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예비군

덤프버전 :

분류

1. 정의
2. 활동
3. 평가
3.1. 긍정적인 평가
3.2. 부정적인 평가



1. 정의[편집]


2008년 촛불집회에 참여한 예비군들. 실제로 이러한 조직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예비군복을 입고 시위에 나온 불특정 다수예비역 청년들[1]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개인 단위로 참가한 인원이 많고 이들 전체를 아우를만한 특징이 있는 것도 아닌 관계로 다소 모호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중반 이후 집회가 격화/본격화 되면서 일정한 활동양상이 형성되었다.


2. 활동[편집]


촛불집회 내에서 예비군들이 눈에 띄기 시작한 것은 본격적인 예비군 훈련 시기인 5월 이후였다. 참여자들 중에 예비군 훈련을 받고 바로 온 사람이 있었고, 보통 집회나 시위 현장에서는 보기 힘든 이들의 군복때문에 눈에 띄었던 것. 그리고, 촛불집회가 중반기에 이르러 집회가 대규모화 되면서 참여한 예비군의 수 역시 많아졌고, 6월이 가까워질 무렵에는 촛불집회 내에서 상당한 수를 갖춘 집단으로써 눈에 띄기 시작했다. 실질적으로 이들을 한데 묶어 촛불예비군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던 것이 대략 이 무렵부터이다.

이러한 인식이 생긴 이후, 이전까지 각 개인단위로 참여했던 예비군들 사이에서 일정한 동질감이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촛불예비군이라는 이름으로 집회 내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났다. 공통점이 있을 뿐인 불특정 다수였던 이들이 정말로 조직화에 가까운 현상을 보이기 시작한 것. 이 경우 예비역 청년이라는 특성을 살려 집회의 질서 유지나 경찰과의 충돌 방지, 행진의 대열 유지, 몸싸움 등 근력과 체력이 필요한 영역에 앞장서려는 경향이 강했으며, 집회의 규모가 가장 컸던 6월부터 이러한 활동이 본격화되었다.[2] 이후, 이들의 활동은 촛불집회의 진행과 함께 계속되었으나, 7월에서 8월에 이르러 집회가 하강국면에 이르면서 자연스럽게 중단되었다.


3. 평가[편집]



3.1. 긍정적인 평가[편집]


이전 시기의 전형적인 운동권 집회들이 참여자 전체에 영향력을 끼치는 지도부에 의해 통제되는 경우가 많았던 것과 비교할 때, 2008년 촛불집회는 개인 단위의 참가자 비중이 매우 높았고, 이 때문에 집회 전체를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이 사실상 없었다. 이런 경우, 조직화된 집단이 아니라 자유롭게 판단하고 행동하는 개인들이 집회의 주축이 되었다는 것은 시민사회운동으로써 매우 높게 평가받을만한 특징이지만 집회를 유지할 수 있는 응집력이나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대처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에서는 상당한 불안요소를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따져보면 참여인원이 지나치게 분산되어 집회의 동력이 소실되거나, 반대로 지나친 과밀로 인하여 참여자의 불편, 부상의 위험, 무의미한 공격성의 심화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고,[3] 다른 측면에서 본다면 경찰의 진압 및 연행 시도에 대한 저지력이 필요하면서도 동시에 집회 참여자의 돌발적인 행동[4]을 제지할 필요가 있으며, 부상자 발생등의 긴급상황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일종의 안전망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권위주의적 지도부에 의해 각 참여자를 억압하지 않으면서도 집회를 유지하는 주요한 원동력 중 하나였다는 점에서 촛불예비군의 활동은 높게 평가받을 만 하다. 특히 촛불예비군 자신들도 자발적인 참여자였다는 점에서 외부의 강제가 아닌 자발성에 의하여 집회 내의 질서를 유지하는 반권위주의적 시도로써 매우 상징적이다.


3.2. 부정적인 평가[편집]


촛불예비군이라는 집단이 명확한 실체적 조직으로써 등장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일부 구성원의 문제를 집단 전체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의 원인으로 삼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라고 볼 수도 있다.

촛불예비군이 갖는 긍정적인 측면 중에 '지도부에 의한 권위주의'의 부정이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역설적이지만, 촛불예비군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각 참여자들 중에서 권위주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특히, 20대 중후반의 나이와 예비역들이 피하기 힘든 군대문화의 잔재, 그리고 특정한 집단으로 묶이지 않는 다른 참여자들에 비해 촛불예비군이라는 집단의 이름으로 활동한다는 특성등이 맞물려 종종 주변의 다른 참여자들을 자신이 통제해야 할 대상[5]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중에서도 청소년 참여자들에게 강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집회 진행에 대한 일종의 진행요원이나 안전요원으로써의 책임을 자처했다는 측면에서, 대부분의 촛불예비군들이 집회 진행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전무했다는 점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상황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런 능력 없이 상황을 통제하려고 시도했기 때문에 오히려 문제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의 하나로, 촛불예비군들은 보통 참여자들과 경찰이 충돌하는 상황을 회피하려고 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대단위의 군중이 움직이는 양상과, 경찰의 행동패턴을 알고 있어야 한다. 즉, 경찰이 언제쯤 진압을 시도할 것이고, 이 경우 참여자들을 어떤 식으로 유도해야 할 것인지를 알아야 한다는 것. 두 가지 모두, 경험이 있다면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다. 그런데,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전혀 없는 상태라면 무익하게 힘만 들 뿐,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는 어렵다는 것이 문제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0:40:55에 나무위키 촛불예비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비군 훈련을 받은 후 옷을 갈아입지 않고 그대로 온 경우가 많았다.[2] 실제 역사상으로 봐도 한 집단의 기강을 잡을 때는 복식, 즉 유니폼을 정비하는 사례가 많았다. 국사시간에 '왕권을 강화하였다.'라는 수식어가 붙는 왕들의 대부분의 업적에서 '율령반포', '복식정비' 등이 붙는 것도 그러한 이유. 즉 어느 집단이 동질성을 가진 복식을 착용함으로서 연대의식을 높이고 집단소속감 고양 및 행동양식의 수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 이들 역시 예비군들로서 입고 나온 예비군복이라는 복식에 의해 연대감이 형성된 것이다. 의도된 바가 아니라 우연이긴 했지만. 게다가 예비군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대부분 20대, 즉 한창 나이대인 청년들이었기 때문에 혈기왕성한 체력과 활동력을 가진 것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3] 이러한 요건이 부정적 시너지를 일으킬 경우 시위가 폭동이 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LA 폭동, 2011년 영국 폭동 등이 있다. 처음에는 항의 차원에서 벌어진 시위가 폭력적 양상을 띠면서 약탈, 방화, 강도, 폭력행위 등이 수반되는 폭동이 된 것. 5.18 민주화운동이 위대하게 평가받는 이유가 바로 그런 것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4] 특히 과도한 폭력행사 등[5] 군대식으로 표현한다면 자신이 지휘해야 할 대상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