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서관/방송 역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대도서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플랫폼별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연도별로 정리된 문서에 대한 내용은 대도서관/방송 기록 문서
대도서관/방송 기록번 문단을
대도서관/방송 기록# 부분을
, 게임 장르별로 정리된 문서에 대한 내용은 대도서관/플레이한 게임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세이클럽(2002~2010)
3. 다음 TV팟(2010~2011)
4. 아프리카TV(2011.06.27~2016.10.14)
5. 유튜브 시즌1(2016.10.14~2018.12.29)
6. 카카오TV(2017.03.18~2017.08.15)
7. 트위치 시즌1(2018.12.31~2019.10.31)
8. 유튜브 시즌2(2019.11.02~현재)
8.1. 윰댕과의 이혼 발표(2023.07.30)
9. 트위치 시즌2(2022.01.04~2023.06.22)
10. 그립(2022.05.18~현재)
11. FLO(2022.11.10~2023.03.10)


1. 개요[편집]


대도서관의 방송 역사를 모아놓은 문서.


2. 세이클럽(2002~2010)[편집]


  • 본인이 말하기를, 세이클럽에서 '짝퉁 성시경'으로 불렸다고 한다.
  • 당시에도 어느 정도 인기를 가졌지만, 시청자 수가 지금에 비해 상당히 적은 100명, 200명 정도의 인원이었다고 한다. 당시의 인기 컨텐츠가 클럽 리믹스 음방이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3. 다음 TV팟(2010~2011)[편집]


  • 당시에 방송은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문명 5를 플레이하고, 토요일에는 다른 게임을 하는 방식이었다.
  • 문명 5는 보통 불멸자급이나 신급의 난이도로 진행했었다. 대도서관 본인도 인정하는 간디 열풍[1]을 포함한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시청자 수가 900명을 웃돌고, 1000명이 넘게 시청하는 날도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시청자 수가 500명에서 800명 정도로 줄어들었지만, 방송 중에는 항상 최상위권의 인기 순위를 자랑했다. TV팟의 대부분이 단순한 중계방송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개인 방송으로는 독보적인 위치에 있었다고 할만하다.
  • 본인이 말하기를, 얼굴없는 방송을 할 시기에 목소리가 송중기와 비슷해서 '문명중기'라고 불렸다고 한다.[2]
  • 팬카페가 있었지만 운영자 활동이 뜸해지다 아프리카로 옮기면서 자연스럽게 유명무실해졌다.


4. 아프리카TV(2011.06.27~2016.10.14)[편집]


  • 2011년 6월 27일, 아프리카TV에서 350명 가량의 시청자들과 함께 첫 방송을 시작했다.[3] 정규 방송을 매일 진행했지만,[4] 초반에는 300명 가량의 조금 아쉬운 시청자 수로 적응기를 가졌다. 그러다가, 심즈 3의 플레이가 대박을 터뜨리면서 두 달 만에 베스트 BJ를 달성했다. 심즈3 이후, 방송마다 5,000명 이상의 사람들을 끌어모았고, '어느 늦은 밤'이나 '프린세스 메이커'를 플레이할 때는 10000명 이상의 시청자 수를 달성하기도 했다. 이후로 안정적으로 방송을 진행하며 랭킹 10위 안팎의 성적을 유지했다.
  • 다만, 본인은 큰물에서 놀고 싶어서 아프리카로 옮겼다고 하는데,[5] 인기를 위해 TV팟 시청자들을 버린 것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다. 어찌 되었 건, TV팟은 결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방송상의 문제나 여러가지 이유로 TV팟을 몇 번 중계하기도 했다. 하지만 아프리카TV 시청자들이 적응을 못 하기도 했고, TV팟에서 일어난 여러가지 사건 등으로 아프리카TV 방송을 계속 이어가며, 결과적으로 더욱 인기를 끌게 되었다.
  • TV팟 시절과 달리,[6] 2011년 10월, 150만원 가량의 최신 컴퓨터로 교체하고 마이크, 믹서 등의 장비까지 갖추었다. 은근히 비싸게 맞춘 컴퓨터라고 은비라는 이름까지 지었다. 배틀필드 3 등의 게임도 풀 옵션으로 플레이할 수 있지만, 방송 버퍼링을 방지하기 위해 옵션을 조금 낮추고 있다.
  • 목소리가 왜곡되고 있었는지, 마이크를 바꾸면서 '문명중기'다운 목소리는 사라졌다. 하지만 여전히 미성에 얼굴을 감추고 있었고 본인은 키 크고[7] 훤칠하고 잘생기진 않아도 보면 깜짝 놀랄 만큼 동안이라는 주장을 반복해 왔다. 2013년, 주간동아와의 인터뷰에서 처음 얼굴이 공개되었다. 팬들의 반응은 호불호가 갈렸으나 대도서관은 '이 정도면 괜찮게 생긴 거지~'라며 세뇌시키면서, 이후로는 얼굴을 드러내고 방송을 하고 있다. 그리고 송중기라는 별명은 거짓말처럼 사라졌다
  • 생방송만을 고집하는데, 대도서관은 녹화방송은 시청자들의 생활에 지장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직접 이유를 밝혔다. 그 대신, 방송의 편집 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다.[8] 당시에는 국내에서 유튜브의 인지도가 낮았기 때문에 게임 방송으로 진출한 것은 국내 최초에 가깝다. 이후, 자신의 수익을 공개하면서 수많은 스트리머들이 유튜브로 진출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 주된 컨텐츠는 게임 방송이지만, G마켓 후원으로 1000만원 지름쇼를 보이거나, 인터넷 홈쇼핑(...)을 시도하는 등, 여러가지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많은 업체들로부터 후원도 받는 듯 하다.
  • 2016년 10월 14일, 아프리카TV 갑질 논란에 휘말려 아프리카TV와 결별을 선언한다. 자세한 사항은 문서 참고.


5. 유튜브 시즌1(2016.10.14~2018.12.29)[편집]


  • 2010년 5월 12일,[9] '대도서관 유튜브'를 오픈했다.
  • 2012년에 마인크래프트를 플레이한 영상을 올리기 시작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특히 1편은 200만 조회수를 넘겼다. 스토리도 없고 같이 하는 사람도 없는 상황에서 사운드를 비우지 않고 각종 상황극을 혼자서 캐리했다. 배경음악 사용, 채팅창을 영상에 포함시키는 식[10]의 방식은 이후 유튜브 업로드를 시작하는 방송인들이 대부분 차용하고 있다. 첫 회차와 중후반 회차의 채팅방 올라가는 속도를 비교해보면 시청자들이 많이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 유튜브를 통해 높은 수익을 얻으면서, # 아프리카TV 특유의 '별풍선' 수익구조 대신, 기업으로부터 광고를 통한 수익구조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3년 8월, '강용석의 고소한 19' 방송을 통해 이 사실이 본격적으로 알려졌다.[11] 이 덕분에 대도서관은 양띵과 함께 국내 1인 미디어 시장을 열었던 대표적인 인물로 떠올랐고, 각종 강연과 인터뷰에 등장하는 1세대 인터넷 방송인으로 각광받고 있다. 2015년 9월부터는 국내 유튜버들을 대표하는 광고모델이 되었다. #
  • 2013년 8월 26일, 예전부터 요리 방송을 하려고 벼르다가 라면 끓이기로 첫 스타트를 끊었다. 비욘드: 투 소울즈 게임의 한 챕터의 플레이 일환으로 치킨카레를 요리했다. 2013년 12월 29일에 제육볶음을 만들어먹었다. #. 이 영상은 언제부터인가 비공개 처리 되었다가, 지금은 다시 풀렸다.
  • 2016년 10월 14일, 아프리카TV 갑질 논란 이후로 유튜버로 전향하여 방송을 하고 있다. 시청자들은 아프리카TV에 비해 좋은 화질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구독자 수도 폭등해서 하루에 몇천 명씩 늘어났다. 10월 19일, 방송 시청자 수가 25000명을 돌파했다. 본인도 예상하지 못 했는지 놀라는 모습을 보였다.
  • 2018년 10월 11일 기준, 1,883,381명의 구독자 수와 1,084,504,239의 누적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다.
  • 1인 미디어 관련 책(유튜브의 신)을 냈다. 대학생을 겨냥했으나 학생들도 이해할 수 있게 썼고 학부모가 읽었으면 좋겠다고 한다.
  • 2018년 8월 3일, 서브 채널로 디저트를 다루는 '달콤대도'를 오픈했다.
  • 2018년 10월 12일, 두번째 서브 채널로 예능을 주로 다루는 ‘대도서관 예능채널’을 오픈했다. 타이틀은 임시이며 시청자들에게 공모를 받아 곧 바꿀 계획이다. 채널은 엉클대도가 아닌 예능채널로 검색해야 나온다.[12]
  • 2018년 12월 27일 공지에서 생방송 플랫폼을 유튜브에서 트위치로 옮긴다고 발표했고 12월 31일 저녁 9시부터 트위치 방송을 한다고 했으나 생방송 송출만 트위치로 옮기는 것이고 동영상 업로드는 꾸준히 하겠다고 했다.
  • 2019년 1월 7일 인터뷰에서 유튜브 광고 수익으로만 한달에 5000~6000만원을 번다고 밝혔다.
  • 2019년 4월 21~23일에 대도서관의 지각 해명과 발언으로 인해 구독자 191만을 찍었던 유튜브 구독자 수가 급감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고 하루에 꾸준하게 2천명 이상 구독을 해지하는 상태에 들었고 160만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천천히 회복세에 접어들었다.
  • 2019년 5월 22일, MBC 100분 토론 827회 '게임 중독 질병인가 편견인가' 출연 이후 구독자 증가가 상승세를 타다가 안정권에 들어섰다.


6. 카카오TV(2017.03.18~2017.08.15)[편집]


  • 2017년 2월 17일, 카카오TV로 진출을 한다는 기사가 올라왔다.#[13]
  • 2017년 3월부터 유튜브카카오TV 동시 송출을 시작했다.#[14]
  • 현재는 유튜브와 프로그램 충돌로 인해 동시 송출이 어렵기 때문에, 방송을 보류한다고 밝혔다.


7. 트위치 시즌1(2018.12.31~2019.10.31)[편집]


2018년 11월 마지막 주 방송들에서 불안정성 등의 표면적인 이유로[15] 유튜브 생방송을 중단하고 플랫폼을 바꾼다고 발표했다. 방송이 침체기에 들어가서 활력을 잃고 하강하고 있어 변화를 위해 옮긴다는 의견이 대세다. 유튜브 190만 구독자에 비해 조회수 증가가 너무 적어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일반 유저는 대도서관이라는 닉네임을 트위치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했었는데, 대도서관이라는 닉네임이 buzzbean11이라는 아이디에 할당되었다.[16]

2018년 12월 28일 유튜브 영상을 통해 12월 31일부터 트위치로 생방송 플랫폼을 변경한다는 공지 영상을 올렸고 첫 방송을 진행했다.

일각에서는 트위치 특유의 문화가 대도서관의 방송 스타일 및 팬덤과 충돌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는 시선을 보내기도 했다. 과거 대도서관이 영상도네를 키지 않겠다고 밝혔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말과 대도서관 문서의 비판, 사건사고를 도네로 공격할 수 있고 또한 대도서관이 개인방송 1세대이자 선구자로서는 인정 받을지 몰라도 행보나 태도에 대해서는 입장이 갈리는 편이라는 반응으로 갈리고 있다. 2018.12.31 첫 방송에서는 그 명세에 맞게 만명 이상의 시청자로 시작을 알렸으며 도네가 몇십분이나 밀리는 등 좋은 반응이 대부분이었고 큰 충돌 없이 방송이 진행되었다.

무엇보다 대도서관 자신이 저작권 관련 사고로 시끄러웠던 만큼, 영도 관련해서는 조심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 판단해 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추후에 시청자의 영상을 자랑하는 것 등으로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으면 사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치에서 대도서관이 오기 전까지 트게더 등의 트위치 관련 커뮤니티의 여론은 대체로 부정적이었으나, 대도서관이 트위치 방송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뒤에는 핫클립에도 자주 올라가고 여론도 호의적인 편이다.

트수들에게는 간혹 경력직 신입이라고 불린다. 물론 그 경력이 신입 급이 아니라 임원급이여서 그렇지...

2019년 4월 23일 지각 관련 해명에서 트위치에 대한 여러 얘기를 했는데 트위치는 자신과 맞지 않다고 하였다. 한달 전에는 트위치 관계자에게 자신이 트위치를 나갈 시 어느 정도 손해가 나는지 물어봤다고 한다. 아직은 트위치에 있겠다고 하나 유튜브로 다시 갈지는 모르는 상황이다.

2019년 4월 25일 사과 방송을 담은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고 트위치에 대한 발언이 조금 오해가 있었고 대도서관 갤러리에 갔다가 당시 그곳에 있던 글들을 읽고 해당 글에 대해 화가 났던 상태였다고 했다. 결과적으로 사과 방송에서 생방송 스케줄을 축소한다는 발표를 했다.

2019년 10월 31일을 마지막으로 트위치에서 생방송을 그만두기로 했다. 새로운 시청자들인 트수들을 포용하기 위해 이적했지만 막상 신규 유입이 적을 뿐더러 트수들과는 지각 논란, 부적절한 발언 논란 등으로 갈등만 빚어졌고, 유튜브 생방 시절에 들어오는 시청자들만 콘크리트 시청층으로 있는지라 시청자들이 트위치의 시스템이 불편하다, 유튜브 생방하던 때가 좋았다, 유튜브 생방이 더 접근성이 편하다는 의견에 따라 다시금 유튜브로 생방송 송출하기로 결정했다.


8. 유튜브 시즌2(2019.11.02~현재)[편집]


2019년 11월 1일 트위치를 떠나 다시 유튜브에서 방송을 진행한다는 소식을 유튜브 커뮤니티로 알렸다. 다만 11월 1일은 엑스플릿에 오류가 생겨 진행하지 않고 11월 2일부터 유튜브 방송을 시작했다.

2019년 11월 2일 첫 유튜브 생방송을 진행했다. 그리고 1시간 동안 생방송 설정을 시청자와 함께 진행한 후 게임방송을 진행했다. 또한 이날 이후로 생방송 플랫폼의 변경은 없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트위치로 이적할 때도 더 이상의 플랫폼 변경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었다.

2020년 1월 23일 179만까지 내려간 구독자 수가 다시 상승하면서 180만대가 되었는데 메이플스토리의 영향으로 보인다. 그러나 3월 12일 다시 179만으로 떨어졌다가 4일 만에 다시 복구되었다. 그러나 잠시뿐이었고 또다시 구독자가 줄어들더니 더 이상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계속해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7월 18일에 178만으로 떨어졌고, 8월 24일에 177만, 9월 17일에 176만, 10월 15일에 175만, 11월 14일에 174만, 12월 14일에 173만을 찍었다가 기어코 2021년 1월 17일에 172만을 찍었다. 2018년에 구독자 수가 상승세였을 때 찍었던 수치와 똑같아졌다. 그러다 결국엔 2021년 2월 27일 171만을 찍었다. 이후 2021년 4월 14일 170만을 찍었다. 별다른 일이 없는 이상 구독자 수의 하락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구독자 하락의 원인은 별다른 게 아니라 대도서관의 텐션이 예전에 비해 낮아진 점, 새롭지 못한 콘텐츠, 새롭지 못한 편집, 자신과 관련된 비판을 센스 있거나 유하게 넘기지 못하고 일일이 지적하여 몰입도가 떨어진다는 점 등이 꼽힌다. 즉 원래부터 가진 말빨이 있긴 하기에 어느 정도 보는 재미야 있긴 하지만, "대도서관 하면 이거다" 하는 개성의 부재로 인해 서서히 묻혀진 것.

2021년 5월 19일 169만으로 떨어졌다. 엉클대도 집단 퇴사 및 악덕 기업 논란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명 이후 대도서관 측으로 여론이 기울었고 새로운 편집자를 구해 시청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지만, 구독자 수는 오르지 않고 되려 5월 30일 168만으로, 6월 27일 167만, 7월 29일 166만, 9월 16일 165만, 10월 22일 164만, 12월 9일 163만으로 계속해서 떨어지고 있는 중이다.

2022년 1월 25일 유튜브 구독자 수가 162만, 3월 10일 161만, 5월 4일 160만, 6월 27일 159만, 8월 24일 158만, 10월 26일 157만, 12월 8일 156만, 2023년 2월 27일 155만, 5월 9일 154만, 8월 13일 153만, 9월 16일 152만으로 떨어지며 구독자가 빠져나가는 현상이 멈추지 않고 있다.


8.1. 윰댕과의 이혼 발표(2023.07.30)[편집]




2023년 7월 30일 대도서관 유튜브 생방송

2023년 7월 30일, 유튜브 생방송을 통해 아내였던 윰댕과의 협의이혼을 발표했다. "일에 집중하고 싶기도 하고, 가족이 되어보니까 친구로 더 잘 지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이미 별거 중이지만, 1주일에 1~3번씩 만나 놀면서 좋게좋게 헤어지는 중"이며, "가족이라는 부담감을 내려놓고, 부부로서의 연이 끝나니 감정의 골이 싹 없어져 더 친하고 즐겁게 만난다"고. 재산 분배는 각자 번 몫을 각자 가져가기로 했다. 강아지(단추, 꼬맹이)는 기존의 견주인 대도서관이 키우고, 아들 이건우[17]는 친엄마인 윰댕이 키우기로 했다. # 이혼은 두 달 전부터 결정했다고 한다. #

따라서 앞으로는 친구 겸, 사업 동반자로 지내기로 한 듯.[18] 이 스트리밍 당시 윰댕을 소개한 멘션이 걸작인데, "첫 게스트로 엑스와이프(ex-wife)를 모시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같이 밥 먹으면서 나는 SOLO를 시청하며, 내년(2024년)에 같이 하와이 여행을 가기로 했다는 말을 전했다. 심지어 '마녀김밥'을 먹으면서 《킹더랜드》 이야기를 하고, 《나는 SOLO 돌싱 특집》에 나가라는 말도 주고 받았다.

7월 31일 iMBC연예에 인터뷰 기사가 떴다. #


9. 트위치 시즌2(2022.01.04~2023.06.22)[편집]


2021년 10월 28일 트위치 복귀 의사를 밝혔다. 단 유튜브를 떠나는 것은 아니며, 유튜브와 트위치에서 동시 송출할 예정이라고 한다.

2022년 1월 4일, 유튜브와 트위치 동시 송출 방송을 시작했다. 트위치에서는 첫 번째 복귀 방송.

2022년 1월 16일 Goose Goose Duck을 플레이했는데, 대도서관이 매우 푹 빠져서 아예 주력 콘텐츠로 삼고 있다. 주로 시청자들과 함께 방을 파서 시참 콘텐츠로 진행한다.


10. 그립(2022.05.18~현재)[편집]


2022년 5월 18일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인 그립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초창기에는 트위치에서도 그립 방송을 동시 송출했으나 현재는 유튜브에서만 그립 방송을 동시 송출 중이다.


11. FLO(2022.11.10~2023.03.10)[편집]


2022년 11월 10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FLO에서 라디오 토크 프로그램인 '대도서관의 블랙테이블'로 활동을 시작했다.

[1] 대도서관이 간디한테 핵을 쏘다가 실패하고 망하는 영상이 인터넷상에서 인기를 끌었다.[2] 자서전 유튜브의 신에서 밝히길 마이크에 스펀지가 아니라 휴지를 땜방으로 쓴 것이 원인 같다고 한다.[3] 베스트 BJ가 아니면 모바일 시청이 불가능했던 것 또한 이유였다.[4] 다만, 일요일은 라디오 방송을 했다. 게시판에 올라온 사연을 읽어주고, 신청곡을 틀어주는 방식인데, 시간상 신청곡은 드물게 틀어준다. 원래부터 대도서관은 게임 피지컬보다 수다와 드립에 강했기 때문에, 재치있고 편안하게 이야기를 들려주었다.[5] 이건 팬들이 먼저 '아프리카가 요즘 뜨던데~'하면서 드립친 거다. 그러니까 대도서관도 '그러게요~ 요즘 누가 다음팟 합니까아~'하면서 받아쳤던 것.[6] 고사양 게임을 돌릴 때마다 동네 컴퓨터 가게 아저씨에게 꼬여서 산 GT220 그래픽 카드가 꾸지다고 징징대는 게 주요 레파토리였다.[7] 실제로 키가 181cm로 크다.[8] 당시 아프리카TV는 영상의 고화질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9] 이때에 올라온 영상도 있다. 당시에는 버즈빈(buzzbean)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했었다. 이후 2012년, 마인크래프트 영상이 업로드되었는데, 그동안은 계정을 사용하지 않은 듯 하다.[10] 특히 현재 게임 스트리머들에겐 기본 상식과도 같은 게임 화면과 채팅창을 동시에 송출시키는 방식은 대도서관이 처음으로 도입하였고 대중화시켰다.[11] 이 방송에서 대도서관은 그 전까진 회사를 다녔는데 유튜브 수익이 많아지면서 2013년경 회사를 그만뒀다고 밝혔다.[12] 이에 대한 해프닝이 있었는데 회사 직원들이 회사 이름과 같은 엉클대도라고 임시로 올려 버리는 바람에 엉클대도에 관련된 영상들에 묻혀 채널이 검색이 되지 않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했다. 검색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능채널을 임시로 붙여서 바꾸었다. 지금은 대도서관_예능채널로 바뀌었다.[13] 많은 곳에서 서로 모시려고 경쟁하는 중이라고 한다.# [14] 웹에서는 채팅을 할 수 없고, 팟플레이어를 설치해야한다.[15] 영상이 끊긴다던지 영상과 채팅 오버레이 프로그램이 유튜브 채팅만 적용시간이 오래 걸려 소통이 힘들다고 한다.[16] buzzbean은 대도서관이 주로 사용하던 아이디.[17] 윰댕이 대도서관과 결혼하기 전 첫 남편 사이에서 낳은 아들이다. 건강 문제로 대도서관 사이에서는 아이를 낳지 못했다.[18] 이 사이로 유명한 커플이 브루스 윌리스데미 무어 커플이다. 일본 연예인 아카시야 산마와 오오타케 시노부도 비슷한 케이스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8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
, 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8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
, 3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9:10:33에 나무위키 대도서관/방송 역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