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체놀이

최근 편집일시 :

분류

1. 개요
2. 기원
2.1. 가상 매체에서
2.1.1. 애니메이션 더빙판의 번역 문제
2.2. 현실에서
2.2.1. 동물의 시체놀이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짱구놀이.jpg
짱구는 못말려》에서 짱구의 시체놀이[1]
시체와 같이 죽은 척을 하며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 형태의 놀이이다. 현실성을 위해 시체보존선을 그어주기도 한다.


2. 기원[편집]


시체놀이의 기원은 미국 워싱턴 D.C.에서 Scott Amy와 Joel Marshall이 만든 놀이이다.[출처] 많은 사람들이 크레용 신짱이나 영국에서 전파되었다고 생각하는데, 연도 순으로만 따져보아도 Scott Amy와 Joel Marshall이 1984년으로 제일 먼저 시작하였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보급된건 1994년 Tom Green이 어떤 케이블 방송에서 이 놀이를 하였기 때문이다.


2.1. 가상 매체에서[편집]


  • 개그콘서트의 봉숭아 학당의 이정수가 혼자놀기의 진수를 보여주겠다고 하며 엎드리더니만 이것을 시체놀이라고 칭했다.


2.1.1. 애니메이션 더빙판의 번역 문제[편집]


국내에 정식 유통된 만화와 비디오 더빙에선 '시체놀이'라는 명칭을 제대로 사용하는데, 투니버스 등에서 방영된 애니메이션 판에서는 시체라는 말을 쓰기가 뭐했는지 '자는 중'[2]이라 했다. 이는 아동용 애니메이션에서 사람이 죽거나 죽음에 관련된 내용은 일종의 금기이기 때문이다.[3] 덕분에 짱구는 졸지에 대낮에 노숙을 즐기는 꼬맹이가 되고 말았다.


2.2. 현실에서[편집]


파일:attachment/시체놀이/tumblr_lldscrzaEy1qk7kj8o1_500.jpg


기사에도 나왔지만 플랭킹(Planking)이라고 불리는 위험한 곳에 누워서 사진을 찍는 놀이로, 누가 더 위험한 곳에서 사진을 찍는가 경쟁하는 것이 2011년에 유행했다.

이 시체놀이를 즐기는 경우에는 맨 위에 나온것처럼 혼자 노는 경우도 꽤 있어서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 올릴 인증샷 따위를 찍으려고 폰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가서 한 손으로 셀카를 찍기도 하는데 그것은 몇십배는 더 위험하니 균형을 잃으면 그 순간 바로 끔살된다. 실제로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한 20대 청년이 시체놀이를 즐기다가 진짜 시체가 되어서 논란을 빚었다.관련기사 그리고 2011년 다윈상 수상까지 받았다고 한다.

한 때, 미국의 래퍼인 엑스지빗이 시체놀이의 기원이 대서양의 노예선 내 수 많은 흑인들이 취침할 때, 일렬로 빼곡하게 똑바로 눕게만들어 인종차별로 보여질 수 있으니 하지마라고 트윗했으나 이는 근거 없는 사실로 밝혀지기도 했다.

이렇게 위험한 행위가 되다보니 직장, 정부, 뉴스 등에서 플랭킹을 비난하고 금지시켰지만 반발심리로 인해 더욱더 유행을 타 번져나가다 빠르게 인기가 식어버리게 되었으며 대신에 다양한 바리에이션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2.2.1. 동물의 시체놀이[편집]


줄무늬하이에나주머니쥐가 시체놀이를 즐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주머니쥐는 진짜로 시체 냄새를 풍기는 기술을 발휘할 수 있고 시체놀이하다가 트럭에 치여서 진짜 시체가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또한 무당벌레를 비롯한 많은 곤충들이 죽은 척을 해서 천적을 따돌리기도 한다. 죽은 척 문서 참고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3:47:49에 나무위키 시체놀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원본은 시체놀이가 아니라 짱구가 액션가면한테 배신당해서 충격을 받아 쓰러진거다.[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Planking_(fad)[2] 간혹 짱구에서 '통나무 놀이'라고 번역된 경우도 있는데 상술했듯 시체놀이와 유사한 플랭킹이 빳빳한 널빤지를 흉내내는 형태라는 것을 감안하면 비슷한 맥락의 표현이다.[3] 일본이나 미국도 별 다를거 없다, 만화판은 원래 성인 딱지가 붙었었기에 너그러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