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몬(다크 소울 3)

덤프버전 :




데몬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emon_-_01.png
일어명
デーモン
영문명
Demon

1. 개요
2. 전투
2.1. 1 페이즈
2.2. 2 페이즈
3. 기타


1. 개요[편집]


다크 소울 3에 등장하는 보스급 네임드 몹. 이름에 접두사가 없어 이름이 그냥 데몬이다.

이번작에서 등장하는 다른 데몬 보스들과는 달리 매우 쌩쌩한 놈이다.[1] 더군다나 2 페이즈까지 가지고 있어 체력만 낮은 보스라고 봐도 된다.

총 2번 등장하며, 처음으로 마주칠 수 있는 곳은 불사자의 거리. 지크벨트 퀘스트를 진행하다 보면 만나게 된다.[2][3] 두번째로 마주치는 곳은 카사스의 지하 묘로, 그을린 호수로 가는 길에서 서성이고 있다.

불사자의 거리에 있는 데몬을 처치시 무기에 화염 변질을 시켜주는 화염의 보석을 주고, 카사스의 지하묘에 있는 데몬을 처치시 데몬의 소울을 주며 소울은 대형 도끼: 데몬의 대형 도끼 혹은 주먹: 데몬 너클로 교환이 가능하다. 소울 사용시 들어오는 소울량은 20000소울.[4]

2. 전투[편집]


불사자의 거리 쪽 데몬의 체력은 1회차 기준 1390. 지크벨트만 믿고 오랫동안 혼자 싸우게 냅둘 경우 지크벨트가 죽어버린다. 그리고 다른 NPC들과 마찬가지로 부활하지 않는다. 그렇게 되면 해당 회차의 지크벨트 퀘스트는 실패한 셈. 고로 너무 떨어져서 구경만 하지말고 같이 열심히 때려주자. 참고로 이때 보는 데몬은 일반 몹 판정인지 매혹이 먹힌다.

카사스의 지하 묘의 데몬의 체력은 1회차 기준 2982. 이이제이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일단 첫 조우시 계단 근처로 접근하면 무조건 브레스 패턴을 쓰는데 이때 달려서 브레스로 미믹을 때리게 하거나 그냥 뒤로 빼서 대기하다가 패턴이 끝났을 때 계단 근처에서 얼쩡거리면 데몬이 계단으로 올라온다. 이때 필드 구석으로 적당히 달려가면 데몬도 따라오는데 끝자락에 미믹을 한 대 쳐서 깨우고 자신은 아래로 내려온 뒤 구경하면 미믹은 데몬을 공격한다. 이렇게 되면 데몬은 거의 100%의 확률로 아래쪽의 넓은 필드로 이동하려고 애쓰다가 미믹에게 쳐맞고 사망한다.[5] 이 경우 미믹은 반피 정도 깎인 채로 살아남아 플레이어를 추격해 내려오는데 패죽이면 도 계열 무기 흑도를 떨구니 챙겨가자. 이 방법 말고는 반대로 아래쪽 계단으로 유인해서 해골 약 6마리 정도를 깨워버리는 방법이 있는데, 전부 부활하는 해골인 데다가 이상하리만치 데몬에게도 딜을 잘 꽂아넣기 때문에 운만 따라주면 역시 칼 한 번 휘두르지 않고 처리할 수 있다. 회차가 높아질수록 미믹은 데몬에게 끔살나지만 해골은 데몬을 오히려 더 잘 때려잡기 때문에 고회차라면 해골이랑 붙이는 게 더 편하다.

잘 따라오지 않고 자꾸 계단에서 내려간다 싶으면 그걸 역으로 이용해서 잡는 방법도 있다. 일단 조우해서 브레스 패턴 동안 내려가지 말고 숨어있으면 데몬이 올라오는데 보통은 계단 거의 다 올라올 즈음에 멈춰서 뒷걸음질을 친다. 그리고 이때는 절대 공격을 하지 않는다. 대검으로 두세 방은 때릴 기회가 오는데 때리고 물러서면 다시 브레스 패턴 발동 후 올라오다 뒷걸음질을 반복한다. 뒷걸음질 칠 때 편하게 패 잡으면 생명력 1도 안 깎이고 끝낼 수 있다.


그외에 몬스터가 없다 해도 계단 위로 끌고 온뒤에 무너진 다리쪽으로 끌고 오면 데몬은 문을 지나올 수가 없어서 다시 돌아가려 할텐데 활같은 원거리 공격으로 계속 어그로를 끌면서 데몬이 문 건너편으로 공격하게끔 유도하면 데몬이 통로 텍스쳐 안으로 들어가 낙사해버린다. 벽이나 천장에 끼일 때도 있는데 이때 활로 갈겨줘도 잡는다.

그외에도 비슷하게, 깊숙히 데몬을 피해 아래로 들어가서, 아래있는 화톳불로 내려가는 계단까지 유인 후 화살로 여유롭게 죽일 수 있다. 이쪽은 근접공격은 아예 안 닿고 느릿느릿한 브레스 모션이 보이면 계단 뒤쪽에 숨으면 된다. 만약에 죽더라도 화톳불이 바로 근처기 때문에 부담없이 트라이할 수 있다.

참고로 데몬이 위치한 곳에는 전부 낙하 공격을 할 수 있는 곳이 있다. 불사자의 거리에서는 프린의 반지를 먹으러 가는 건물에 낙하 포인트가 있다. 지크벨트가 어그로를 끌 때 올라가 낙하공격을 먹여주자. 대충 근기 40 의 흑기사 무기로 낙하공격을 먹이면 대충 딜이 1000정도 나온다. 카사스의 지하묘에서는 해골들이 어그로를 끌 때 시도해볼만 하다.

2.1. 1 페이즈[편집]


거대한 도끼를 들고 있어 공속이 굼뜰 것 같지만 전혀 그러지 않다. 도끼를 여러번 휘두는 공격을 할 때는 안으로 들어가기 위험하고, 도끼를 앞으로 넓게 휩쓰는 공격을 할 때가 안으로 굴러 들어가 딜을 할 찬스다. 데몬 안에 있으면 점프를 해 내려찍는 공격과 어퍼컷등 안쪽을 커버하는 공격을 쓰니 주의. 이중 점프 공격을 맞으면 순식간에 피가 쫙 까인다. 또한 거인 욤과 같이 포효로 플레이어를 밀쳐내기도 한다.

데몬으로부터 떨어지면 도끼를 땅바닥에다 질질 끌며 와서 올려치는 공격을 하는데, 이 질질 끄는 것에도 공격 판정이 있어서 피하기가 까다롭다.

이외에 용암을 브레스마냥 뿜어대는 패턴도 있다. 데몬이 있는 곳보다 한 층 위에 있는 지형에 있을 경우 그곳에다 브레스를 쏴대니 위쪽에 있다고 안심하지 말자.


2.2. 2 페이즈[편집]


파일:external/9dcfc981f17cfd3ea617b95ff3740a9e40dadb8afd776c101f8f5c5c7b02a5fe.jpg
데몬이 포효를 하며 몸과 도끼의 불을 끌어올린 후 눈에서 붉은 빛이 난다. 이때부터가 2 페이즈 시작. 공격이 더욱 거세지며 움직이면서 용암을 주위에다가 잔뜩 뿌려대는 것과 기를 모아 크게 내려쳐 폭발시키는 공격을 하는데, 이 폭발 공격에 맞으면 거의 즉사 수준에 가까운 데미지를 입는다. 전조가 보이면 냅다 뛰어갈 것.


3. 기타[편집]


몰락해버린 길 잃은 데몬, 데몬의 노왕, 상처입은 데몬 & 공동 깊은 곳의 데몬 등과는 달리 무력한 모습을 전혀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위압감 넘치는 생김새와 함께 예전 데몬들의 박력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유일한 데몬이라 할 수 있다.

외형이 상당히 달라서 눈치채기 힘들지만 왼손잡이냐 오른손잡이냐의 차이만 있을 뿐 1편소머리 데몬과 골격과 무브셋을 거의 공유한다.[6] 무기인 데몬의 대형 도끼도 화염 속성이 붙었다는 차이만 있지 소머리 데몬이 쓰던 데몬의 큰도끼와 디자인이 상당히 유사하고 특유의 강력한 내려찍기 무브셋을 공유한다. 수용소의 데몬 시리즈와 골격과 무브셋을 공유하는 길 잃은 데몬과 일맥상통한다.

여러 갈래로 기괴하게 나뉜 뿔과 여러개 달린 눈, 가시가 돋힌 긴 꼬리 때문인지 심연의 주인, 마누스 내지 같은 해 출시된 다른 게임이 데몬이 떠오른다는 사람도 있다.

또한 지크벨트의 엄청난 사고방식을 보여주는 녀석이기도 한데, 지크벨트는 이런 놈과 대화로 풀어갈 생각을 궁리하고 있었기 때문. 결국 이 놈은 너무 달아올라(Overheated) 보인다는 언어유희[7]와 함께 포기했지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23:22:52에 나무위키 데몬(다크 소울 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데몬의 노왕은 플레이어가 다가가기 전까진 뻗어 있는 데다 주술 패턴을 제외한 근접 패턴은 아프긴 하지만 느려서 허술하며, 체력이 소진되면 영구 그로기에 걸린다. 길 잃은 데몬은 아예 불이 꺼져 있고, 데몬 형제는 혼돈의 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어 독을 뿜어대는 신세.[2] 이곳에서 데몬에게 죽어도 지크벨트가 먼저 죽지 않는 이상 퀘스트 실패가 아니니 걱정하지 말자.[3] 여기서 데몬을 잡으면 데몬의 소울을 얻지는 못해도 소울을 이용한 연성물을 알 수 있게 된다.[4] 길 잃은 데몬은 20000소울(상점에 팔아도 20000소울), 데몬의 노왕은 10000 소울을 준다.[5] 단, 드물게 데몬 쪽에서 응대를 하여 미믹이 박살나는 경우도 있으니 방심은 금물.[6] 완전히 똑같다고는 할 수 없다. 3의 데몬 쪽이 팔과 꼬리가 더 길고 허리를 더 수그렸으며 무브셋도 더 정돈되어있고 박력이 넘친다. 그냥 소머리 데몬을 베이스로 3에 맞게 고유의 모델링과 무브셋으로 재구축했다고 보면 된다.[7] 화나 보인다는 의미와 진짜로 몸이 불타고 있는 데몬의 모습을 이용한 말장난. 한국어판에서는 무리겠지, 너무 열내고 있어로 번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