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n to Run(노래)

덤프버전 :


Born to Run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Born to Run



싱글 발매일
1975년 8월 25일
싱글 B면
Meeting Across the River
앨범 발매일
1975년 8월 25일
녹음일
1974년 1월 8일 ~ 8월 6일
수록 앨범
장르
하트랜드 록, 팝 록
작사/작곡
브루스 스프링스틴
프로듀서
브루스 스프링스틴, 마이크 애펠
러닝 타임
4:30
스튜디오
914 사운드 스튜디오
레이블
컬럼비아 레코드

1. 개요
2. 상세
3. 가사
4. 기타



1. 개요[편집]






뮤직 비디오[1]
어쿠스틱 버전

1975년 발매된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싱글이자 3집 Born to Run의 수록곡.


2. 상세[편집]


Born to Run 앨범의 대표곡으로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대표곡이며 동시에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노래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 영국 16위, 빌보드 핫 100에 23위에 오르며 첫 빌보드 톱 40위 안에 든 싱글이 되어서 스프링스틴이 메인스트림에 진입할 수 있게 해준 곡이자 그의 수많은 명곡들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히는 곡. 사실 대부분의 매체에서는 상업적 성공을 거둔 "Dancing in the Dark", "Born in the U.S.A." 같은 곡들보다 이 곡과 "Thunder Road"를 더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명성에 걸맞게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에선 21위,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곡에서 13위에 올랐다.

스프링스틴이 만들기로 결심한 '최고의 앨범'의 타이틀곡인 만큼, 그는 이 곡을 그의 이전 곡들과는 다르게[3] 로큰롤 역사에서 인정받는 명곡으로 만들기 위해 완벽주의에 가까운 모습으로 몇 달 동안 심혈을 기울여 만들었다고 하며, 총 4개의 다른 버전을 만들었고 제목도 여러 차례 바꾸었다고 한다. 곡 자체는 1974년 5월 9일의 라이브에서 선공개되었는데, 당시 유명 평론가였던 존 랜도는 이 라이브를 직접 보고 "나는 로큰롤의 미래를 보았다. 그 이름은 브루스 스프링스틴이다."라는 말을 남겼고 이후 지금까지도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매니저이자 프로듀서로서 활동하고 있다.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노력이 헛되지 않았는지 이 곡은 발매 이후 1970년대 최고의 로큰롤 명곡들을 거론할 때 빠지지 않는 곡이 되었으며, 특히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인기가 아주 좋은 미국 쪽에서는 당연히 매우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는 곡이다.

브루스 스프링스틴은 뉴 저지가 고향인 록스타라서 이를 기리기 위해 Born to Run을 "비공식적인 청소년 주가"로서 정하는 결의안이 제출됐고 주 하원을 통과하기도 했지만, 주 상원에서 통과되지 못했다.

3. 가사[편집]


일반적으로 해석되는 가사의 내용은 화자가 웬디라는 이름의 여성과 함께 마을을 떠나 새로운 삶을 찾기 위해 달려나가는 이야기로 해석된다. 음악 때문에 가사 또한 희망적인 분위기로 해석하는 사람도 많지만, Jungleland처럼 패배와 비극으로 가득찬 가사까지는 아니지만 오히려 절망적이라고 해석될 가사도 많았고, 초기의 가사도 현재보다 훨씬 어둡고 극단적인 내용을 담았다. Born to Run의 습작 노트가 19만 7천 달러에 낙찰될 정도로 가사에 대해선 인정을 받는다.


Born to Run

In the day we sweat it out on the streets of a runaway American dream
이 대낮의 우리는 아메리칸 드림이란 떠나가버린 거리에 나와 고된 노동을 버텨내다
At night we ride through mansions of glory in suicide machines
밤이 되자 우리는 자살 기계에 올라타 저택의 영광과 함께 달려나가지
Sprung from cages on Highway 9, chrome-wheeled, fuel-injected, and stepping out over the line
새장에서 튀어나오듯이 9번 고속도로를 질주하기 시작한다, 크롬으로 두른 바퀴에 연료 분사식 엔진, 그리고 경계선을 넘으려 발을 디딛는다
Oh, baby, this town rips the bones from your back
이 마을은 너의 척추뼈가 부숴지게 내버려둘꺼야
It's a death trap, it's a suicide rap, we gotta get out while we're young
이는 죽음에 도달하는 함정이자, 자살에 이르는 선택일 뿐이라고, 우리가 젊을때 반드시 이 곳을 떠나야만 하는거야
'Cause tramps like us, baby we were born to run
왜냐하면 우리와 같은 방황자들은, 달려야만 하는 인생이니까
Wendy, let me in, I wanna be your friend, I wanna guard your dreams and visions
웬디, 나를 받아드릴 수 있니, 너의 친구가 되고 싶어, 너의 꿈과 몽상도 지켜줄 수 있다고
Just wrap your legs 'round these velvet rims and strap your hands 'cross my engines
그러니 이 다리를 이 부드러운 테두리에 감싸고, 내 엔진을 너의 손으로 직접 채찍질해줘
Together we could break this trap, we'll run till we drop, baby we'll never go back
우리가 함께라면 이 함정을 파괴할 수 있을꺼야, 지쳐 쓰려버릴때까지 달릴꺼고, 절대로 되돌아오지 않을꺼야
Whoah, will you walk with me out on the wire
이 철조망을 나와서 나와 함께 걸을 수 있겠니?
'Cause baby I'm just a scared and lonely rider but I gotta know how it feels
왜냐하면 내가 그저 두렵고 외로움에 찌든 운전사이거든, 하지만 그 기분을 너무나도 알고 싶어
I wanna know if love is wild, baby, I wanna know if love is real
사랑이란 이렇게나 미칠듯이 두근거릴 수 있는건지, 사랑이 진실된건지도 알고 싶거든
Oh can you show me?
진짜로 보여줄 수 있는거지?..
(색소폰 솔로)
Beyond the Palace hemi-powered drones scream down the boulevard [4]
공원의 너머에서 Hemi 엔진의 시동음들이 울음을 낮춘채 대로에서 울리고 있다
The girls comb their hair in rearview mirrors and the boys try to look so hard
여자들은 백미러를 본 채 머리를 빗고, 남자들은 그렇게나 노력을 해보인다
The amusement park rises bold and stark, kids are huddled on the beach in a mist
이 놀이공원은 대담함과 가혹함이란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아이들은 해변의 안갯 속에 모여있네
I wanna die with you, Wendy, on the street tonight in an everlasting kiss
너와 함께 여기서 죽어버리고 싶어, 웬디, 이 거리의 밤에서 영원한 키스와 함께라면
(기타 솔로)
The highway's jammed with broken heroes on a last chance power drive
고속도로는 꺾여져 버린 영웅들의 마지막 기회를 잡은 힘찬 질주에 체증이 걸렸다
Everybody's out on the run tonight but there's no place left to hide
이번 밤 모두들은 여기서 나가려고 하지만, 이제 숨을 곳 조차 없어졌네
Together, Wendy, we can live with the sadness, I'll love you with all the madness in my soul
함께라면 웬디, 우리가 너무나도 슬픈 인생이라도 살아갈 수 있을꺼야, 너를 모든 영혼을 바쳐서라도 정말로 미친듯이 사랑하기 때문이니까
Woah, someday girl, I don't know when
어느 날에는, 적어도 언제인지는 모르긴 하더라도
We're gonna get to that place where we really want to go and we'll walk in the sun
우리가 정말로 가고 싶은 곳에 도달할 수 있을꺼야, 그리고 우리가 태양 아래서 걸을 수 있도록
But till then tramps like us, baby we were born to run
하지만 우리와 같은 방황자들은, 거기까지 달려야만 하는 인생이거든
Ah honey, tramps like us, baby we were born to run
자기야, 우리와 같은 방황자들은, 달려야만 하는 인생인거야
Come on Wendy, tramps like us, baby we were born to run
이리와 웬디, 우리와 같은 방황자들은, 달려야만 하는 인생이라고

파일:브루스스프링스틴_서명.jpg



4. 기타[편집]


이 곡의 전주곡 부분이 임팩트가 있어서인지, 예전에는 광고 배경 음악에도 사용되었다.

고려증권 배구단으로 유명했던 고려증권의 광고에도 전주 부분이 등장하는데, 빰 하는 순간 희미하게 들릴 정도로 크게 작아지지만, 잘 들어보면 여기에도 Born to Run을 썼음을 알 수 있다.

현대자동차 포터 광고에도 등장하는데, 런던 교향악단 연주곡 일부분만 나온다.
[1] 뮤비에 담겨진 음원이 앨범에 수록된 음원과 다른데, 앨범의 음원이 아니라 라이브 앨범 1975-1985의 음원을 가져왔다.[2] 1970년대 최고의 노래로 평가받는다. Stairway to Heaven, London Calling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3]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이전 곡들은 비평적으로는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상업적으로는 부진하였다.[4]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고향인 뉴 저지에서 애즈버리 파크라는 공원이 있는데, 그 너머에 있는 대로를 경주로로 레이스가 열린 적이 있었기이 이에 대한 묘사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10:42:16에 나무위키 Born to Run(노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