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갤럭시 화이트/2014 시즌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삼성 갤럭시 화이트





1.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편집]


그렇게 오존은 몰락의 길을 걷는 듯 싶었으나, 롤드컵에서 푸짐하게 똥을 싸던 다데와 마타가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16강에서 확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면서 손쉽게 8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다데는 술통이 아니라 게임을 던진다던 그라가스를 완벽하게 소화해 내고 니달리로 적팀에게 고통을 선사해 주었으며, 자신의 주 챔프였던 심지어 너프까지 당한 제드를 완벽하게 소화해내며 적 원딜을 손쉽게 솔킬을 내는 등의 그림같은 플레이를 보여주었고, 마타는 소나로 크레센도를 쓰는 것마다 족족 대박을 터트리며 팀을 캐리했고 MVP까지 받았다. 연습을 많이 한 것이 대회에서 실력으로 나왔다고. 해설진들이 말하길 오존 팀 내에서 초심으로 돌아가 새롭게 시작하는 마음가짐으로 하겠다고 했다더라.[1] 부활한 다데와 마타를 등에 업고 다시 기대를 받기 시작한 팀.

이후 8강에서 프로스트를 3연 레오나로 박살내서 원사이드하게 4강 진출. 상대는 올해 포텐이 제대로 터진 나진 실드였는데 그나마 SKK의 대항마인 만큼 실드 정도야 원사이드하게 이기고 결승가겠거니 했으나 결과는 3:1. 그것도 몇몇 경기는 역전당할뻔도 해서 SKK의 2연속 우승을 축하한다는 얘기가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여졌다. 그런데 실드가 3, 4위전에서 사실상 세계 2등팀이라는 KTB를 상대로 명경기끝에 1:3로 아쉽게 패배하자 반사 이익으로 오존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었다.[2] KTB와 함께 둘뿐인 SKK에 대적할수 있는 팀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이후 다데와 폰을 맞바꾸고, 오존 소속으로 2명의 식스맨인 전 퀀틱 게이밍의 건자와 '호크형'이라는 아이디로 유명한 호크 손예준을 영입하였다. 블루의 식스맨과는 달리 마타라는 현존 정상급 서포터를 이미 가지고 있는 오존이 식스맨을 서포터로 뽑은 것에 대해 의문을 가지는 팬들이 많다.

3월 15일 현재 세계 2위팀이라는 KTB가 잘못된 리빌딩으로 엄청난 하향세를 겪고 있으며 창단 이래 최고의 전력을 갖추었다는 블레이즈는 IM에게도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삐걱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완전무결이라던 SKK 또한 진에어에게 밀릴뻔 하거나 한수 아래라던 SKS에게 연승 기록이 끊기는 등 많은 강팀들이 조금씩 아쉬운 모습을 보이면서 유력한 스프링의 우승 후보로 떠오르는 중. 다만 임프가 한동안 병원 신세를 진 뒤 컨디션 난조를 보이고 있어 조금은 지켜봐야 할거같다.

2. HOT6 Champions Spring 2014[편집]


Samsung Galaxy Ozone
감독
최윤상

Choi

코치
[[최우범|최우범

DoGGi
]]
로스터
파일:Top_icon.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형석|장형석

Loope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성영|윤성영

Homme
]]
파일:Jungle_icon.png
JGL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인규(1994)|최인규

Dandy
]]

파일:Mid_icon.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원석|허원석

PawN
]]

파일:Bot_icon.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승빈|구승빈

Imp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세훈|변세훈

Skatch
]]
파일:Support_icon.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세형(e스포츠)|조세형

Mata
]]


4월 16일 HOT6 Champions Spring 2014 8강에서 지난 윈터 결승전에서 자신들을 셧아웃시키며 전승 우승의 제물로 만들어버린 SKK에게 3:1로 복수하며 4강에 진출하게 됐다. 이로써 상대 전적은 9:8로 다시 역전.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4060821270896783_20140608212725_1.jpg

그러나 이어지는 준결승전에서는 장군도 아닌 검객으로 빙의한 신들린 다데의 활약에 폰의 사실상의 판정패로 결승행이 좌절되고 만다. 전세트를 통틀어 상대적으로 바텀 듀오도 그렇고 탑 정글 미드 모두 밀리고 말리면서 신흥 왕국으로 떠오르고 각광받던 오존의 빛나는 시대는 삼성 블루에게 판정패하며 정말 생각보다 빠르게 지고 말았다. 3, 4위전에서는 블레이즈에게 두 세트를 내주며 다소 부진했으나 롤 마스터즈 포스트시즌에서 다시 만난 블레이즈를 처참하게 깨부수며 클래스가 다름을 인증했다. 이후 결승에서 SKT 양팀을 상대로 2승을 챙기면서 3:0의 완승 구도를 만들어 보였다.

3. HOT6 Champions Summer 2014[편집]


Samsung Galaxy White
감독
최윤상

Choi

코치
[[최우범|최우범

DoGGi
]]
로스터
파일:Top_icon.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형석|장형석

Looper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성영|윤성영

Homme
]]
파일:Jungle_icon.png
JGL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인규(1994)|최인규

Dandy
]]

파일:Mid_icon.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원석|허원석

PawN
]]

파일:Bot_icon.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승빈|구승빈

Imp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세훈|변세훈

Skatch
]]
파일:Support_icon.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세형(e스포츠)|조세형

Mata
]]


HOT6 Champions Summer 2014에는 롤챔스에 처음 참가하는 빅파일 미라클과 프로스트가 포함된 꿀조에 걸려 너무 쉽게 8강에 진출했다. 다만 다섯 세트를 그야말로 압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조 2위인 SKS에게 한 세트를 내주었다. 세트 득실 2승 2패로 이상한 라이벌 구도가 생긴데다 1세트와 2세트의 경기력 차이가 컸기에 SKS의 강자 멸시가 실존함을 증명하는 증빙서류 취급.

8강에서 라이벌인 SKK를 상대로 3:1, 특히나 1경기 패배 후 2경기는 대 역전승, 3, 4경기는 양민 학살급 경기를 선보이며 4강에 안착했다.

그리고 또 다시 형제팀인 블루와 만나 1:3로 패배하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 롤드컵 직행에도 적신호가 들어왔다. 3, 4위전에서 무조건 이겨야 하며, 승리한다 해도, SKK가 NLB에서 우승하면 서킷 포인트가 동점이 되어 순위 결정전을 치러야 하는 상황을 맞이했다. 3, 4위전에서 SKS를 3:0으로 경기 내용이나 스코어 상으로 압살하며 최소한 롤드컵 선발전 결승 진출은 확정지었다. 만약 SKK가 나진 소드를 꺾고 NLB를 우승하게 되면 SKK와 순위 결정전을 치러 롤드컵 직행팀과 롤드컵 선발전 결승으로 내려갈 팀을 가리게 된다. 그리고 이날 승리로 3위를 기록하며 롤챔스 역사상 5시즌 연속 3위 이내 입상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5시즌 연속 4강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는 프로스트도 기록하지 못한 기록이다.[3] SKK가 NLB에서 우승하면서 결국 라이벌 매치가 성사되었다. 결과는 3:0으로 압살. 폰은 페이커를 상대로 모든 경기에서 솔킬을 따고 탑도 이기고 정글 바텀 듀오까지 승리. 이로써 형제 팀끼리 나란히 롤드컵에 진출했고 선발전을 거친 나진 실드와 함께 한국 대표 선정이 끝이 났다.

4.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편집]


Samsung Galaxy White
파일:SSW_2014.webp
감독
최윤상

Choi

코치
[[최우범|최우범

DoGGi
]]|[[윤성영|윤성영

Homme
]]
로스터
파일:Top_icon.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형석|장형석

Looper
]]

파일:Jungle_icon.png
JGL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인규(1994)|최인규

Dandy
]]

파일:Mid_icon.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원석|허원석

PawN
]]

파일:Bot_icon.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승빈|구승빈

Imp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세훈|변세훈

Skatch
]]
파일:Support_icon.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세형(e스포츠)|조세형

Mata
]]



파일:2014 삼성 화이트 롤드컵.png

2014 월드 챔피언십 챔피언

이현우: 이렇게 기계적인 팀도 한번쯤 약점 보여서 패배하고, 그러고 다시 다잡고 깔끔하게 승리 취하는, 이렇게 완벽한 팀이 또 다시 탄생했네요.


최윤섭: 넘사벽이에요.


총평하자면 그 강력함을 통해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상 역대 최고로 거론되는 팀 중 하나.

2014 롤드컵 16강 조별 예선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을 기준으로, 롤드컵 진출전 직후부터 쭈욱 롤챔스 4시즌 중 우승이 한 번도 없는 게 이상할 정도로 여겨지는 최종 보스와 끝판왕 포스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와 해외를 비롯한 여러 팀들의 평가는 '스크림에서라도 삼성 화이트를 이기면 자신감이 붙는다.' 수준으로, 스크림에서조차 방송 경기와 수준이 차이가 나지 않는 엄청난 위압감을 낸다고 한다. 또한 스프링 4강, 서머 4강에서 삼성 블루와 맞붙지 않았더라면 우승을 2번은 했을 거라는 평가.

라인전부터 설계되는 탈수기 운영의 진가를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며, 정글러 댄디와 서포터 마타의 유기적인 케미는 명불허전. 조별 예선에서 2차례에 걸쳐 중국 1위의 EDG를 압도적으로 찍어눌렀다.

조별 예선을 6전 전승으로 통과하며 벌써부터 5승 1패, 4승 2패로 통과한 삼성 블루(C조 1위 진출)와 나진 쉴드(D조 1위 진출)와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다. 인터뷰에서 삼성 화이트를 만나고 싶지 않다고 했던 로코도코의 발언이 삼성 화이트의 포스를 요약한다.[4]

8강에서 TSM을 3:1로 꺾고 4강에 진출, 4강에서 또 삼성 블루를 만나게 되었다.

4강에서 자신들에게 번번히 패배를 안기며 결승 진출을 좌절시켰던 형제팀 삼성 블루를 드디어 3:0으로 승리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그것도 일방적으로 압살한 경기들이 많았다. 제대로 복수를 한 셈.[5]

결승전에서 인섹, 제로가 속한 로얄 클럽을 상대로 좀 안일한 픽을 한 3세트를 제외하면, 1, 2세트는 압도적으로, 4세트는 초반의 불리함을 곧 뒤집고 역시 압도적인 격차로 우승을 차지하였고, 본인들의 첫 우승과 LCK 리그 팀의 롤드컵 2연패를 달성했다.

파일:2014롤드컵우승.jpg

그러나 롤드컵 제패 이후 삼성의 경영 변화로 인해 스포츠팀에 지원을 줄이기 시작하면서 만만한 e스포츠 구단을 쳐내기로 결정했고[6] 더 이상 연봉을 맞춰줄 수 없게 되었다.[7] 그래서 거취가 결정되기도 전에[8] 탈퇴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

2014년 10월 25일, 마타가 탈퇴한 것이 마타 본인의 페이스북을 통해 알려졌다. 그 다음 달인 11월 1일에 폰과 댄디와 임프가 탈퇴한다는 것이 페이스북을 통해 알려지게 되면서, 결국 2014 시즌의 최종 보스였던 삼성 화이트는 1달만에 공중분해되어 역사 속의 팀으로 남게 된다.

5. 팀별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4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4:31:19에 나무위키 삼성 갤럭시 화이트/2014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존의 서포터 마타는 페이스북에서 자신이 너무 안일하게 노력했다며 다시 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옴므, 루퍼를 제외한 팀원들을 태그하고서 글을 올렸다. 멘탈이 좋지 않기로 가장 유명했던 임프 또한 팀 다크의 클템 헌정픽 경기에서 MVP를 받은 뒤 "자신은 프로이기 때문에 최선을 다했다"라는 언급을 해 호평을 받았다.[2] 그러나 다른 시각에서 보면 KTB는 이긴 경기들을 전부 압도적으로 이기고 노페가 각성한 한 경기에서만 진 반면, 오존은 이긴 경기들도 힘들게 치고 받았다. 뭐 어차피 윈터 이후 두 팀 다 리빌딩을 하면서 이후 평가는 혼돈의 카오스로 갈듯.[3] 프로스트는 준우승 - 우승 - 준우승 - 4위 - 4위를 기록했다. 시즌 3 이후로는 CJ 양팀은 4강 이상의 무대에서 단 한번도 형제팀을 제외하곤 다전제 승리를 가져보지 못했기 때문에 유독 3, 4위전에서 약하다기보단 대진운이 괜찮아 4강 혹은 결승에 진출했다는 시각이 많았다. 그리고 이는 롤드컵 진출전 참패와 다음 시즌 처참한 실패로 드러나게 된다.[4] 트롤쇼 대만편 특집에서 삼성 화이트를 만나면 좌절이라고 코멘트했다. 이유도 단순 명확하게 "넘사벽이예요." 삼성 블루와 나진 실드는 해볼만하다면서 했던 말.[5] 실제로 삼성 화이트의 2014 시즌 마지막 행보는 설욕이란 한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중간에 한번씩 일격을 가해 강자 멸시라는 타이틀을 얻기도 했던 SKS는 2014 서머 3, 4위전, 숙명의 라이벌로 통했던 SKK는 롤드컵 대표 선발전, 그리고 그 라이벌인 SKK를 연속으로 8강에서 꺾었음에도 역시 연속으로 4강에서 화이트를 좌절시켰던 형제팀 삼성 블루를 롤드컵 4강에서 모두 3:0으로 찍어누르면서 각 팀과의 마지막 대전을 완승으로 마감했다. 그리고 팀의 최대 흑역사 시즌 3 롤드컵은 2014 롤드컵 최고 승률 타이로 우승하면서 역시 설욕했다. 이는 삼성 갤럭시 화이트의 마지막 공식전이기도 하다.[6] 직후 프런트가 나서 어떻게든 '이름'만은 남기기로 합의를 본 게 이후의 Samsung Galaxy.[7] 연봉을 1억으로만 맞춰달라 했던 요구도 거절 당했다고 한다.[8] 당시 마타에게 국내 러브콜이 없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