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

덤프버전 :


주요 상훈 및 역임 지위 이력
[ 펼치기 · 접기 ]





192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수상자 전체 목록 보기
1928년

1929년

1930년
샤를 니콜(프랑스)[1]
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영국)
크리스티안 에이크만(네덜란드)[2]
카를 란트슈타이너(오스트리아)[3]


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 경
Sir Frederick Gowland Hopkins

OM[1] PRS[2]

파일: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_PRS.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생리학·의학상|{{{#white 1929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국적
[[영국|

영국
display: none; display: 영국"
행정구
]]

출생
1861년 6월 20일
[[잉글랜드|
잉글랜드
display: none; display: 잉글랜드"
행정구
]]
, 서식스, 이스트본
사망
1947년 5월 16일 (향년 85세)
[[잉글랜드|
잉글랜드
display: none; display: 잉글랜드"
행정구
]]
, 케임브리지셔, 케임브리지
직업
생화학자, 의사, 교수
연구분야
생화학
업적
성장 촉진 비타민의 발견
서명
파일: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_서명.jp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학력
런던 대학교[1]
(국제 프로그램 / B.Sc.)
킹스 칼리지 런던 GKT 의과대학
(의학 / M.D.) (1888년 – 1894년)
경력
킹스 칼리지 런던 GKT 의과대학
(분석조수 • 강사) (1894년 – 1898년)
케임브리지 대학교[2]
(연구원 • 강사) (1898년 – 1914년)
(생화학과 교수) (1914년 – 1943년)
제45대 왕립학회장 (PRS)
(1930년 – 1935년)
상훈
왕립학회 회원 (1905년)
로열 메달 (1918년)
에든버러 대학교 치료학 카메론 상 (1922년)
기사작위 (1925년)
코플리 메달 (192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1929년)
앨버트 메달 (1934년)
메리트 훈장 (OM)[3] (1935년)


1. 소개
2. 생애



1. 소개[편집]


The Father of British Biochemistry.

영국 생화학의 아버지[출처]

영국의 생화학자 겸 의사. 글루타티온을 발견하고 그 구조를 생화학적으로 결정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2. 생애[편집]


1894년에 런던에 있는 가이스 병원[3]에서 의사 자격을 취득하였다. 이후 곧바로 가이스 병원에서 분석조수로 일하며 생리학과 독성학을 가르쳤으며, 나비 날개의 색소와 요산의 정량법 등을 연구하였다. 1898년 생리의학회에서 만난 마이클 포스터(Michael Foster)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의 초대를 받아 그의 연구실에 합류했으며, 1914년엔 케임브리지 대학교 생화학과(Department of Biochemistry) 교수로 선임되어 1943년까지 재직하였다. 1925년엔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1930년부터 1935년까지 왕립학회의 원장(President)을 역임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근무하면서 부터 단백질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혈청 알부민의 결정화, 트립토판의 발견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또, 근육의 젖산발효, 동물의 성장에 필요한 인자의 연구(비타민 연구의 선구)에도 전념했는데, 우유를 이용한 성장 촉진과 관련된 실험을 통하여 정상적인 대사와 성장, 생명 유지를 위해 필요한 물질이 비타민임을 밝혀냈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지난 1929년 크리스티안 에이크만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11:35:28에 나무위키 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메리트 훈장(The Order of Merit) 수훈자[2] President of the Royal Society (PRS)
왕립학회장
[출처] FREDERICK GOWLAND HOPKINS 참고[3]킹스 칼리지 런던 의과대학 (GKT School of Medi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