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기)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象. 장기의 기물로, 체스에서 대응되는 기물은 비숍이고, 쇼기에서는 각행과 은장이 상의 역할을 한다. 비록 행마법은 서로 다르나, 졸병의 대열을 뚫는다는 점이서는 같다. 원래 각행이나 비숍 등 여기에 해당되는 포지션의 기물은 대각선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게 원칙이지만, 상은 그들보다 많이 퇴화된 행마법으로 움직인다.


2. 상세[편집]


사(士)와 같이 3점으로, 마와 같지만 쓸 용(用)자 형태로 같은 대각선 방향으로 한 칸 더 간다는 차이점이 있다. 상은 멱이 두 개가 있는데. 마와 마찬가지로 멱이 막히면 못 간다. 이름'상'[1]이라 그런지 엄청난 거리를 가는 데다, 도중에 멈출 수도 없는 만큼 운용하기 까다로운 편이다. 이동하기가 어려운 말이라서 중요도가 떨어지지만 엄청난 대각선 이동 범위를 잘 활용하면 강한 위력을 발휘할 수도 있고, 중후반부에 상이 모두 살아 있으면 상대하기 곤란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고수들은 궁 앞에 포 대신 상을 두는 작전을 구상하기도 한다. 면상이라고 하며 포가 수동적으로 궁을 수비하는 게 아니라 역동적으로 왼쪽에 뿅 오른쪽에 뿅 홍길동 적을 공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면에 포가 오지 않는 만큼 면이 워낙 취약해 고등마가 대부분 올라오고 농포가 무용지물이 되면 상당히 수비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는 기풍이라고 볼 수 있다.

상당수의 사람들이 상을 졸&병 잡고 없애는 용도[2]로 사용하는데, 이것도 그렇게 나쁘지 않은 유효한 사용법이긴 하지만[3] '뜬금없이 달려오는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마보다 강력한 위력을 발휘한다. 초보들은 특히 상을 잘 쓰는 상대를 조심하자. 공격 거리가 상당히 넓어서 예상하기 힘들기 때문에, 기세좋게 공격 나오다가 상에게 차를 털리거나, 사를 갑자기 따인다거나, 상한테 앞뒤로 차/포 혹은 양차가 동시에 걸려버린다거나[4], 심하게는 상이 멀리서 자신의 궁성 한쪽을 겨냥하고 있음을 눈치채지 못해 외통에 걸려버리는 경우가 흔히 있다. 그래서 양학할 때 정말 좋다. 상에게 차를 털리면 정말 허탈해진다

먼 곳에 있는 기물을 보호하는 식으로 적을 견제할 수도 있으며, 적이 쉽게 예상하지 못할 위치에서 뜬금없이 달려오는 게 가능하기 때문. 더욱이 장기판이 좁다보니 상 하나 잘 박아놓으면 상대방의 공격 루트를 매우 효과적으로 틀어막아버릴 수 있다. 상을 빨리 투입시켜서 사를 잡는 전술도 있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상으로 사를 일부러 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후반전에 상으로 상대 궁성 한 쪽을 겨눠 외통수를 보거나, (원앙마라면) 상대 면포를 차로 묶은 뒤 중앙상이 뜨면서 면포를 걸어버리는 수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 원앙은 사 하나를 상에 내줘도 수비가 탄탄하니 괜찮다. 안궁한 상황에서 상대 상장이나 마장이 신경쓰인다면 곁마나 곁상으로 막는 게 가능하기 때문.

이른바 면상이라 하여 포 대신 상으로 궁을 보호하는 전술도 존재한다. 이 경우 양포를 공격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포로 방어해야 할 자리에 상을 놓고 궁은 아래로 내린 뒤 그 사이에 사를 박아넣는 전술이다.

대체로 초반에는 상대방의 주요 공격로차길를 막거나 상대의 졸병대 라인을 요격해 약화시키는 용도로, 후반에는 상대방 궁성 한쪽을 겨냥함과 동시에 포의 다리 역할로 사용한다. 초보들은 상을 '졸&병 치우기'에서 '상대방 조이기'용으로 생각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훨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5] 보통의 움직임으로도 왕왕 궁을 압박하기에 매우 좋고, 차를 움직이게 만드는 등 상을 이용하는 것을 보면 고수인지 하수인지 알 수 있다. 점수가 졸병 다음으로 낮은 3점이기 때문에, 상대의 형태를 부수기 위해서는 졸병 하나와 교환해도 그렇게까지 손해가 아니며, 대부분의 다른 기물과 교환시 이득이기에 경계 대상이다. 때문에 상마대나 상포대를 이루어 내면 상당히 기분이 좋으며, 특히 차를 어이없게 헌납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상길을 놓치는 것임은 고수 하수를 막론하고 장기인이라면 누구나 겪어보는 케이스. 멱이 마보다 하나 더 많은 대신(장기판 위에 놓았을 경우 마의 멱자리는 4곳, 상의 멱자리는 12곳이다.) 행동반경이 더 넓기 때문에(用 행마가 차지하는 면적은 장기판 전체의 1/12에 해당하며, 마의 日 행마가 차지하는 면적의 3배이다.) 멱자리가 없을 경우 중앙상이나 귀윗상의 경우 궁성 모든 곳을 2수 안에 들어갈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중앙상의 경우는 위로 진출하면 안궁한 상태의 궁 및 옆으로 한 칸 틀은 궁을[6], 긴상으로 날면 상대의 면포와 곁자리를 조준할 수 있으며, 귀윗상은 위로 뜰시 하귀 자리를, 길게 뜰시 상대의 귀마 위치를 조준할 수 있다. 때에 따라서 상장에 차를 날리거나, 중포했다가 긴상에 걸려 양포가 동시에 걸리게[7] 되면 전황이 급격히 기울 수도 있기에 주의해야 한다. 귀마 vs 귀마 대국에서 선수 입장에서 맞상을 차리지 말라는 이유가 이것으로, 맞상의 경우 양측의 귀윗상이 서로를 조준하게 되어 먹어버릴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상대의 진영을 허무는 시발점이 되면서 중후반에는 조커 역할도 할 수 있는 상을 초반에 서로 떼고 두는 것이기에 전개가 보다 단순해지며 서로가 꽁꽁 싸매고 별 영양가 없는 기물 교환을 반복하다가 후수의 덤 1.5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초가 패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8]

그래도 장기의 직계 선조인 샹치에서는 대각선으로 두 칸만 움직일 수 있고, 장기판 중앙에 강이 나 있어 이 구간은 반드시 직선으로만 이동해야 하는 샹치에서는 궁에서 나갈 수 있는 말 중에 유일하게 강을 넘어갈 수 없어서[9] 방어용으로만 쓸 수 있으니 이거보단 나은 셈[10].
[1] 사실 다소 고증오류에 가까운데 초한전쟁에는 전투 코끼리가 동원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중국 남부에 코끼리가 살았기 때문에 장기에도 상이 있다고 한다.[2] 특히, 초보들끼리 하다보면 서로 상 먼저 갖다 버리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3] 중반전에서 승부를 보려면 졸병을 앞으로 밀어 전투(졸병대)를 벌이면서 상대의 졸/병 라인을 뚫어내야 하는데, 상으로 상대 졸/병을 쳐서 이 졸/병 라인을 약화시켜 놓으면 나중에 여기를 뚫어내기가 수월해진다.[4] 동시에 걸린 두 기물 중 하나가 도망가면서 장군을 부를 수 있는 자리, 멱을 막을 수 있는 자리, 또는 외통수를 겨냥할 수 있는 자리를 찾아보자. 이런 자리가 있다면 걸려있는 두 기물을 모두 살릴 수 있다.[5] 상으로 상대의 졸 방벽을 허물기 위해 졸을 하나 정도는 쳐도 괜찮다. 다만, 상대의 졸을 쳐서 진영 한 쪽을 허물 때는 (상졸타 이후) 확실히 수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쪽의 졸을 칠 것. ex) 상대 좌진에 졸이 2개, 아군 좌진에 졸이 3개라면 상대의 좌진졸을 쳐서 1:3의 구도를 만들라는 것. (이렇게 되면 상대 독졸은 아군의 삼졸 전진에 속절없이 무너져, 결과적으로 졸 방벽이 쉬이 허물어지게 된다.) 팁으로 만약 상으로 졸을 먹으려면 차를 하나 올려서 같이 잡는 방법도 좋다. 상으로 졸 하나 먹고 상을 먹는 졸은 차로 먹는 식으로 운용하면 괜찮다. 전문용어로 둘잡이, 혹은 양득이라고 부르는 전술로, 상당히 좋은 수다. 하지만 마가 면포 앞에 나와 있을 경우 이렇게 했다가 마에 의해 차, 포가 동시에 걸리는 수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차로 장군을 부를 수 있다면 차장을 쳐서 차를 대피시킨 뒤, 다음 수에 포를 피신시키거나 마멱을 막아서 포를 지키면 큰 문제는 없다.)[6] 가장 위험한 자리라 봐도 무방하다. 이 자리에 상대의 상이 들어오면 (특히 외사일 경우) 이 상 때문에 묶인 마나 포, 심하게는 차를 날리기도 하며, 궁의 퇴로를 제한시키는 역할까지도 하는 고로 외통수를 만들어내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한다.(궁을 1선 귀퉁이로 피신시킨 상태에서 차장을 맞을 경우 도망갈 수 있는 윗자리를 이 상이 겨누기 때문.)[7] 중포가 위로 넘을 수 있는 경우, 중포를 넘겨서 상대 상이 면포를 치는 길의 멱을 막아버리면 해결된다.[8] 물론 이것은 같은 기력에 서로 이렇다한 실수가 없었을 경우의 가정이므로 실제로는 여러가지 변수가 있을 수 있다. 맞상에 대한 이해도, 방심이나 수읽기 미스, 기력 차이 등등.. 어디까지나 기본적으로는 맞상이 초 입장에서 별로라는 것. 때문에 수많은 아마추어들이 지금도 맞상을 두고 있다.[9] 심지어 상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한국장기와 다르게 중국장기는 안상차림이 강제되기 때문에, 두 개의 상을 합쳐서 장기판의 단 7곳만 도달할 수 있다. 멱자리가 있는 건 덤.[10] 사실 세계 어디를 가나 샤트란지 계열의 보드게임에서 비숍/상에 해당하는 기물은 퀸/사에 해당하는 기물과 행마법이 거의 비슷하게 설계된 경우가 대다수다. 나이트/마처럼 변한 한국장기가 특이 케이스. 한국 장기에서 상의 행마는 차투랑가에서의 비숍/상에 해당하는 두 가지 행마를 적절히 혼합한 듯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6;"
, 2.6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6;"
, 2.6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9:35:17에 나무위키 상(장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