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여

덤프버전 : (♥ 0)

분류


WT 태권도품새
[ 펼치기 · 접기 ]
유급자 품새 태극(太極)
태극 1장태극 2장태극 3장태극 4장
태극 5장태극 6장태극 7장태극 8장
성인 유급자 품새 태권
태권 1장태권 2장태권 3장태권 4장
태권 5장태권 6장태권 7장태권 8장
유급자 품새 팔괘(八卦)
팔괘 1장팔괘 2장팔괘 3장팔괘 4장
팔괘 5장팔괘 6장팔괘 7장팔괘 8장
유단자 품새
고려(高麗)금강(金剛)태백(太白)평원(平原)
십진(十進)지태(地跆)천권(天拳)한수(漢水)
일여(一如)
경기용 품새
비각(飛脚)한류(韓流)힘차리(Himchari)야망
새별(Saebyeol)나르샤(Nareusya)어울림(Eoullim)새아라(Saeara)
한솔(Hansol)나래(Narae)온누리(Onnuri)
파일:wt.png



1. 개요
2. 의미
3. 전의 품새에 없던 동작
4. 훈련 영상



1. 개요[편집]


태권도품새 중 일여에 대한 문서.

2. 의미[편집]


9단이 수련하는 품새. 품새선은 '불교 만'자(卍)이다. 제정 당시의 명칭은 '신라'였으나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다.

태권도의 마지막 품새로 신라시대의 승려원효대사의 사상을 바탕으로 엮어졌다.

품새선 특성상 동작이 흔히 생각하는 선대칭형이 아니라 점대칭형이다.

3. 전의 품새에 없던 동작[편집]


준비자세는 보주먹 모아서기

  • 서기
    • 학다리 오금서기
  • 공격
    • 외산틀 옆차기
    • 두손펴 비틀어 잡아당기기
    • 뛰어 옆차기

4. 훈련 영상[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5:39:17에 나무위키 일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