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룡사 청동거울

덤프버전 :

파일:황룡사 청동거울1.jpg
파일:황룡사 청동거울3.jpg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 14년(645)-15년(646) 황룡사에서 만든 한국의 청동거울 3점. 현재 3점 모두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었다.


2. 내용[편집]


파일:황룡사 청동거울4.jpg
경주 황룡사 역사문화관 전시실에 황룡사 금합, 황룡사 은합, 황룡사 찰주본기 사리갖춤 내함, 황룡사 금동불입상, 황룡사 장륙삼존불상 불두 파편 복원품 등과 함께 전시된 모습.

7세기 중엽 신라 황룡사에서 만든 청동거울 3점. 거울에 새긴 명문 덕에 큰 거울은 646년, 작은 거울 2점은 645년에 제작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큰 청동거울은 지름 16.8 cm, 꼭지지름 2.4 cm, 꼭지높이 1.1 cm, 테두리폭 2.5 cm, 테두리두께 0.5 cm인데 앞쪽이 약간 곡면이다.

파일:황룡사 청동거울2.jpg
파일:황룡사 청동거울5.jpg

4세기부터 신라 국왕의 정치적 위상이 매우 높아졌다. 이에 신라의 왕들은 자신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하여 조상이 하늘에서 내려왔음을 강조하였고, 중국 왕조와는 별개로 정기적으로 우리나라만의 하늘과 조상에게 따로 제사를 지내며 한반도만의 독자적인 제례 문화를 완성했다. 국왕이 제사를 주도하였는데, 청동거울은 고대 신라 왕실의 제의적 상징물이었다.

파일:황룡사 청동거울6.jpg

(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의 전신인) 경주고적발굴조사단이 1976년부터 1983년까지 8년간 황룡사 옛터 2만 5천 평(8.26 ha)에서 신라시대 문화재 4만여 점을 발굴하는 와중에 본 청동겨울 3점을 발견하였다.까마구둥지 : 한국의 사라진 대사찰 신라 황룡사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이와 유사한 양식을 한 청동경이 출토된 예가 없어서 당시 신라 왕실의 제례 문화를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황룡사 목탑의 심초석 아래에서 출토되었다.


3. 외부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3:54:06에 나무위키 황룡사 청동거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