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산의 함정 속으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함정 속으로(유희왕/카드군)



1. 개요[편집]


유희왕의 함정 카드.


2. 설명[편집]



2.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편집]


파일:AcidTrapHole-DM2-JP-VG.png
한글판 명칭
황산의 함정 속으로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硫酸(りゅうさんのたまった(とし(あな
영어판 명칭
Acid Trap Hole
함정
상대의 공격이 3000 이하일 때 산의 함정에 빠져 소멸. (DM2~DM4)
적이 공격했을 때, 공격력이 3000 이하인 몬스터는 소멸. (DM7, 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공격력 3000 이하의 몬스터가 공격했을 때, 그것을 파괴한다'는 효과를 가진 함정 카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는 함정술사가 이 카드를 덱 밖에서 자신 필드로 세트하는 효과를 가지고 나왔다.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대응하는 공격력이 4000 이하로 오른 덕분에 공격력 강화가 쉬운 본 게임에서 견제력이 더욱 높아졌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편집]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cidTrapHole-AT05-JP-C.png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AcidTrapHole-15AX-JP-C.png
일반판 1
일반판 2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황산의 함정 속으로,
일어판명칭=<ruby>硫酸<rp>(</rp><rt>りゅうさん</rt><rp>)</rp></ruby>の<ruby>落<rp>(</rp><rt>お</rt><rp>)</rp></ruby>とし<ruby>穴<rp>(</rp><rt>あな</rt><rp>)</rp></ruby>,
영어판명칭=Acid Trap Hole,
효과1=①: 필드의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앞면 수비 표시로 하고\, 수비력이 2000 이하일 경우에는 파괴한다. 수비력이 2000 보다 높을 경우에는 뒷면 수비 표시로 되돌린다.)]
노 코스트에 프리 체인으로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지만, 뒷면 수비 표시로 한정되어 있는데다 수비력이 높은 몬스터는 어쩌지 못한다. 공격도 효과도 발동하지 않는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는 상대 턴에 제거하는 의미도 별로 없고, 수비 몬스터 치우는 게 목적이라면 그냥 말살의 사도실드 크러시만 써도 충분하다.

다만 자신의 몬스터도 뒤집어 깔 수 있기에 자신의 몬스터의 리버스 효과를 고의로 발동하는 데 쓸 수 있다. 물론 이 목적이라면 태양의 서가 더 효과적이긴 하지만, 리버스하고 나서 묘지로 보내진 타이밍에 효과를 발동하는 조건을 이 카드 하나로 충족시켜준다. 함정 속으로 카드 중에서는 몇 없는 프리 체인 계열이라 카즈라의 충혹마의 조건을 능동적으로 채우는 데에 못 쓸 것도 없다. 상대 몬스터의 제거를 노릴 뿐만 아니라 자신의 수비력 2000 이상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면 상대의 전략에 좌우되지 않고 적은 손실로 활용할 수도 있다. 그외에도 말살의 사도에 체인 발동해서 제외를 피하는데도 쓸 수 있다.

본래 포드덱에서 쓰던 카드였다. 묘지로 보내지 못하는 태양의 서완 달리 묘지로 보내 얕은 무덤으로 효과 재기동이 가능했기 때문. 물론 신전, 사이버포드 금지 이후에는 그냥 크게 쓸 일 없는 카드.

일단 대상 몬스터를 앞면 표시로 하고 나서 파괴되는지 아닌지가 정해지는데, 이를 이용해서 한 때는 리버스시 발동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프리 체인으로 그 효과를 발동시키는 데에 써먹을 수 있었다. 특히 금기의 항아리 등 수비력 높은 몬스터는 효과를 쓰면서 다시 세트 상태로 만들 수가 있었기에 상성이 아주 좋았다. 또한 '효과의 발동 조건을 채운 후, 효과 발동 전에 비공개 상태(뒷면 표시 등)가 된 카드의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는 재정이 전부터 존재했는데, 리버스 했을 경우에 발동하는 유발효과는 한 번 리버스한 직후에 뒷면 표시로 돌아갔을 경우 비공개 상태가 되었음에도 상관없이 유발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는 재정도 있었다. 2019년 11월경 재정 변경으로 인해 개기일식의 서 등으로 세트되었을 경우에는 일관적으로 발동 불가가 되었지만, 이 카드만큼은 구 재정 그대로 가는 특수 재정이 적용되어 있었다.

하지만 2020년 4월 11기 마스터 룰이 도입되면서 '효과 발동 전에 그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장소에 존재하지 않게 된 카드의 효과는 발동하지 않는다'는 규정이 새롭게 생기고, 파괴되었을 경우든 다시 세트했을 경우든 '리버스한 상태에서 필드에 존재하는' 형식이 되지 않는 이 카드는 리버스시 효과를 발동시킬 수 없다는 재정이 되어버려 활용도가 급락했다.

리버스한 몬스터가 수비력 2000일 경우 파괴되는 것이지만, 대상 몬스터가 개별적으로 파괴 내성이 부여된 상태일 경우 앞면 수비 표시 상태로 두고 파괴하지 않은 채 처리가 종료된다. 이 경우 리버스 효과는 발동한다.

1기 시절 텍스트에서는 이하와 같이 표기되어있었다.

구 텍스트
"황산의 함정 속으로"를 제물로 바친다. 뒷면 표시 몬스터 1장을 앞면으로 하여 수비력 2000 이하였을 경우, 그것을 파괴한다. 2000보다 위라면 그대로 뒷면으로 되돌린다.

당시 공식 룰 사정상 다른 일반 함정에서는 '발동 후, 이 카드를 파괴한다'라는 문장이 쓰여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 카드와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만큼은 제물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아마도 듀얼몬스터즈(매직&위저드)의 모티브가 된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 중 하나인 'Pit Trap[1]'의 텍스트에서 ''Pit Trap'을 제물로 바친다'라는 표기를 따온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런 텍스트가 쓰인 카드를 사용한다고 해서 제물봉인 가면에 막히는 것은 아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II 闇界決闘記 付属カード
-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절판
PREMIUM PACK 5
P5-05
울트라 레어
패러렐 레어
일본
2nd 일러스트
절판
STRUCTURE DECK-マリク編-
SDM-039
노멀
일본
절판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7 Vol.4
TP04-JP012
노멀
일본
절판
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4 Vol.1
AT05-JP008
노멀
일본
절판
決闘者の栄光-記憶の断片- side:闇遊戯
15AX-JPY55
노멀
밀레니엄 레어
일본

Yu-Gi-Oh! Dark Duel Stories promotional cards
DDS-005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절판
Shadow of Infinity: Special Edition
SOI-ENSE1
시크릿 레어
미국
절판
Structure Deck: Marik
SDMA-EN029
노멀
미국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LCYW-EN283
레어
미국

Millennium Pack
MIL1-EN044
레어
미국

Speed Duel: Battle City Box
SBCB-EN102
노멀
미국

토너먼트 팩 Vol.4
TP04-KR012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절판
프리미엄 팩 Vol.1
PP01-KR019
울트라 레어
한국
절판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2
AE04-KR022
노멀
한국
절판
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어둠의 유희
15AX-KRY55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1] 해당 카드의 일어판 명칭이 유희왕의 함정 속으로의 일칭과 같은 '落とし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0:51:48에 나무위키 황산의 함정 속으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