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향사과

덤프버전 :

내용 요약
사향사과는 초기 불교 이래 깨달음을 얻은 성자들의 4가지 수행 단계[向] 및 도달 경지[果]를 가리킨다. 사도사과, 사향사득, 사쌍팔배, 사과향, 팔보특가라, 팔현성, 팔성, 팔배라고도 한다. 사향은 예류향, 일래향, 불환향, 아라한향이고, 사과는 예류과,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이다. 예류향은 성자가 되는 최초의 깨달음의 순간으로 견도(見道)라고 한다. 예류과에서 아라한향까지는 번뇌를 제거하는 수행하는 단계로 수도(修道)라 한다. 마지막 아라한과는 더 이상 수행할 것이 없다는 의미로 무학도(無學道)라 한다. 사향사과의 전통은 현재 테라와다 불교에서 전하고 있다.
정의
초기불교 이래 깨달음을 얻은 성자들의 4가지 수행 단계[向] 및 도달 경지[果]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사도사과 · 사향사득 · 사쌍팔배 · 사과향 · 팔보특가라 · 팔현성 · 팔성 · 팔배.
개설
사향사과(四向四果)는 초기불교 이래 깨달음을 얻은 성자들의 수행 단계[向] 및 도달 경지[果]를 말한다. 예류(預流)[수다원(須陀洹)], 일래(一來)[사다함(斯陀含)], 불환(不還)[아나함(阿那含)], 응공(應供)[ 아라한(阿羅漢)]의 네 성자가 각각 향(pratipannaka, paṭipannaka)과 과(phala)로 쌍을 이루는데, 여기서 향은 도(道, magga)라고도 한다. 사향사과는 사도사과(四道四果), 사향사득(四向四得), 사쌍팔배(四雙八輩), 사과향(四果向), 팔보특가라(八補特迦羅), 팔현성(八賢聖), 팔성(八聖), 팔배(八輩)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사향은 예류향[śrotāpatti-pratipannaka(범어. 이하 범으로 표기), sotāpatti-paṭipannaka(팔리어. 이하 팔로 표기)], 일래향[sakṛdāgāmini-pratipannaka(범). sakadāgāmi-paṭipannaka(팔)], 불환향[anāgāmi-pratipannaka(범),anāgāmi-paṭipannaka(팔)], 아라한향[arhat-pratipannaka(범), arahatta-paṭipannaka(팔)]이다. 사과는 예류과[śrotāpanna(범),sotāpanna(팔)], 일래과[sakṛdāgāmi-phala(범), sakadāgāmi-phala(팔)],불환과[anāgāmi-phala(범·팔)],아라한과[arhat-phala(범), arahatta-paṭipannaka(팔)]이다.
사향은 사과라는 깨달음의 결과에 도달하는 원인이 되는 깨달음의 순간을 의미한다. 예류향은 성자가 되는 최초의 깨달음의 순간으로 견도(見道)라고 하며, 예류과에서 아라한향까지는 남은 번뇌를 제거하는 수행을 하는 단계인 수도(修道)라고 한다. 마지막 아라한과는 더 이상 수행할 것이 없다는 의미로 무학도(無學道)라고 한다. 사향사과의 체험에서 생겨나는 지혜와 끊어지는 번뇌가 있다. 각 성자의 새롭게 제거된 족쇄[번뇌]와 남아 있는 윤회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예류과의 증득에 이르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제자는 예류에 들도록 이끄는 “네 가지 요소”를 닦아야 한다. 지혜롭고 덕 있는 참된 사람[스승]을 섬길 것, 정법[참된 법]을 배울 것, 지혜롭게 주의를 기울임[如理作意], 윤리[戒] · 집중[定] · 지혜[慧]의 세 가지 실천[三學]을 닦음으로써 성자의 법에 이르게 하는 수행을 하는 것이다.
예류가 된 성자는 네 가지 덕목을 갖춘다. ①붓다, ②담마, ③상가에 대한 흔들림 없는 청정한 믿음의 확립, ④성인에게 친숙하고 집중에 도움이 되는 도덕적 덕목인 다섯 가지 윤리[五戒]를 굳게 지키는 것이다. 법의 진리를 보고 나서, 예류는 남아있는 번뇌를 없애기 위해서 더욱 통찰을 길러 다음의 이정표인 일래를 깨닫는 것이다.
일래의 단계는 탐욕 · 분노 · 무지라는 세 가지 번뇌의 뿌리를 뽑을 정도로 약화시켜 도솔천 등 욕계에 한 번만 윤회하여 괴로움의 종식을 이룬다. 예류 혹은 일래를 얻은 제자는 다음의 두 단계인 불환과 아라한으로 나아갈 수 있다. 불환의 단계는 다섯 가지 낮은 족쇄의 소멸을 통해 도달하고, 다섯 가지 높은 족쇄만을 남겨 놓는다. 아라한이 되면 무지를 뿌리로 하는 모든 번뇌가 소멸된다.
상좌부불교의 이론에 따르면 석가불이 열반한 후의 5000년 내에 사념처(四念處,위파사나) 수행은 여전히 수다원과(須陀洹)와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을 수 있으며, 사념처 수행은 유일한 방법이다. 마하시 사야도 또는 레디 사야도가 쓴 저서 등을 포함한 사념처와 관련된 서적을 읽어야 정확한 사념처 수행을 잘 이해할 수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11 11:24:10에 나무위키 사향사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