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해성

덤프버전 : r20210301



출생
1895년 7월 18일
경상북도 청도군 이위면 소진동
(현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오진리)[1]
사망
1949년 10월 2일
경상북도 청도군
묘역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홍해성은 1895년 7월 18일 경상북도 청도군 이위면 소진동(현 청도군 운문면 오진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1일 고종의 국장(國葬) 참례 차 상경하였다가 그곳에서 전개된 3.1 운동 목격하고 귀향한 김상구(金相久)·김종태(金鍾台) 등은 청도군에서 만세시위를 계획했다. 이후 3월 15일 밤에는 손기현·김재화(金在華) 등에 의한 격문 부착 사건이 있었다.

그는 3월 17일 밤 김상구·김진효(金鎭孝)·손한조(孫漢祚)·김용구(金龍久)·김종식(金鍾軾)·김종수(金鍾秀) 등과 사립 문명학교(文明學校)에서 만나, 다시금 독립만세운동 결행을 다짐하였다. 그러나 이튿날 지난번의 격문부착사건에 연루되어 운문 주재소로부터 호출을 당하였다.

이날 취조를 받고 돌아오는 길에, 그는 다른 청년들과 함께 즉석에서 독립만세운동을 결의하고, 면사무소로 가서 면서기들에게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깃발을 제작하도록 하여 이들과 함께 면사무소를 나와 동리를 시위행진하고, 면장인 이영호(李永浩)의 집에서 만세시위를 한 후, 돌아오는 길에 방음동·오진동에 들려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그는 3월 20일 대구(大邱)헌병분대에서 헌병 3명과, 청도경찰서에서 서장 이하 5명의 경찰이 이곳에 출동해서 대대적인 검속 때 체포되었으며, 이해 9월 25일 고등법원에서 소위 소요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청도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49년 10월 2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3년 홍해성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1990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
[1] 독립유공자 홍주일도 이 마을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