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규삼

덤프버전 :

분류


파일:사규삼(영친왕).jpg
영친왕 사규삼[1]

1. 개요
2. 사규삼의 유래와 형태
3. 여담


1. 개요[편집]


조선의 남자 아이가 입는 평상복. 관례나 돌 등의 행사에서는 예복으로도 입었다.[2] 양옆과 뒷중심을 터서 네 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규삼은 옷자락이 네폭으로 갈라져 있는 데서 나온 명칭이다.

현대에는 부모들이 주로 돌잔치 스냅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 입히기 때문에 유아용 한복으로 접할 수 있다.

2. 사규삼의 유래와 형태[편집]


사규삼은 결과복(缺骻服)이라고도 하며 남색의 견(絹) 또는 주(紬)로 만든다. 깃은 맞대어 있고 소매는 둥글며, 갓을 트고 뒤를 갈라놓았다. 금(錦)으로 깃 및 소매 끝과, 옷자락 양 갓과 밑에 선(襈)을 둘러 도련 양쪽과 끝을 가지런히 한다. 동자의 상복이지만, 세속의 중치막과 같아 대용할 만하다.

《사례편람》


조선 후기에 편찬된 《사례편람》에서 사규삼을 결과복(缺骻服)이라고 썼다. 결과복이란 원래 중국에서 싸움터에서 입는 옷으로 일종의 융복(戎服)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우리 나라에 전래되어 남자 아이의 옷이 된 것이다.

영친왕이 10세 때 입은 사규삼의 앞면 소맷부리에는 수부귀(壽富貴), 다남자(多男子)라고 금박이 찍혀 있다. 이는 오래 살며(壽), 부유하고(富), 아들이 많기를(多男子) 기원하는 뜻이다.[3] 이처럼 어린 아이의 옷에 최대한 좋은 의미를 담아서 만들었다.

3. 여담[편집]


  • 일성록》을 보면 문효세자소렴을 행할 때, 남 생초 사규삼(藍生綃四䙆衫), 분홍 궁견 사규삼(粉紅宮絹四䙆衫)이 포함되어 있다.[4]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2:27:38에 나무위키 사규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친왕의 나이 10세 때 착용한 옷.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2] 평상복으로 입을 때는 복건과 같이 착용하고, 관례 때는 쌍계머리(雙紒: 쌍 상투)를 하고 착용한다. [3]장자(莊子)》의 〈천지(天地)〉편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고대의 성군인 요 임금이 화(華) 지역을 방문했는데, 그 지역의 봉인(封人: 변경을 지키던 벼슬아치)이 요 임금에게 축복한 말이다. [4] 일성록, 정조 10년 병오(1786) 5월 12일(갑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