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대비 왕씨

덤프버전 :

고려국 국대비
국대비 왕씨
존호
자예정명익성사제혜덕삼한국대비
(慈睿貞明翼聖思齊惠德三韓國大妃)
작위
복녕궁주(福寧宮主)
본관
개성 왕씨
부군
왕균
관저
정명전(貞明殿)
생몰년도
?년 1월 17일 ~ ?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1. 개요[편집]


고려의 마지막 국왕 공양왕의 모비(母妃).


2. 생애[편집]


연덕부원대군과 조씨의 딸로 순화후 왕유(王瑈, ? ~ 1360)의 장남 정원부원군 왕균[1]과 결혼해 1345년 왕요를, 그 뒤에 왕우를 낳는다. 1389년 장남 왕요가 이성계를 비롯한 아홉 공신에 의해 왕으로 옹립되니 이듬해인 1390년 4월 국대비의 존호를 받고 관저는 정명전(貞明殿)이라 불린다. 1391년 국대비 생일에 대사면이 이뤄져 이숭인, 하륜, 권근 등이 사면돼 수도 남경 밖에서 자유롭개 살 수 있게 된다. 공양왕이 남경에서 개경으로 환도해 왕씨도 개경으로 돌아온다.

이 해 7월에 왕대비 안씨와 국대비의 3대 조상에게 시호가 추증된다. 왕대비는 3대조까지 추증됐는데, 국대비 왕씨는 증조부모가 충렬왕정화궁주라서 조부모까지 2대에게만 추증된다. 11월에 이첨이 올린 상소문에 따르면 왕씨는 아직 강건하고 병이 없었다. 1392년에도 국대비 생일에 사면이 있었고, 3월에 왕씨의 손자 세자 왕석명나라에서 돌아올 예정일이 잡혀, 공양왕으로부터 무사 귀국을 기원하는 후한 하사품을 받는다. 고려사에서는 이후 언급이 전혀 없고,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왕대비 안씨에 대한 언급은 있지만 국대비의 기록은 찾을 수 없다. 이하는 정황 논리지만 고려의 실질적인 마지막 군주는 어디까지나 공민왕이라는 조선조의 역사관[2]과 왕조 교체기의 특수성이 겹쳐 존재 자체가 붕 떠 버린 모양이다.


3. 가족관계[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9:38:16에 나무위키 국대비 왕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촌수로 따지면 15촌이다.[2] 공민왕 이후의 고려 왕으로는 재위 순서대로 우왕, 창왕, 공양왕이 있는데, 조선조 역사관에 의하면 고려의 우왕, 창왕은 신돈의 자손이라 하여 왕으로 대우받을 수 없다. 공양왕은 실권이 없는 괴뢰였기에 부정하기도 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