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사마귀병

덤프버전 :


무사마귀병(뿌리혹병)
Clubroot| 영명

사진
Plasmodiophora brassicae
학명
분류

진핵생물역(Eukaryota)
계통군
SAR 상군(SAR supergroup)

사족충문(Cercozoa)

무사마귀병균강(Phytomyxea)

무사마귀병목(Plasmodiophorida)

무사마귀병과(Plasmodiophoridae)

무사마귀병속(Plasmodiophora)

무사마귀병균(P. brassicae)
1. 개요
2. 상세
3. 발생조건
4. 증상
5. 방제방법
6. 출처


1. 개요[편집]


무사마귀병은 양배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방울다다기, , 순무, 스토크, 꽃무, 배추과의 다른 식물들에서 발생하는 공통 질병이다.

2. 상세[편집]


무사마귀병은 원생동물계의 무사마귀병목에 속하는 절대기생균인 Plasmodiophora brassicae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병원균은 휴면포자, 변형체, 유주자를 형성한다. 휴면포자는 구형으로 일차유주자를 형성한다. 일차유주자는 2개의 편모를 가지고 뿌리털에 침입하여 변형체로 되고, 이 변형체는 식물내에서 분화되어 유주자낭을 형성한다. 이차유주자들은 2개의 편모를 가지며, 뿌리털에 침입하여 변형체로 되고, 이 변형체는 식물체내에서 분화되어 유주자낭을 형성한다. 이 변형체가 식물 체내에서 을 유발시키고 휴면포자를 형성한다. 이 균의 발육온도는 섭씨 9~30도이고, 발육 최적온도는 섭씨 20~24도이다.

3. 발생조건[편집]


토양 중에 존재하는 병원균의 휴면포자는 수년간 생존할 수 있으며, 빗물, 관개수, 흙바람, 동물, 농기구 등에 의해서 전염된다. 토양습도 80% 이상의 과습한 포장에서 발병되기 쉬우며 기온이 섭씨 20~25도이고, 토양산도가 6.0이하의 산성토양에서 병 발생이 많다. 보통 토양산도가 45% 이하인 포장에서는 발병되지 않는다.

4. 증상[편집]


감염된 그루의 지상부는 건전한 그루에 비해 생육이 부진하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 점점 시드는 증상이 심해진다. 생육초기에 감염된 그루는 이 전체적으로 푸른 상태로 시드는 증상을 나타내며 생육 중기 이후에 감염된 그루는 주로 아래쪽의 잎만 시드는 증상을 나타내거나 시드는 증상을 별로 나타내지 않는다. 병든 그루의 뿌리는 이상비대되어 뿌리에는 크고 작은 부정형의 혹이 형성되고 생육후기에 혹의 상처부위로 세균이나 다른 균류가 침입하여 뿌리가 썩기도 한다.

5. 방제방법[편집]


  • 토양에 과습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병든 식물체의 뿌리혹을 제거하여 소각한다.
  • 석회를 사용하여 pH를 7.2 이상으로 교정한다.
  • 상토가 병원균에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병원균에 오염된 토양이 다른 포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병원균에 오염된 포장에서 작업한 농기구는 깨끗이 세척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재배한다(HR계통품종), - 상습발생포장은 배추과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한다.
  • 토양병해로서 약제방제가 매우 어려운 병으로 등록약제를 처리해도 생육후기 미약하게 병이 발생한다.
  • 작기마다 연속해서 등록약제를 처리하면 효과적으로 병원균의 밀도를 줄일 수 있다.
  • 방제 약제로는 다양한 약제가 등록되어 있다.

6. 출처[편집]


https://www.syngenta.co.kr/musamagwibyeong-bburihogbyeong-club-root
nongasaro.go.kr/portal/ps/pss/pssa/sicknsSearchDtl.ps?pagelndex=1&pageSIze=10&sicknsCode=D00000718&menuld=PS0020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04:10:17에 나무위키 무사마귀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