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호도

덤프버전 : (♥ 0)

분류

1. 개요
2. 역사
3. 특징 및 의의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까치호랑이를 소재로 하는 민화.

원나라와 명나라의 자모호도(子母虎圖)와 유호도(乳虎圖)를 연원으로 하며, 임란 시기를 전후하여 조선에 전해졌다.


2. 역사[편집]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작호도의 연원은 중국에서 기원하는 것인데, 원나라와 명나라 때의 자모호도(子母虎圖)와 유호도(乳虎圖)가 그 근간이다. 이 때의 자모호도와 유호도는 조선의 작호도와 달리 세밀한 구성을 띄었다.

이후 17세기의 임란을 전후하여 자모호도와 유호도가 조선으로 전래되었는데, 이 때 그림 속 호랑이의 모습이 점점 평면적이게 변하였다.

18세기에 다시 사실주의 화풍이 득세하며 호랑이의 표현이 사실적으로 변하였으나, 19세기에는 민화가 득세하며 평면적인 모양으로 변하였다.


3. 특징 및 의의[편집]


배경을 소나무로 두고, 호랑이와 까치가 등장하는 것이 주요 구성이며, 이외에도 바위나 잔디 등의 자연물이 등장하기도 한다.

호랑이는 대게 우스꽝스러운 모습이며, 이를 까치가 소나무에서 내려다보는 구성이 대표적이다.

여기서, 호랑이는 탐관오리와 같은 권력층을 뜻하고 까치는 민초를 뜻한다, 즉 작호도는 권력층에 대항하는 민초를 표현하는 일종의 우화인 것이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5 07:25:36에 나무위키 작호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