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스페이스

덤프버전 : r20230302

1. 컴퓨터 용어
2. 위키에서의 네임스페이스
2.1. 나무위키의 네임스페이스별 문서 개수


Namespace / 이름공간

1. 컴퓨터 용어[편집]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namespace namu
{
    char text[20] = "나무위키";
}

namespace wiki
{
    char text[20] = "Namuwiki";
}

int main(void)
{
    cout << namu::text << endl;
    cout << wiki::text << endl;
    return 0;
}

C++에서의 네임스페이스의 사용 예시.[1]

프로그램상에서 하나의 네임스페이스(=이름공간)에서는 같은 변수명이 같은 개체를 가리킨다. 반대로 네임스페이스가 다르면 위의 C++의 소스처럼 변수의 이름이 text로 동일해도 실제로 가리키는 변수가 달라지게 된다.

C:\\User\\name\\같은 파일 경로부터 namu.wiki같은 도메인 네임까지 네임스페이스가 사용된 곳은 아주 많다.


2. 위키에서의 네임스페이스[편집]


미디어위키, the seed 등을 비롯한 위키 엔진들이 대부분 지원하는 문서 제목 앞에 붙는 "XX:"과 같은 것들을 의미한다.[2]

이름공간에 따라서 ACL이 지정되기도 하며,[3] 스킨에 따라 이름공간 부분의 색은 다른 글자와 미세하게 다르기도 하다.[4] 또한 특정 이름공간은 일반적인 방법(새 문서 생성)을 이용하여 문서를 만들 수 없다.[5] 이름공간 ACL 변경은 사측 관리자만 가능하다.


2.1. 나무위키의 네임스페이스별 문서 개수[편집]


2023-06-02 04:29:57 기준
총 문서 수 [pagecount]개
문서
[pagecount(문서)]
파일#컴퓨터 용어
[pagecount(파일)]
분류#나무위키의 문서 분류 기능
[pagecount(분류)]

[pagecount(틀)]
템플릿#나무위키에서
[pagecount(템플릿)]
사용자
[pagecount(사용자)]
나무위키
[pagecount(나무위키)]
휴지통
[pagecount(휴지통)]
파일휴지통
[pagecount(파일휴지통)]
위키운영
[pagecount(위키운영)]
투표
[pagecount(투표)]
토론#나무위키에서의 토론
[pagecount(토론)]
특수기능
[pagecount(특수기능)]
시스템
[pagecount(시스템)]

나무위키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문서의 네임스페이스는 다름아닌 "문서:"다. 디폴트 이름공간이라 문서 제목에 직접 표시되지 않을 뿐.[6]

이 중 "토론", "투표", "특수기능", "시스템"의 경우 네임스페이스는 존재하지만 아직까지 사용된 적이 없거나, 예전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네임스페이스들이라 0개로 뜬다. 해당 네임스페이스에 속하는 임의의 문서로 들어가면, 'ACL에 허용 규칙이 없기 때문에 읽기 권한이 부족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구가 출력된다.

흔한 오해 중 하나로, "더미:"는 시스템 상 네임스페이스의 종류가 아니다. RandomPage에서도 '더미'는 없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5 13:22:41에 나무위키 네임스페이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코드의 실행 결과는 첫번째 줄에는 '나무위키'가 출력되고 두번째 줄에는 'Namuwiki'가 출력된다.[2] 대표적으로 나무위키:대문
나무위키:
부분.
[3] 가령 "사용자:"가 붙은 것은 모든 사용자 또는 IP만 읽을 수 있지만 해당 사용자 본인과 봇 그리고 관리자만 편집할 수 있다. "틀:"이 붙은 것은 로그인한 사용자 또는 IP 유저 중 해당 문서에 기여한 유저만 편집할 수 있으며, "휴지통:", "파일휴지통:", "위키운영:"이 붙은 것은 관리자만 읽거나 편집할 수 있다.[4] senkawa 스킨의 경우 라이트 테마에서의 색은 #545454(일반 글씨는 #373A3C)이며, 다크 테마에서의 색은 #C7C7C7(일반 글씨는 #DDDDDD)이다. 이것으로 해당 이름공간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5] 파일 문서와 사용자 문서의 경우 새 문서 만들기로 문서를 생성하려 하면 오류가 뜬다.[6] 검색창에 "문서:"라고 치면 !부터 문서들이 순서대로 나열되고, "문서:" 뒤에 문서명을 치면 일반 검색과 똑같은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네임스페이스가 명시되지 않은 모든 문서의 네임스페이스는 '문서'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