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천

덤프버전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의 자연지리

무등산 · 금당산 · 매곡산 · 백석산 · 분적산 · 삼각산 · 양림산 · 어등산 · 용진산 · 운암산 · 제석산 · 짚봉산 · 태봉산
하천
영산강 · 황룡강 · 광주천 · 극락천 · 대촌천 · 동계천 · 서방천 · 서창천 · 용봉천 · 증심천 · 풍영정천
호수
광주호 · 쌍암제 · 양산제 · 운천저수지 · 전평제 · 제4수원지 · 풍암저수지 · 하남저수지 · 경양방죽
기타
광주 분지 · 나주 평야
기울임체는 복개된 하천, 취소선은 사라진 곳을 의미한다.


극락천(군분천)
極樂川(軍盆川)

발원지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 한태골
(광주남부경찰서 인근)
합류부
광주광역시 서구 유촌동, 광주천
길이
9㎞[출처1]
복개연도
1994년[출처2]
1. 개요
2. 복개 이전
2.1. 유로
2.2. 광복천
2.3. 시설물[1]
3. 복개 이후
4. 기타



1. 개요[편집]


1960년대 극락천 유로와 여러 지류들.
극락천은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 한태골에서 발원하여 서구 유촌동에서 광주천과 합류하는 복개천이다. 다른 이름인 군분천은 조선시대에 현 광천동, 치평동, 쌍촌동, 화정동 일대를 관할했던 군분면(軍盆面)과 관련 있다. 복개도로인 군분로의 이름도 이 하천을 복개한 것에서 유래했다.


2. 복개 이전[편집]



2.1. 유로[편집]


제석산 한태골에서 발원했다. 한태골은 봉선동용산동을 잇는 샛길인 아리랑고개(현 봉선배수지) 북서쪽에 있으며, 광주남부경찰서 인근이다. 한태골에서 흘러나온 물은 유안저수지에 모였다. 제석산 구름다리가 있는 곳에서 다른 지류가 발원했으며 조봉저수지로 이어졌다(저수지에 관해서는 2.3문단 참조). 또 다른 지류인 불로천은 대각사가 있는 골짜기인 부처골에서 발원했다.[출처1]

봉선동 광주은행사거리와 삼익사거리 사이에서 제석산에서 흘러나오는 모든 지류가 합쳐져 진다리로 흘렀다. 진다리(또는 진들)는 백운광장 일대의 저지대를 말한다. 지대가 낮은 것과 더불어 극락천 물 때문에 땅이 질퍽했고, 여기에서 질퍽한 들이라는 뜻의 진들, 진다리라는 지명이 유래했다.[출처3] 진다리를 지나는 물길은 서쪽으로 흐르다가 광복천과 합류했고, 이후 수박등(월산근린공원)과 짚봉산 사이를 지나며 북서쪽으로 흘렀다. 광천동에 도달한 후에는 현 광주종합버스터미널 위치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광주천으로 합류했다.


2.2. 광복천[편집]


1960년대, 광복천(왼쪽), 극락천 상류(오른쪽)
진월동, 주월동금당산 기슭에서 나오는 지류이다. 경전선 철길(현 푸른길공원)과 서문대로 사이를 북쪽으로 흐르다가 현 무등시장 근방에서 극락천에 합류했다.


2.3. 시설물[2][편집]


상류에서 하류 순서
  • 유안저수지: 현 유안근린공원 위치. 저수지 부지가 쓰레기 매립장으로 쓰였다가 현재는 공원이 되었다.
  • 조봉저수지: 현 제일풍경채, 구 남구청 위치.
  • 벽도교: 백운동주월동을 이었던 다리. 현 백운광장 북쪽, 백운요양병원 앞 횡단보도 자리에 있었다. 조선시대부터 돌다리가 있었고 1910년대에 광목간도로가 개설되면서 시멘트다리로 바뀌었다. 1970년대에 주변 도시개발로 사라졌다.[출처4] 근처에 벽도역이 있었다.
  • 건지보(乾地洑): 지금의 주월동과 백운동 경계에 있었던 보이다. 이 근처 들을 '건지봇들'이라고 불렀다고 한다.[출처1]
  • 연화지(蓮花池): 짚봉산 북쪽 염주마을에 있었던 저수지이다. 주월초교 버스정류장 뒤쪽 이면도로[3]가 저수지 제방이었다. 저수지가 매립되고 제방이 도로로 바뀌었지만, 제방 위에 서 있던 나무들 중 한 그루가 지금도 그 자리에 남아 있다.[4]
  • 보성보(寶城洑): 지금의 화정동농성동 경계에 있었던 보이다. 보성 군수를 지냈던 정화(鄭和)가 축조한 데에서 이름이 유래했다.[출처5]
  • 군분교: 상무대로군분로가 만나는 지점에 있었다.
  • 화정교: 내방로군분2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었다.
  • 화정1교: 군분2로와 군분2로60번길이 만나는 지점에 있었다.
  • 전진교(全進橋): 현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광장 앞 도로 위치.
  • 쌍촌교
  • 계수교: 현 계수교차로 위치.
광주천 합류


3. 복개 이후[편집]


1970년대에 군분로 구간이 직강화된 후 1994년에 전 구간이 복개되었다. 현재는 군분로-무진대로 밑을 지난다. 무진교 밑에서 광주천과 만나기 직전에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진다.


4. 기타[편집]


법정동인 주월동, 월산동, 화정동 사이의 경계가 골목길을 따라 여러 번 구부러지는 것은 극락천의 옛 경로 때문으로 보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0:56:39에 나무위키 극락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출처1] A B C 광주광역시 남구문화원. (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출처2] 출처[1] 저수지와 다리의 이름·위치는 국토정보맵 구지도를 참조하였다.[출처3] 광주드림 기사 참조[2] 저수지와 다리의 이름·위치는 국토정보맵 구지도를 참조하였다.[출처4]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참고로, 출처에는 '2010년대'에 광주-목포간 도로가 개설되었다고 적혀 있다. '1910년대'를 잘못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3] 도로명주소로 화운로 23번길 4-1 → 4-16에 해당한다.[4] 화운로23번길 초입에 카페가 하나 있는데, 카페 바로 앞에 있는 상당히 큰 팽나무이다.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출처5] 서구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