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개인전/16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개인전




1. 개요
2. 9월 23일 16강 1경기
3. 9월 26일 16강 2경기
4. 10월 10일 16강 승자전
5. 10월 17일 16강 패자전
6. 10월 24일 16강 최종전
7. 16강 정리표



1. 개요[편집]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의 개인전 16강 경기를 기록해 둔 문서다. 각 조 1~4위는 승자전으로 가고 5~8위는 패자전에 진출한다. 승자전에서 1~4위는 결승 직행, 5~8위는 최종전으로 간다. 패자전에서는 1~4위는 최종전 진출, 5~8위는 탈락이다. 최종전에서는 1~4위 결승 진출, 5~8위는 탈락이다.
경기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
16강 1,2경기승자전 진출패자전 진출
승자전 결승 직행최종전 진출
패자전최종전 진출탈락(13~16위)
최종전 결승 진출탈락(9~12위)

모든 경기는 50포인트 선취제로, 1위가 50포인트를 획득하면 종료된다. 각 트랙 별 포인트 배분은 다음과 같다.
경기 종료시 동점자가 발생할 경우, 진출/탈락 여부에 상관이 없으면 공동 순위로 처리하며, 진출/탈락 여부가 갈리는 등수일 경우 트랙 10개 중 1개를 추첨하여 1대1 재경기를 실행한다.[1]
순위 1st2nd3rd4th5th6th7th8thRetire
포인트 10754310-1-5

첫 트랙은 카멜롯 펜드래건 캐슬로 고정이며, 다음 트랙은 직전 트랙의 1위가 남은 트랙들 중 선택한다. 한 번 사용되었던 트랙은 다시 선택할 수 없으며, 모든 트랙이 1번씩 사용된 후에는 리셋되어 다시 10개의 트랙에서 선택을 이어나간다.[2]

팀별 본선진출자(32강→16강)
팀명참가 인원출전 선수 명단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2명 / 3명박도현, 배성빈, 최영훈
파일:ROX-Gaming-logo.png3명 / 4명송용준, 이재혁, 한승철, 신종민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3명 / 3명김기수, 유영혁, 최윤서
전원 통과
파일:SANDBOX_Gaminglogo_square.png3명 / 3명박인수, 박현수, 정승하
전원 통과
파일:GC BUSAN E-SATS.png2명 / 5명전대웅, 김지민, 노준현, 유관영, 임재원
파일:MOTO.png0명 / 2명김현민, 이은서
파일:STARLIGHT.png1명 / 3명김정제, 정유민, 최민석
무소속2명 / 9명권승주, 김승래, 김주영, 우성민, 윤준혁,이정우,전진우, 정승민(2), 최태원
{{{-1 1.노란색은 조 1위 선수를,[3] 빨간색은 패자부활전 진출 선수를, 볼드체는 16강 진출 선수를, 취소선은 탈락을 의미함.[4]
2. 참가 인원은 '16강 진출자 / 본선 진출 선수(기권 제외)'로 표기함.
3. 프로팀은 진출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하되, 아마팀은 본선에 올라간 팀만 기재하였음.}}}

2. 9월 23일 16강 1경기[편집]


16강 1경기 승부예측
선수 유영혁 송용준 정승하 최윤서 최민석 김승래 김기수 한승철
32강 순위C조 1위A조 1위C조 2위A조 2위C조 3위패자부활전
2위
A조 3위패자부활전
4위
32강
평균 점수
7.715.785.144.784.713.894.673.78
승부예측 비율80%5%11%2%0%0%1%1%
추첨아이템코인 100개

  • 경기 전
아프리카 내전. 16강에 진출한 아프리카 선수들이 모두 여기에 포진했다.[5] 에이스 결정전 패배 이후 개인전에서 압도적인 모습을 보인 유영혁, 모두의 예측을 뒤집고 당당히 조 1위를 차지한 송용준, 연방 뿐만 아니라 팀전 리그에서도 폼이 좋은 최윤서, 개인전 결승리거 정승하, 김기수, 김승래에 이어서 16강 단골 멤버 한승철, 마지막으로 최근 유망주로 꼽히고 있는 최민석까지 모두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승자전 진출 유력 후보로는 현재 개인전에서만큼은 압도적인 유영혁, 꾸준하게 좋은 폼을 보이는 정승하, 주행 좋은 김기수, 32강 A조에서 1위를 차지한 송용준 정도가 예상된다.
여담으로 같은 팀 소속인 최윤서와 김기수가 붙어 앉는 관계로 6,7번 자리를 바꾸어 김기수가 청색이 되고 김승래가 녹색이 되었다.-그래서 김기수가 떨어졌다-

  • 경기 결과
경기트랙 유영혁 송용준 정승하 최윤서최민석 김승래 김기수 한승철
01카멜롯 펜드래건 캐슬1st 105th 33rd 54th 47th 02nd 76th 18th -1
02아이스 부서진 빙산4th 148th 22nd 123rd 97th 01st 175th 46th 0
03광산 위험한 제련소4th 182nd 91st 226th 105th 37th 173rd 98th -1
04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1st 287th 92nd 298th 93rd 85th 204th 136th 0
05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1st 383rd 142nd 367th 95th 116th 218th 124th 4
06대저택 은밀한 지하실8th 376th 155th 391st 192nd 187th 213rd 174th 8
07어비스 숨겨진 바닷길5th 403rd 202nd 468th 181st 287th 216th 184th 12
08아이스 아찔한 헬기 점프4th 443rd 256th 471st 285th 312nd 288th 177th 12
09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6th 451st 354th 518th 273rd 367th 285th 202nd 19
결과승자전
2위
승자전
4위
승자전
1위
패자전
6위
승자전
3위
패자전
5위
패자전
7위
패자전
8위

파일:kartrider_2020_2_ro16_1.png

  • 경기별 정리

  • 경기 후
1위 정승하는 초반 5경기 모두 단상에 오르는 미친 유지력을 보여주며 진출을 일찌감치 확정지었다. 후반에 뒷심이 약간 빠져서 경기가 길어지긴 했지만, 당당하게 1위로 승자전 진출에는 문제가 없었다. 유영혁 또한 1위를 세 번이나 하며 본인은 아직 건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기복이 있었지만 뒷심을 발휘한 최민석이 3위.[6] 송용준은 초반에는 사고에 자주 당하며 흔들리다가 마지막 트랙을 1위로 들어오며 본인의 각오대로 멋있게 4위로 승자전에 진출했다.
김승래와 최윤서는 각각 초반과 후반에 단상에 오르며 끝까지 순위싸움을 했으나 마지막 트랙에서 7,8위로 들어오면서 송용준에게 덜미를 잡히고 아쉽게 패자전으로 내려갔다. 김기수는 자리가 좋지 않았는지 상위권 싸움에서 잘 살아남는 듯 하다가 번번히 밀리며 포인트 관리에 실패하여 7등을 차지하고, 한승철은 매 경기마다 초반에 치고 나가다가 무리하면서 사고를 왕창 내고 다른 선수들에게 훼방을 놓는 졸전을 펼치며 이번 경기 폭탄의 장본인이 되었다.[7]


3. 9월 26일 16강 2경기[편집]


16강 2경기 승부예측
선수 박인수 이재혁 노준현 배성빈 우성민 박현수 최영훈 김지민
32강 순위B조 1위D조 1위B조 2위D조 2위B조 3위D조 3위패자부활전
1위
패자부활전
3위[8]
32강
평균 점수
6.446.335.565.564.784.334.833.94
승부예측 비율80%10%1%8%0%0%2%0%
추첨아이템티타늄 기어 2개


  • 경기 전
현재 개인전, 팀전 가릴 것 없이 극강의 폼을 보여주고 있는 박인수와 이재혁, 신흥 유망주 노준현, 현재 분위기가 좋은 배성빈, 개인전에 약하다는 평가를 뒤집는 발판을 마련한 우성민, 그리고 다시 한 번 폼을 끌어 올리고 있는 박현수에 최영훈은 패자부활전에서 1위를 차지했음에도 난이도가 더 높은 16강 2경기를 선택했고,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는 김지민까지 오게 되었다. 16강 1경기보다 난이도 높은 만큼 여기는 피 터지는 싸움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승자전 진출 유력 후보로는 말이 필요 없는 박인수, 이재혁에 32강 D조에서 이재혁을 압박한 배성빈, 마지막으로 32강 B조에서 50점을 채웠던 노준현, 혹은 패자부활전 1위 최영훈 정도가 예상된다.
그리고 이번 시즌 내의 블루라이더 전원이 8개 시드 중 유일하게 아직까지도 상위라운드 진출 실패 및 광탈의 쓴맛을 보았는데 최영훈이가 과연 어떤 모습을 보이느냐에 따라 블루라이더로써의 첫 상위라운드 진출 성공여부가 좌우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 경기 결과
경기트랙 박인수 이재혁 노준현 배성빈 우성민 박현수 최영훈 김지민
01카멜롯 펜드래건 캐슬2nd 71st 104th 47th 08th -16th 15th 33rd 5
02아이스 아찔한 헬기 점프4th 111st 203rd 95th 38th -22nd 87th 36th 6
03[R]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3rd 165th 232nd 168th 26th -11st 187th 34th 10
04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4th 203rd 282nd 237th 21st 95th 218th 26th 11
05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1st 308th 274th 277th 25th 126th 222nd 93rd 16
06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1st 404th 312nd 343rd 75th 157th 226th 108th 15
07아이스 부서진 빙산2nd 471st 414th 387th 78th 145th 253rd 156th 16
08광산 위험한 제련소5th 502nd 488th 374th 117th 141st 356th 163rd 21
결과승자전
1위
승자전
2위
승자전
3위
패자전
8위
패자전
7위
승자전
4위
패자전
6위
패자전
5위

파일:kartrider_2020_2_ro16_2.png

  • 경기별 정리

  • 경기 후
박인수는 마지막 트랙을 제외하고 모든 트랙에서 4위 이상을 기록하며 무난하게 1위를 확정지었으나 마지막 트랙의 후반부에서 치명적인 실수로 1위로 들어가면서 경기를 마무리지을 수 있었던 기회를 날리며 아쉽게 마무리했고, 이재혁은 초반 2연속으로 1위를 했음에도 중반에 헤메다 후반부에 다시 정신을 차리며 2위를 기록, 노준현은 무난하게 연금을 쌓으며 3위, 박현수는 중하위권으로 처진 적도 많았으나 1위 2번, 2위 1번을 기록하면서 포인트를 쌓아 승자전에 진출했다. 중반부에 일찌감치 4위와 5위의 점수차가 벌어지며 윤곽이 보였던 경기. 5등을 차지한 김지민은 단상에 중간중간 오른거 빼고는 큰 활약을 하지 못해 처졌고 6등 최영훈도 연금메타를 시전했으나 스위퍼 한계 극복에는 실패해 아쉬운 경기력을 선보였다. 최영훈도 피해가지 못한 블루의 저주 7등 우성민은 1위 한번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면서 점수 관리에 실패했고 8등 배성빈은 하위권에서만 맴돌며 데뷔 이후의 최악의 부진 플레이를 펼쳤다.반응 레전드반응이 아무리 안좋아도! 7경기에 7점이 뭐냐?
여담으로 1경기에 이어서 1~3번 시드 선수들이 모두 승자전 진출에 성공했고 5,6번 시드 역시 한번씩 상위라운드 진출에 성공했다. 반면 4,7,8번 시드 선수들은 패자전으로 강등했으며 특히 7번 블루라이더들은 이번 시즌 내에서 아직까지 단 1명도 상위라운드 진출자가 없다. 블루의 징크스

덤으로 박인수가 5위를 기록하고도 1위로 마무리한 덕에 단상에 올라가지 못하고도 먼저 50점을 채워서 1위로 끝난 사례가 7경기만에 3번(송용준 4위, 정승하 4위, 박인수 5위)이나 나왔다.

4. 10월 10일 16강 승자전[편집]


16강 승자전 승부예측
선수박인수정승하이재혁유영혁노준현박현수최민석송용준
16강 순위2경기 1위1경기 1위2경기 2위1경기 2위2경기 3위2경기 4위1경기 3위1경기 4위
16강
평균 점수
6.255.676.005.004.634.384.003.89
승부예측 비율81%1%8%8%1%0%0%0%
추첨아이템300 코인

사용 카트바디
선수박인수정승하이재혁유영혁노준현박현수최민석송용준
카트바디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

  • 경기 전
샌드박스 선수 모두 승자전에 올라가면서 샌드박스 내전이 성사되었다. 같은 팀 소속의 박인수와 정승하가 옆에 앉는 관계로 정승하와 이재혁이 자리 체인지, 정승하가 흑색, 이재혁이 적색에 배정되었다.
이번 승자전 역시 치열할 양상을 띨 것으로 전망되는데, 명실상부 개인전의 달인 유영혁, 박인수, 이재혁과 작년 결승리거 정승하, 송용준, 부드러운 주행을 선보이는 박현수, 신흥 유망주로 손꼽히는 노준현, 최민석까지 모두 한자리에 모였다. 때문에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여 그 결과는 예상이 될 것 같으면서도 전혀 예상치 못한 반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결승 직행전이 될 듯하다.

  • 경기 결과
경기트랙 박인수 정승하 이재혁 유영혁 노준현박현수 최민석 송용준
01카멜롯 펜드래건 캐슬1st 106th 12nd 75th 37th 04th 48th -13rd 5
02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5th 134th 56th 87th 31st 102nd 118th -23rd 10
03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1st 238th 45th 112nd 106th 113rd 164th 27th 10
04[R]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2nd 303rd 96th 125th 134th 151st 268th 17th 10
05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3rd 351st 194th 166th 148th 142nd 337th 15th 13
06아이스 부서진 빙산4th 396th 201st 262nd 213rd 195th 368th 07th 13
07아이스 아찔한 헬기 점프5th 423rd 251st 368th 206th 202nd 437th 04th 17
08어비스 숨겨진 바닷길2nd 493rd 308th 354th 246th 215th 467th 01st 27
09대저택 은밀한 지하실1st 596th 314th 398th 232nd 283rd 517th 05th 30
결과결승전
1위
결승전
4위
결승전
3위
최종전
7위
최종전
6위
결승전
2위
최종전
8위
최종전
5위

파일:kartrider_2020_2_ro16_winners.png

  • 경기별 정리

  • 경기 후

승자전 속에서도 박인수와 박현수가 초반에 무서운 속도로 점수를 쌓아 중반부에 이미 1,2위 고정을 해버렸지만, 쟁쟁한 선수들이 몰려있는 승자전인 만큼 3,4위전은 경기가 끝나기 직전까지도 5명의 선수들이 치열하게 싸우며 상황을 전혀 알수 없는 혼전을 만들어냈다. 결과적으로 이재혁이 포인트를 쌓고 정승하가 4위를 지켜내었고 샌드박스 선수들 전원이 결승전 직행에 성공하며 결승에서도 샌박내전을 보여주게 되었다. 실격된 김승태는...

박인수는 한쪽 눈의 상태가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3트랙만에 23점을 가져간 것을 시작으로 32강 A조의 송용준이 연상되는 연금 플레이를 하며 1위를 확정지었다. 중후반에 주춤한 사이 박현수가 1위 쟁탈을 시도했지만 대저택에서 1위를 사수하며 옐로우 라이더를 받아가는 데 성공했다.

박현수는 지난 시즌에서의 광탈 이후 이를 갈고 준비했는지 경기 내내 3위와 압도적인 차이로 2위를 지켰고, 8트랙에서는 아예 박인수를 제쳐 1위로 경기를 끝낼 기회를 잡았던 선수였다. 바닷길에서 쳐진게 아쉽긴 했지만 박인수와 마찬가지로 모든 트랙을 5위 이내로 들어오며 성공적으로 승자전을 마무리했다.또한 결승전 첫 진출이기도 하다.

이재혁은 5트랙까지도 점수를 많이 얻지 못해 최종전에 떨어질 위험까지 있었는데, 6트랙부터는 정신을 차렸는지 자신있어하는 트랙에서는 1위 두번을 차지하며 3위로 결승 직행에 성공했다. 점수를 쌓는 과정에서 8등을 하는 등 기복이 보였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지만 그래도 처음으로 최종전에 가지 않고 결승 직행에 성공했다.

정승하 역시 같은 팀의 두 맴버들이 상위권을 독점하고 있을 때 점수를 거의 쌓지 못했으나, 3위 3번과 1위 1번을 가져가며 결국 혼전 속에서 4위를 겨우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송용준은 초반에 3위 2회를 한 것을 제외하고는 크게 두각을 보이지 못했다가 8트랙을 1위로 들어가며 직행을 노렸으나, 대저택에서 이를 뒤집지 못하면서 1점 차이로 정말 아깝게 최종전으로 떨어지고 말았으며, 매번 좋은 모습을 보여왔던 노준현과 유영혁 역시 중간중간 상위권에 들어갔으나 상위권 선수들에게 밀리는 바람에 떨어지고 말았다. 최민석은 아예 4위 한번을 제외하면 8위 4번, 7위 3번을 하며 완벽하게 말렸고 결국 0점으로 승자전을 마무리하고 말았다.

여담으로 최민석이 0점으로 최종전에 가며 이번에도 블루라이더는 상위 라운드 직행에 실패했다.

5. 10월 17일 16강 패자전[편집]


16강 패자전 승부예측
선수김승래최윤서김지민최영훈한승철김기수우성민배성빈
16강 순위1조 5위1조 6위2조 5위2조 6위1조 8위1조 7위2조 7위2조 8위
16강
평균 점수
3.113.002.632.002.112.221.751.38
승부예측 비율1%8%1%6%3%3%1%77%
추첨아이템파츠 조각 300개

사용 카트바디
선수김승래최윤서김지민최영훈한승철김기수우성민배성빈
카트바디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
  • 경기 전
푸른색 부스의 짝수 시드 2,4,6,8번은 한화생명과 아프리카 선수들만 붙어서 각각 2명씩 있기 때문에 최영훈과 김기수가 자리 체인지, 김기수가 녹색, 최영훈이 백색에 배정되었다. 이번에도 청색 시드의 저주에 우성민마저 걸려 버릴 지에 대한 것도 눈여겨볼 만 하나 사실 우성민은 개인전 16강 진출 자체가 처음이다. 전성기에도 개인전은 약점으로 꼽혔던 선수라 생존 가능성이 탈락 가능성보다 낮긴 한 상황이라 또다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9]

  • 경기 결과
경기트랙 김승래 최윤서 김지민 최영훈 한승철 김기수 우성민 배성빈
01카멜롯 펜드래건 캐슬7th 03rd 56th 15th 38th -14th 41st 102nd 7
02어비스 숨겨진 바닷길1st 102nd 126th 23rd 85th 27th 44th 148th 6
03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7th 102nd 191st 128th 73rd 75th 74th 186th 7
04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8th 94th 237th 122nd 143rd 121st 175th 216th 8
05[R]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3rd 146th 244th 165th 178th 117th 172nd 281st 18
06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7th 148th 232nd 231st 275th 144th 213rd 336th 19
07광산 위험한 제련소3rd 191st 334th 278th 267th 146th 222nd 405th 22
08아이스 아찔한 헬기 점프2nd 266th 341st 373rd 315th 177th 228th 394th 26
09대저택 은밀한 지하실8th 253rd 395th 401st 412nd 247th 226th 404th 30
10아이스 부서진 빙산3rd 302nd 468th 394th 451st 345th 257th 406th 31
11어비스 숨겨진 바닷길8th 291st 563rd 446th 467th 342nd 324th 445th 34
결과탈락
8위
최종전
1위
최종전
3위
최종전
2위
탈락
5위
탈락
7위
최종전
3위
탈락
5위

파일:kartrider_2020_2_ro16_losers.png

  • 경기별 정리

  • 경기 후
정말 반전의 반전을 거듭하여 손에 땀을 쥐게 한 역대급으로 치열한 패자전 경기였다.
최윤서는 이번 시즌에서 프릭스의 에이스 급으로 팍 올라간 폼을 그대로 유지하더니, 후반에 1위 2번과 2위 2번을 먹으며 1위로 최종전에 진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영훈은 중위권 정도에서 버티다 동이문과 대은지에서 1위를 하며 40점대에 올라오는 데 성공했고, 우성민은 개인전이 약점이라는 평가가 우습다는 듯이 초반 혼전 속에서 엄청난 독주를 보여주며 8경기동안 이어져 온 블루라이더의 징크스를 깨부쉈다.[10] 비록 40점을 먹은 상황에서 뒷걸음질 치더니 40점 언저리를 3경기 동안 벗어나지 못한건 아쉬웠지만 전체적으로 파워풀한 경기력을 선보여 안정적으로 3위를 차지했고 멋있게 최종전 오렌지 라이더를 따냈다. 김지민은 우성민과 반대로 초반에 부진하다 중후반에 살아나 공동 3위로서 최종전 블루라이더를 따내는데 성공했다.
한승철은 3위 2번만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 하위권에 머물며 8번째 트랙까지만 해도 꼴찌였지만 9, 10번째 트랙에서 1위, 2위를 한 번씩 하며 순식간에 4위와 격차를 5점까지 줄여 최종전 막차를 타나 했으나 끝내 11번째 트랙에서 밀려서 탈락했으며, 김기수는 상위권을 찍다가도 버티지 못하고 밀리기만 했으며 다시 살아난 듯 했지만 때는 이미 늦고 말았다. 김승래는 옐로우 라이더 답지 않게 포디움 5번과 7위 3번, 8위 3번이라는 극단적인 기복을 보여주고 꼴찌로 떨어졌으며, 배성빈은 점수 자체는 최종 5등이나 역로비 트랙 레코드+1등 고정을 제외하고는 아예 이렇다 할 모습을 거의 보여주지 못하다가 탈락했다.

이번 경기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 승자전의 독보적인 라인업에 비해서는 주목도가 적을 수 있었으나, 패자전에서 오히려 확실한 진출권이 확보되지 않은 채로 엄청난 사고의 향연이 벌어지며 10경기에서도 끝내지 못하는 혼전이 나왔고,[11] 이 과정에서 모든 선수들이 1위와 2위를 한 번씩 하고 김기수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이 8위도 최소 한 번씩 찍어보는 개판이 지속되었다. 후반부터는 그나마 안정적으로 점수를 먹던 우성민까지 헤매더니 40점대 선수가 3명이 되는 총체적 난국이 만들어졌으며, 결국 최영훈이 막차를 확정지은 뒤 2위까지 올라가는 사이에 최윤서가 바닷길을 1위로 완주, 현 시즌 최악의 난전을 종료시켰다. 그만큼 이번 패자전이 이번 시즌에서도, 나아가 역대 패자전 경기 중에서도 최악의 죽음의 조나 다름없었던 셈.
  • 상술했듯 우성민이 드디어 8경기동안 이어진 청색 저주를 격파하고 처음으로 16강 최종전으로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


6. 10월 24일 16강 최종전[편집]


16강 최종전 승부예측
선수송용준노준현유영혁최민석최윤서최영훈김지민우성민
승자·패자전 순위승자전 5위승자전 6위승자전 7위승자전 8위패자전 1위패자전 2위패자전 3위패자전 4위
16강 평균점수3.614.673.822.004.153.263.423.05
승부예측 비율3%5%71%0%10%9%0%1%
추첨아이템티타늄 기어 2개

사용 카트바디
선수송용준노준현유영혁최민석최윤서최영훈김지민우성민
카트바디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파라곤 X

  • 경기 전
김지민과 우성민은 동점이지만, 마지막 경기 순위에서 밀린 우성민이 오렌지 라이더에 배정되었다. 같은 팀원 옆자리에 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영훈과 최윤서가 자리를 바꿔서 앉을 가능성도 있었다.
11차 리그부터 계속 이어진 패자전에서 올라온 선수가 2명 이하로 결승전에 올라가는 공식을 유지할지에 대해 관심이 모인다.[12]

  • 경기 결과
경기트랙송용준노준현 유영혁 최민석최윤서 최영훈 김지민 우성민
01카멜롯 펜드래건 캐슬6th 14th 43rd 52nd 77th 01st 108th -15th 3
02광산 위험한 제련소2nd 87th 43rd 108th 64th 45th 131st 96th 4
03황금문명 오르에트 황금 좌표3rd 137th 48th 92nd 135th 74th 171st 196th 5
04[R]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3rd 187th 42nd 165th 166th 84th 211st 298th 4
05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3rd 232nd 111st 265th 197th 84th 256th 308th 3
06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6th 243rd 165th 297th 191st 182nd 324th 348th 2
07어비스 숨겨진 바닷길1st 347th 165th 324th 232nd 256th 333rd 398th 1
08아이스 부서진 빙산5th 374th 201st 423rd 287th 252nd 406th 40Retire -4
09대저택 은밀한 지하실4th 413rd 251st 525th 317th 256th 418th 392nd 3
결과결승전
2위
탈락
6위
결승전
1위
탈락
5위
탈락
6위
결승전
2위
결승전
4위
탈락
8위

파일:kartrider_2020_2_ro16_final.png

  • 경기별 정리

  • 경기 후

겉보기에는 패자전에 이은 엄청난 난전으로 보였으나, 결국 20점을 처음 뚫은 4명이 경기 끝까지 순위를 수성하고 하위권과의 격차를 벌리며 결승 티켓을 얻게 되었다. 사실상 마지막에서 두번째 트랙 즈음에 이미 격차가 벌어지면서 사실상 상위 4명이 진출로 보이는 점수였다.

1위인 유영혁은 초반에는 다소 부진하여 팀전 탈락 당시처럼 부진한 것인가라는 의문을 주었으나. 이후 미친 듯이 단상에 올라가기 시작하면서 팀전에서 부진하며 탈락한 것이 거의 잊혀질 정도로 32강에서의 모습을 재현, 마지막 트랙 1위로 퍼플라이더를 따냈다. 최영훈은 단상에 오른 횟수는 많지 않으나, 첫 트랙 1위 후 한 번도 7위, 8위를 기록하지 않는 연금메타로, 김지민은 초반 3연속 1등을 기록하고 이후 다소 뒷심을 빠졌으나 안정적으로 점수를 먹으면서 경기 내내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그간 가지 못했던 결승에 처음으로 올라가게 되었고[13], 송용준은 그답게 무리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순위를 얻으려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1년 반만에 결승행 막차를 탔다.

반면 최윤서와 노준현은 유영혁과 반대로 팀전에서 매우 뛰어난 폼을 보여줬음에도 초반부터 끝까지 말렸고, 최민석은 초반에 잘 가다가 중반부터 점수를 거의 못 먹고 떨어졌다. 우성민은 아예 부빙에서 리타이어하는 수모를 겪으며 부진했고, 결국 대저택에서 2위로 들어가며 점수가 음수로 떨어지지 않는 것에 만족해야만 했다.

이번 경기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 패자전에서 올라온 선수가 2명 이하로 결승전에 올라가는 공식이 통했다(최영훈, 김지민). 그리고 이 둘은 공교롭게도 하위권 시드(6,7번) 각각 초록, 파랑 시드이며 20 시즌 1 개인전 C조에서 3,4위를 차지한 김승태, 이준용을 연상하게 한다.
  • 지난 패부 경기에 이어 탈락자 2명이 공동 순위를 차지하는 사례가 나왔다.(패부 공동 17위 박도현, 신종민 / 최종전 공동 10위 노준현, 최윤서)
  • 붉은색 부스의 3번 빨강 유영혁, 5번 보라 최윤서가 같은 팀으로써 서로 옆자리에 앉아 있기에 자리 이동이 예상되었으나 이번 경기에서는 시드 컬러는 그대로 유지하되 자리만 바꾸어 7번 파랑 김지민이 유영혁과 최윤서 그 사이에 앉게 되었다.
  • 지난 D조 경기에서 권승주가 리타이어를 한 것에 이어 우성민 역시 부빙에서 또 한번 리타를 겪는 치욕을 당했다.

7. 16강 정리표[편집]


16강 정리표
승자전 생존최종전 생존최종전 탈락패자전 탈락
박인수
박현수
이재혁
정승하
유영혁
송용준
최영훈
김지민
최민석
노준현
최윤서
우성민
배성빈
한승철
김기수
김승래

순위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
1경기정승하유영혁최민석송용준김승래최윤서김기수한승철
2경기박인수이재혁노준현박현수김지민최영훈우성민배성빈
승자전박인수박현수이재혁정승하송용준노준현유영혁최민석
패자전최윤서최영훈김지민 우성민배성빈 한승철김기수김승래
최종전유영혁송용준 최영훈김지민최민석노준현 최윤서우성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8:51:48에 나무위키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개인전/16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진출 여부는 상관없지만 승부예측 및 인터뷰가 달린 1위 등의 경우 마지막 트랙에서의 순위를 우선시한다.[2] 트랙 목록은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규정을 참고[3] 패자부활전 제외[4] 각 조 경기가 끝나는 대로 취소선을 그어줄 것.[5] 게다가 정승하는 지난 시즌 아프리카 소속이었다.[6] 여담으로 32강 C조에서 16강으로 직행한 유영혁, 정승하, 최민석 3명이 전부 승자전으로 가는데 성공했다.[7] 여러 삽킬을 냈지만 가장 결정적인 장면은 바닷길 두 번째 톱니바퀴에서의 삽킬로 만들어낸 대환장파티(...)[8] 패자부활전에서 김승래와 같이 공동 2위를 차지했지만, 마지막 트랙에서 김승래보다 늦게 들어오면서 후순위로 밀렸다.[9] 실제로 경기 시작 전 우성민을 소개할때 블루라이더의 징크스를 오죽했으면 해설진들 입에서 언급될 정도였다.[10] 정작 신인들을 제외하면 우성민이 블루라이더 중에서 가장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선수로 꼽히고 있었다는 것이 아이러니.[11] 정규 리그에서 한 트랙을 모두 사용하고도 50점을 채우지 못한 것은 이번이 3번째이다. 첫번째 케이스는 SK1682 카트라이더 5차리그 3라운드 쿼터파이널 C,D조에서 11트랙을 돌았는데도 불구하고 1위인 이재성이 48포인트로 경기가 안끝났다. 결국 12번째 트랙인 사막 빙글빙글 공사장에서 이재성이 1위로 58포인트를 얻었고 2위 정선호(54점)와 3위 김선일(52점) 3명이 50포인트를 넘기며 경기 종료. 이는 50포인트 방식의 최다 트랙의 기록이기도 하다. 두번째 케이스는 듀얼 레이스 3 승자전에서 문호준이 11트랙 끝에 50점을 간신히 채워 1위로 올라가고 그 아래로 이준성, 유영혁, 김승태가 결승에 직행한 것. 물론 두번째 케이스는 승자전에서 벌어진 것이고, 여기는 지면 바로 탈락하는 단두대 매치인 패자전에서 벌어진 난전이라 체감이 많이 다르다.[12] 항상 1명 아니면 2명만 올라갔다. 3명 이상 올라간 적도 없으며 전원이 탈락한 적도 없다. 참고로 1차리그부터 쭉 유지된 공식으로 라운드파이널에 진출한 적이 없는 결승 진출자가 항상 나왔다는 말이 있는데 이 서술은 틀렸다.[13] 특히 최영훈은 2014년 데뷔 이후로 6년만에 개인전 결승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