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고려사

최근 편집일시 :

박시백의 고려사
<nopad> 파일:9791160808094.jpg
장르
역사
작가
박시백
출판사
휴머니스트
출판 년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03. 14.(1권)
→ 2024. 03. 25.(5권)
단행본 권수
5권
ISBN
979-11-7087-708-8

1. 개요
2. 특징
3. 각 권 목록
4. 평가
5. 여담



1. 개요[편집]


박시백 작가가 35년(만화) 완결 이후 2022년부터 출간하기 시작한 고려시대를 다룬 역사 만화로 2년만인 2024년 3월 25일, 총 5권으로 완간되었다.


2. 특징[편집]


각 권 내용은 흔히 '고려사'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5시대 구분[1]대로 권수가 대략 맞게 끊어지는 편이다. 대신 한 권에 1~2명 정도의 왕을 다뤘던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과는 달리 시대별로 나눠서 한 권에 등장하는 왕의 수가 꽤 많다.

전체적인 색채나 그림체, 분위기는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과 비슷[2]하기도 하며, 또한 등장인물들의 모습이 자세히 살펴보면, 조선왕조실록에 나온 인물과 비슷한 면이 많다.


3. 각 권 목록[편집]


  • 권수 - 부제 / 표지 인물(괄호 속에는 표지 인물 뒤에 등장한 인물들로 위에서부터 언급) / 왕 목록 순.

  • 1권 - 천하 통일과 고려의 개막 / 태조 왕건(궁예, 견훤, 성종, 광종) / 태조(1대) ~ 성종[성종](6대)
후삼국 시대부터 고려 초기 체제 정비기를 다룬다.

  • 2권 - 전쟁과 외교, 작지만 강한 고려 / 김부식(숙종, 강감찬, 서희, 묘청, 척준경) / 성종[*성종 ](6대) ~ 인종(17대)
여요전쟁여진 정벌, 문벌귀족 집권기를 다룬다.

  • 3권 - 무신정권과 반란의 시대 / 최충헌(이고, 의종, 이의민, 경대승, 정중부) / 의종(18대) ~ 고종(23대)
의종의 즉위부터 무신정권의 초반(이의방 ~ 최충헌)을 다루면서 강동성 전투 직후까지 다루었다.

  • 4권 - 대몽항쟁의 끝, 부마국 고려 / 충선왕(고종, 원종, 충렬왕, 최우, 김방경, 김준)[3]/ 고종(24대) ~ 충숙왕[4](27대)
최충헌의 죽음 이후 발발한 여몽전쟁의 전체와 무신정권의 몰락, 그리고 항복 후 원 간섭기의 초반 정도를 다루었다.

  • 5권 - 개혁의 실패와 망국으로의 길 / 정몽주(공민왕, 우왕, 정도전, 충숙왕, 이성계) / 충숙왕(27대) ~ 공양왕(34대)
원 간섭기 후기부터 고려가 멸망하는 순간까지 다루었으며, 이중 공민왕부터는 작가의 전작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의 1권 '개국'과 어느정도 겹친다.[5]


4. 평가[편집]


출간 전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 독창적인 해석이나 기록에 대한 뛰어난 만화화 능력, 실록 외에서도 자료를 찾아 정사와 야사를 비교하는 등을 보여준 바 있기에 고려사 역시 그러한 방식으로 나올 것이라는 역덕후들의 기대가 있었으나, 출간 후에는 '고려사'를 만화화한 것 같다는 반응(원론적으로는 맞는 말)이 나온다. 즉, 전작과 같은 '고려'라는 나라의 역사와 사회 등에 대한 총체적인 조명보다는 '고려사'라는 역사서를 그대로 만화화하는 데에 너무 집중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고려사의 기록이 적은 초기 파트에서는 분량이 너무 적다는 비판도 나왔는데, 실제로 후삼국 시대~고려 초를 다루고 있는 1권에서는 후삼국 내용이 고려 내용보다 더 많다. 사실 이는 아래의 '여담' 부분 참조.

반면 작가의 두 작품보다 정치색이 줄어 들어 진입 장벽이 낮아져 저연령층도 가볍게 읽기 좋아졌다. 또 조선왕조실록의 비판을 의식했는지 원문을 직역하는 것보다 말로 풀이하는 것이 늘어났다.

박시백 작가 역시 분량이 적다는 독자들의 아쉬움을 의식한 듯, 5권의 작가 후기에서 20권으로 구성했던 조선왕조실록 작업에 비해 분량이 너무 적어 아쉽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짧은 대신 고려사를 흝어보는 입문서로 읽혔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훗날 누군가가 더욱 풍부하고 깊이 있게 글 혹은 만화로 고려사를 엮어주길 기대한다라는 말을 남겼다.


5. 여담[편집]


  • 1권의 경우, 태조의 기록을 제하고는 상당히 내용이 부실한 편인데, 이는 제2차 여요전쟁 당시 개경이 함락되면서 고려 초기 사료가 대거 날아갔기 때문이다. 실제 이때 기존 사료가 다 날아가는 바람에 『7대 실록』을 후에 다시 지었는데 태조부터 목종까지 7대의 기록이 겨우 36권 밖에 되지 않았다고 한다. 조선 초기 『고려실록』을 바탕으로 지어진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도 이 때문에 이 시기 기록이 적은 것[6]이다. 아예 작가의 말 후기에서 고려 광종이 『고려사』를 들고, "너무 내용이 간략해서 내가 누군지 나도 모르겠다."라고 투덜거릴 정도다.

  • 조선왕조실록 때처럼 고려사 역시 후기에 브로마이드를 그려넣었다. 다만 조선왕조실록 때처럼 임금만 그린 게 아니라 만월대를 배경으로 고려 주요 임금 9명[7]과 함께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들[8]을 뒤에 넣었다. 압권은 고려의 마지막 임금인 공양왕이 최영, 정몽주와 함께 이성계를 쏘아보고, 이성계가 무안해하는 장면.

  • 5권의 경우 전술했던 조선왕조실록 개국편과 일부 겹쳤는데, 복식과 함께 인물의 묘사도 살짝 달라졌다. 개국 편에서는 공민왕 때부터 국왕이 명나라 식 곤룡포와 익선관을 착용했지만, 고려사는 공양왕 때부터 명나라식 곤룡포와 익선관을 입고 그 이전에는 몽골식 복제를 유지했다. 인물 묘사의 경우에는 대부분은 그대로 그렸다. 단 전작의 홍무제는 턱과 입이 길게 나온 데다가 곰보 자국 투성이인 못생긴 외모로 그렸지만, 본작은 홍무제를 공식 초상화대로 위엄이 넘치고 후덕하지만 곰보자국이 있는 외모로 표현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5:22:43에 나무위키 박시백의 고려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려시대는 크게 보면 무신정변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누지만, 좀 더 나누면, '고려 전기'는 건국 초기(후삼국 시대 포함), 문벌귀족기로 나누고, '고려 후기'는 무신정권기, 원 간섭기(권문세족기), 말기(반원개혁기)로 나눈다.[2] 전작인 35년은 색체와 분위기가 조금 무겁고 우울하며 칙칙한 면이 있었다.[성종] 성종 재위 말년에 일어난 제1차 여요전쟁서희의 담판 내용부터 2권에서 진행된다.[3] 3권 표지의 이고와 4권 표지의 김준은 살해 당하는 장면이 표지로 쓰였다.[4] 충숙왕은 충선왕의 말년 부분에 언급이 될 뿐 본걱적으로는 5권에 나올 예정이다.[5] 다만,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개국'(이하 '개국')은 '이성계'와 '정도전' 두 인물에 포커스를 맞췄다면, 이번 권은 철저히 고려 왕실의 몰락과 쇠망 과정을 중심으로 그렸다. '개국'에서는 단편적으로 다룬 공민왕 시기의 일을 해당 권 2장에서 길게 다루고 있기 때문에. 5권의 작가 후기에서도 21년만에 다시 그리는 내용이라며 이 점을 직접 언급한다.[6] 심지어 그렇게 적었던 『고려실록』도 이후 전란과 궁궐 화재 등으로 인해 소실과 복구를 반복하면서 일부 기록이 사라졌을 수 있고, 조선 초기 지어진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도 일부 내용은 '황제'에서 '제후'식으로 격하하는데다가 불확실한 내용은 과감히 없애는 등 편차적으로 서술한 면이 많다.[7] 태조, 광종, 성종, 현종, 문종, 원종, 충선왕, 공민왕, 공양왕[8] 왼쪽부터 순서대로 궁예, 견훤, 최승로, 서희, 양규, 강감찬, 윤관, 척준경, 김부식, 정중부, 이의민, 최충헌, 김취려, 박서, 신돈, 최영, 정몽주, 이성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