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연(고고학자)

덤프버전 :

이름
조대연(조대연) [https://culture.jbnu.ac.kr/jbnuProfl/culture/316/3132/artclView.do]
출생일

현직
전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교수

약력
2010~2012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장, 인문학부장
2009 전북대학교 박물관 고고부장
2007~2009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전임강사
세부전공
고고학과 자연과학, 토기분석
조대연(고고학자)전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교수이다.


1. 저서[편집]




2. 논문[편집]


2020 “실크로드피아(Silkroadpia)’의 활용과 문화유산의 창출 – 백제부흥운동의 경로복원을 중심으로” 문화기술의 융합 (JCCT), 6(1): 343-350.
2018 “삼국시대 철 제련조업과 송풍관의 운용 -실험고고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호서고고학, 39: 128-149.
2017 “고대 철 제련로의 전개과정 및 철 생산 복원실험에 관한 검토–유럽의 사례를 중심으로–” 숭실사학, 38: 47-76 .
2017 “COMPOSITIONAL ANALYSIS OF CERAMICS FROM GOGURYEO FORTIFIED SITES IN CENTRAL KOREA” ARCHAEOMETRY, 59(6): 1018-1033.(공동)
2016 “유럽 철기시대 철 생산체제의 성립과정에 대한 연구” 호서고고학, 35: 94-115.
2015 “근대국가의 형성, 민족주의, 그리고 고고학-그리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72(3): 305-335.
2013 “신석기시대 제주도 토기의 남해안지역 유통 양상 연구-자연과학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83: 33-51.
2012 “청동기시대 청동제품의 생산전문화 양상에 대한 일고찰-남한 출토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의 표준화 양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75: 147~168.
2011 “선사시대 교역에 대한 연구 사례검토-후기청동기시대 동지중해난파선자료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호남고고학보, 39: 107-129.
2010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의 토기 소성유구 변화 양상에 관한 일 고찰-실험고고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호서고고학, 23: 82-109.
2009 “New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Production and Exchange in Korean Archaeology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12: 81-100.
2008 “진천 삼룡리, 산수리 유적 출토 토기의 생산기술에 관한 고찰: 토기암석학과 주사 전자현미경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보, 62: 55-84.
2008 “부안 부곡리Ⅱ유적 토기의 생산기술에 관한 일고찰” 연구논문집, 8: 39-58.(공동)
2007 “초기철기시대 납-바륨 유리에 관한 고찰-실험 고고학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63: 34-63. 2003 “자연과학적 방법을 이용한 토기분석에 관한 일고찰” 기전고고, 3: 239-248.


3. 학술대회[편집]


* 2023년 호남고고학회 학술대회 좌장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1:49:47에 나무위키 조대연(고고학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