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강

덤프버전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 한반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시아 ]
아시아
중국
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뱅완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 강 · 일리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유럽 ]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 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오세아니아 · 남극 ]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의 자연지리

무등산 · 금당산 · 매곡산 · 백석산 · 분적산 · 삼각산 · 양림산 · 어등산 · 용진산 · 운암산 · 제석산 · 짚봉산 · 태봉산
하천
영산강 · 황룡강 · 광주천 · 극락천 · 대촌천 · 동계천 · 서방천 · 서창천 · 용봉천 · 증심천 · 풍영정천
호수
광주호 · 쌍암제 · 양산제 · 운천저수지 · 전평제 · 제4수원지 · 풍암저수지 · 하남저수지 · 경양방죽
기타
광주 분지 · 나주 평야
기울임체는 복개된 하천, 취소선은 사라진 곳을 의미한다.


국가하천
황룡강

黃龍江 | Hwangnyonggang


발원지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 은선골
하구
광주광역시 광산구 유계동
수계
영산강 수계
유로연장
58.6㎞
유역면적
564.4㎢
1. 개요
2. 송산유원지(송산공원)
2.1. 설명
2.2. Y프로젝트
2.3. 교통
3. 국가습지 지정
4. 시설물
5. 지류
5.2. 선암천
5.3. 운수천
6. 참고문헌


1. 개요[편집]



송산유원지 인근. 뒤쪽의 산은 복룡산이다.
전라남도 장성군, 광주광역시 광산구를 흐르는 하천이다. 영산강 수계에 속하며, 영산강의 제1지류이다. 유역면적 가운데 70∼80% 정도가 산이어서, 영산강 본류 구간에 비해 유역의 농경지 면적이 매우 적은 편이다. 강이 흐르는 주변에는 황룡면, 황룡동, 황룡마을, 사호동, 복룡동, 어룡동 등 황룡강에서 연유된 지명이 많다. 동학 농민 운동의 전투 중 하나인 장성 황룡촌 전투도 이 곳에서 일어났다.


2. 송산유원지(송산공원)[편집]



2.1. 설명[편집]


황룡강 중류의 하중도[1]에 있는 공원이다. 1997년 외환 위기 때인 1998~2000년에 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공근로 사업을 통해 유원지로 개발되었다. 2006년에 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청등보 또는 주차장 쪽의 도보교를 통해 걸어서 진입할 수 있고 나룻배를 이용해 들어가는 방법도 있다. 섬을 둘러싸는 산책로, 수생식물원, 플라타너스 숲과 야영장, 잔디광장 등의 시설이 있다.

어등산관광단지에 통과하는 강이 이 황룡강이다.


2.2. Y프로젝트[편집]


영산강·황룡강변 Y익사이팅벨트 조성이 추진 중이다.#




2023년 10월에 자세한 내용이 나왔다. 이곳의 최신 내용 참고.

2.3. 교통[편집]


  • 자가용
    • 영광통 사거리, 선운지하차도 사거리(매일유업 사거리)에서 22번 국도를 통해 연결된다.
  • 버스
    • 송산유원지 정류장: 선운14, 봉선37, 일곡38, 선운101 [2]

3. 국가습지 지정[편집]


2018년 경부터 '장록습지'라는 이름으로, 호남대 정문에서 영산강에 합류하는 지점까지의 약 8km 구간 2.67㎢의 면적을 국가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국가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면 환경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영산강유역환경청에서 보전계획을 수립해 습지를 보존·관리하게 된다. 2019년 11월에 지역 주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85.8%가 찬성하였다. 환경부 보도자료

이런 중에 2020년 10월 20일, 광주시에서 장록습지 근처 지죽동 140만 ㎢에 2026년까지 1만 세대의 아파트 단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내놓아 논란이 되고 있다. 민간 자본으로 아파트를 짓고 그 수익금으로 자동차·에너지·문화콘텐츠 등의 지역 전략 사업을 육성하겠다는 취지인데 난개발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시청 부서 간에 사전 협의도 하지 않아 한쪽에서는 습지 보전, 한쪽에서는 아파트 건설을 추진하는 이중적인 행정을 한 것이다. 시의회에서도 "전략사업 육성이라는 명분 뒤에 숨겨진 아파트 개발 사업을 멈추라"면서 사업을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KBS광주 광주일보 이용섭 광주시장은 시의회의 요청에 "이 개발사업도 아파트 위주의 난개발은 어떠한 경우에도 용납하지 않겠다"고 답변하였다.광주일보

논란을 딛고 국가습지보호지역 지정에 성공했다. 국내 26번째 국가습지보호지역이 되었으며, 첫 도심국가습지도 되었다.관련 뉴스1, 관련 뉴스2

다만 일부 제척 구간의 생태적 가치가 상당함에도 제척되어 이에 대한 우려도 크다고 한다.

탄소흡수원 조성을 위해 2023년 예산에서 7억원이 정부에서 반영되었다. 보도자료, 문서뷰어


4. 시설물[편집]


상류
하류, 영산강 합류


5. 지류[편집]



5.1. 평림천[편집]


송산유원지 아래쪽에서 황룡강에 합류한다.


5.2. 선암천[편집]


어등산에서 발원하여 어등대로 449번길 밑, 호남대학교 정문 밑을 지나 황룡강에 합류하는 복개하천이다.


5.3. 운수천[편집]


어등산에서 발원하여 선암동 중보교 아래에서 황룡강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운수절골길, 어등대로533번길, 어등대로534번길이 이 하천 옆을 지나간다. 선운지구 한가운데를 관통하지만 천변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지는 않다.


6. 참고문헌[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3:53:54에 나무위키 황룡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면적은 약 40,000㎡[2] 동명고 다음 정류소에서 내려야한다. 그 다음인 종점 정류소는 이름만 송산유원지라서, 도보로 1km 가까이 걸어내려와야한다. 과거엔 가장 가까운 정류소 명칭이 `송산유원지입구`로 되어있어 가끔 모르고 종점까지 와서 내렸다가 기사에게 물어보고서야 알고 욕하는 경우도 있었던 모양... 물론 환승 시간 남아있다면 다른 노선타고 돌아올 수야 있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