지 국기.svg 레이세니아 카라세
파일:피지 국기.svg 에페리 나이라티카우
파일:피지 국기.svg 프랭크 바이니마라마
병력
불명불명
결과
쿠데타 성공
레이세니아 카라세총리와 그의 내각, 공무원 축출
프랭크 바이니마라마의 약속하에 조세파 일로일로대통령으로 복귀
피해규모
불명불명
1. 개요
2. 배경
3. 쿠데타
4. 그 이후



1. 개요[편집]


2006년에 피지에서 일어난 쿠데타다. 굉장히 큰 쿠데타였지만 대한민국에는 잘 안 알려졌다.


2. 배경[편집]


1997년, 피지 정부는 인도계 피지인과 피지 원주민을 구별하는 법을 낸다. 이 법은 통과되었고 1999년에 새 법 아래 선거가 치러진다. 이 선거에서 인도계 피지인인 마헨드라 차우두리가 이겼고 이에 반발해 조지 스페이트쿠데타를 일으키지만 진압한다. 그러나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정치위기가 지속된다.

3. 쿠데타[편집]


2006년 12월 5일 참다못한 프랭크 바이니마라마가 쿠데타를 일으켰고 프랭크 바이니마라마는 피지의 대형 신문사인 피지 타임즈에게 자신들이 쿠데타를 일으켰다는걸 발행하라고 했으나 피지 타임즈가 이걸 거부하자 도시의 군대는 전파를 방해했다.

4. 그 이후[편집]


프랭크 바이니마라마조세파 일로일로를 다시 대통령으로 복귀시켜줬고 2009년에는 헌법위기가 일어나 정국이 혼란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17:43:56에 나무위키 2006년 피지 쿠데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