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담(대왕의 꿈)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여담


1. 개요[편집]


KBS 대하드라마 대왕의 꿈의 중반부 메인 빌런. 담당 배우는 최철호.

초반의 보스가 사도태후승만부인이었다면 그 뒤를 이어서 의자왕과 나란히 보스 역할을 맡는다고 볼 수 있는 인물. 대외적 보스가 의자왕이라면 대내적 보스는 비담이라고 할 수 있다. 권력을 잡기 위해 백제와 신라의 화평을 방해하는 흑막으로 나오며 여러 사람 골로 보냈다. 임종, 김후직, 계루, 호림이 모두 비담에게 죽었다.출연료 삭감 머신

승만왕후의 딸인 연화를 기녀로 총애하지만 사실 연화는 생모 승만왕후를 몰아낸 비담에 대해 복수를 꾀하고 있다.


2. 상세[편집]


본래 대야성 성주였는데, 승만왕후의 반란 토벌을 위한 지원군을 요청하기 위해 김춘추가 대야성으로 오면서 처음 등장했다. 처음 김춘추가 찾아왔을 때는 성 밖에서 낚시나 즐기고 있다가 김춘추를 억류한다. 그러다가 잠시 물에 빠진 뒤 춥다면서 몸을 부르르 떠는 개그를 보인다.

그러나 자신의 방에서 김춘추와 독대한 뒤엔 왕후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춘추를 억류했음을 밝히며, 자신의 손을 잡고 반란을 제압한 뒤 덕만공주를 옹립하자는 야심을 보인다. 이후 반란 토벌에 가세해서 이들을 소탕하는 데 공을 세우고 선덕여왕의 즉위에도 공을 세워 권력의 중심부로 진입한다. 이 과정에서 승만왕후를 지지한 귀족들을 모조리 척살했다.

그러나 삼한의 화평을 이루려는 선덕여왕과 김유신 등의 움직임에 반발하며 백제에 대해 강경한 움직임을 보이는데 이뿐만 아니라 막나가서 백제와의 화친을 방해하는데, 그 이유는 백제와 화평을 이루면 자신의 군대가 힘을 쓸 일이 없기 때문에 권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 결국 비담의 간계 때문에 백제 사신 계루가 참살당하는 바람에 의자왕자는 신라와의 화평을 포기하고, 신라를 멸망시키기로 작정하고 김춘추에게 원한을 품게 된다 그리고 급기야는 김유신을 모략으로 몰아넣고 원래 조정 영수였던 김유신의 외조부 숙흘종이 비담에게 굴복하여 자신의 권력을 포기하고 떠남으로써, 권력의 정상에 서면서 신라 정치판의 실세가 되었으며 원로대신인 알천도 자기 편으로 끌어들였다. 권력이 워낙 커서 선덕여왕도 그를 제어하지 못한다.

이후로도 자신의 세력에 반하는 김춘추와 김유신을 틈만 나면 조정을 동원해 숙청하려 한다. 이 때문에 김춘추는 오랫동안 출사를 하지 못했고 김유신은 틈만 나면 변방을 전전하는 신세가 된다. 그러다 대야성이 위험에 처했을 때 구원하러 출정하려던 김춘추와 김유신을 조정의 명을 앞세워 막아서면서 김춘추의 딸 고타소와 사위인 대야성주 김품석, 그리고 김춘추의 아버지 김용춘을 사실상 죽게 만들었다. 결국 김유신이 자신을 감금하고 독단적으로 출정하자 알천을 앞세워 김춘추와 김유신을 역모로 엮으려 하나 알천이 그 둘을 변호하고 스스로 책임을 자처하면서 실패. 그래놓고 김용춘의 장례식에 버젓이 참석한 건 덤.[1]

그러나 고구려에서 연개소문의 정변을 두고 비담은 자신이 연개소문이라면 허수아비 왕을 옹립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용상에 올랐을 것이라는 말을 내뱉어 그 동안 협력 관계였던 알천이 그를 비난하면서 돌아선다. 이후 춘추와 알천의 협력으로 자신이 주도권 경쟁에서 밀리는 형세가 되자, 춘추를 용상에 추대한다며 회유하는 척 하더니, 그가 차기 대통을 노린다고 모함하여 왜국으로 쫓겨가게 만든다.

황룡사 목탑 건립 건으로 선덕여왕이 건강을 잃고, 김유신과 김춘추가 변방과 왜국에 쫓겨나 있는 상태에서, 결국 선덕여왕이 그를 상대등에 임명한다.[2] 상대등에 임명된 뒤 화백 회의를 소집하여 자신이 섭정에 오르려는 시도를 하지만 실패하자, 반란을 일으킨다.

결국 역사대로 패배하지만 백제에 망명하지 않고 신라인으로서 싸우다가 장수들의 칼에 여러 번 썰리다가 법민의 창에 찔려 무릎을 꿇고 쓰러지고, 그의 칼에 베여 사망했다.솔직히 김춘추보다 비담이 더 주인공같다


3. 여담[편집]


비담 역을 맡은 최철호와 주인공 김춘추를 맡은 최수종대조영에서는 의형제 관계로 나왔는데, 본작에서는 반대로 적대 관계로 등장했다.

호림공 역의 이일재와 백제 사신 역의 차기환을 모두 제 손으로 죽였는데 KBS의 전작인 불멸의 이순신에 빗대어서 선조가 신립과 이일을 죽였다는 배우개그가 성립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5:02:04에 나무위키 비담(대왕의 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에 빈소 전체가 갑분싸가 되었고 법민은 아예 여기가 어딘줄 아냐며 당장 나가라고 호통치고, 형에 비해 얌전한 편인 인문도 그 옆에서 증오심 가득한 눈으로 비담을 노려볼 정도였다.[2] 이 때 선덕여왕이 비담의 대의가 무엇인지 묻는데, 자신의 대의는 신라의 중흥이라 답하고, 이후 서라벌로 돌아온 김유신과의 대화에서도 자기 나름대로의 통치술에 대해 논하는 등, 권세만을 탐하는 인물은 아닌 것으로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