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1리그/2010-2017시즌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시즌 결과
2.1. 2010 J리그 디비전 1
2.1.1. 최종순위표
2.2. 2011 J리그 디비전 1
2.2.1. 최종순위표
2.2.2. 강등 클럽
2.3. 2012 J리그 디비전 1
2.3.1. 2012 시즌 참가 클럽
2.3.2. 최종순위표
2.4. 2013 J리그 디비전 1
2.4.1. 2013 시즌 참가 클럽
2.4.2. 최종순위표
2.5. 2014 J리그 디비전 1
2.5.1. 2014 시즌 참가 클럽
2.5.2. 최종순위표
2.6. 2015 J1리그
2.6.1. 2015 시즌 참가 클럽
2.7. 2016 J1리그
2.7.1. 2016 시즌 참가 클럽
2.7.2. 최종순위표
2.8. 2017 J1리그
2.8.1. 2017 시즌 참가 클럽
2.8.2. 최종순위표


1. 개요[편집]


J1리그의 2010시즌부터 2017시즌까지의 결과를 정리한 문서.

2. 시즌 결과[편집]



2.1. 2010 J리그 디비전 1[편집]



2.1.1. 최종순위표[편집]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득실
승점
1
나고야 그램퍼스
34
23
3
8
54
37
+17
72
2
감바 오사카
34
18
8
8
65
44
+21
62
3
세레소 오사카
34
17
10
7
58
32
+26
61
4
가시마 앤틀러스
34
16
12
6
51
31
+20
60
5
가와사키 프론탈레
34
15
9
10
61
47
+14
54
6
시미즈 에스펄스
34
15
9
10
60
49
+11
54
7
산프레체 히로시마
34
14
9
11
45
38
+7
51
8
요코하마 F. 마리노스
34
15
6
13
43
39
+4
51
9
알비렉스 니가타
34
12
13
9
48
45
+3
49
10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4
14
6
14
48
41
+7
48
11
주빌로 이와타
34
11
11
12
38
49
-11
44
12
오미야 아르디자
34
11
9
14
39
45
-6
42
13
몬테디오 야먀가타
34
11
9
14
29
42
-13
42
14
베갈타 센다이
34
10
9
15
40
46
-6
39
15
비셀 고베
34
9
11
14
37
45
-8
38
16
FC 도쿄
34
8
12
14
36
41
-5
36
17
교토 상가 FC
34
4
7
23
30
60
-30
19
18
쇼난 벨마레
34
3
7
24
31
82
-51
16

쇼난 벨마레는 10년 연속 J2에서 놀다가 2010년 모처럼만에 J1로 승격했지만 꼴등을 하면서 2011년 J2로 광속강등되고 말았다.[1]

FC 도쿄는 강등될 위기를 맞은 상태에서 막판에 강등 확정된 교토 상가를 상대로 고춧가루를 퍼먹으면서 그만...

여담으로 교토의 경우는 일부 덕스러운 팬들이 이런 플래카드까지 만들어가며 팀의 1부리그 잔류를 간절히 응원했지만 교토는 J2강등을 피하지 못했다.케이온도 못 막은 강등

2.2. 2011 J리그 디비전 1[편집]



2.2.1. 최종순위표[편집]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득실
승점
1
가시와 레이솔
34
23
3
8
65
42
+23
72
2
나고야 그램퍼스
34
21
8
5
67
36
+31
71
3
감바 오사카
34
21
7
6
78
51
+27
70
4
베갈타 센다이
34
14
14
6
39
25
+14
56
5
요코하마 F. 마리노스
34
16
8
10
46
40
+6
56
6
가시마 앤틀러스
34
13
11
10
53
40
+13
50
7
산프레체 히로시마
34
14
8
12
52
49
+3
50
8
주빌로 이와타
34
13
8
13
53
45
+8
47
9
비셀 고베
34
13
7
14
44
45
-1
46
10
시미즈 S펄스
34
11
12
11
42
51
-9
45
11
가와사키 프론탈레
34
13
5
16
52
53
-1
44
12
세레소 오사카
34
11
10
13
67
53
+14
43
13
오미야 아르디자
34
10
12
12
38
48
-10
42
14
알비렉스 니가타
34
10
9
15
38
46
-8
39
15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4
8
12
14
36
43
-7
36
16
반포레 고후
34
9
6
19
42
63
-21
33
17
아비스파 후쿠오카
34
6
4
24
34
75
-41
22
18
몬테디오 야마가타
34
5
6
23
23
64
-41
21

2011년은 FC 도쿄의 J2 강등과 도쿄 베르디의 J1 승격 실패로 인해 도쿄 없는 시즌이 되었다. 더불어 일본의 역사적 수도였던 교토를 연고로 하는 교토 상가까지 강등당하면서 완전히 '수도 팀 없는 J1리그'가 되었다.

도호쿠 대지진의 영향으로 경기가 약 한 달 반동안 연기되고 리그 일정이 조정되었다.

2010년 J리그 디비전 2에서 승격된 3팀 중 가시와 레이솔만 선전하고 나머지 두 팀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아비스파 후쿠오카는 조개 양식장(...)을 차리면서 제일 먼저 J2 강등이 확정됐고 반포레 고후도 역시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뒤를 이어 승격하자마자 재강등을 당할 위기에 놓였다.

반면에 가시와 레이솔은 리그 초반부터 무서운 상승세를 타고 1위에 올라서 감바 오사카·나고야 그램퍼스와 우승 경쟁을 벌이며 승격 첫 해 우승이라는 기록에 도전하고 있다. 또한, 이 팀은 현재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 예선 출전권 획득도 확정되었다. 정녕 이 팀이 작년에 J리그 디비전 2에서 놀던 그 팀 맞는가?

한편,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지만 2010년엔 4위에 그쳤던 가시마 앤틀러스는 이번 시즌도 역시 우승이 좌절되었다.

이후 우승 경쟁은 가시와 레이솔, 감바 오사카, 나고야 그램퍼스 의 3파전으로 좁혀지는 양상으로 되었다. 참고로, 여기서 우승하면 2011년 FIFA 클럽 월드컵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2]하여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시티 FC와 예비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된다.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뒤를 이어 몬테디오 야마가타도 강등이 확정되었다. 이로써 강등될 팀이 또 한 팀 남았는데, 반포레 고후와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가 강등권 탈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모양새였다.

리그 최종일날 우승팀과 강등팀이 모두 결정되었다. 마지막 강등팀은 반포레 고후. 우승팀은 작년에 승격한 가시와 레이솔이 차지하였다. 팀 창단후 첫 우승이다.

한편, J2에서는 FC 도쿄가 일찌감치 우승을 확정지으며 1년만에 J1 복귀에 성공했고, 나머지 2장의 승격권의 행방이 마지막 경기 전까지 알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다가 결국 준우승을 한 사간 도스와 3위를 한 콘사도레 삿포로의 차지가 되었다. 그리고, FC 도쿄는 천황배에서 J리그 디비전 2 소속으로 우승하면서 J2리그 소속으로 AFC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2.2.2. 강등 클럽[편집]


다음 3개 클럽은 2011년 J1리그에서 최악의 성적을 거두어 강등된 클럽으로 2012년에는 J2리그에 참가한다. (괄호 안은 최종 순위임)
  • 반포레 고후 (16/18)
  • 아비스파 후쿠오카(17/18)
  • 몬테디오 야마가타(18/18)

2.3. 2012 J리그 디비전 1[편집]



2.3.1. 2012 시즌 참가 클럽[편집]


다음과 같이 18개 클럽이 2012년 J리그 디비전 1에 참가한다. 표시는 2011년 J2리그에 참가했던 팀으로 3위 이상의 성적을 거두어 승격된 팀을 의미한다.
  • 가시마 앤틀러스
  • 가시와 레이솔
  • 가와사키 프론탈레
  • 감바 오사카
  • 나고야 그램퍼스
  • 베갈타 센다이
  • 비셀 고베
  • 산프레체 히로시마
  • 세레소 오사카
  • 시미즈 에스펄스
  • 알비렉스 니가타
  • 오미야 아르디자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주빌로 이와타
  • 사간 도스
  • 콘사도레 삿포로
  • FC 도쿄

2.3.2. 최종순위표[편집]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득실
승점
1
산프레체 히로시마
34
19
7
8
63
34
+29
64
2
베갈타 센다이
34
15
12
7
59
43
+16
57
3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4
15
10
9
47
42
+5
55
4
요코하마 F. 마리노스
34
13
14
7
44
33
+11
53
5
사간 도스
34
15
8
11
48
39
+9
53
6
가시와 레이솔
34
15
7
12
57
52
+5
52
7
나고야 그램퍼스
34
15
7
12
46
47
-1
52
8
가와사키 프론탈레
34
14
8
12
51
50
+1
50
9
시미즈 S펄스
34
14
7
13
39
40
-1
49
10
FC 도쿄
34
14
6
14
47
44
+3
48
11
가시마 앤틀러스
34
12
10
12
50
43
+7
46
12
주빌로 이와타
34
13
7
14
57
53
+4
46
13
오미야 아르디자
34
11
11
12
38
45
-7
44
14
세레소 오사카
34
11
9
14
47
53
-6
42
15
알비렉스 니가타
34
10
10
14
29
34
-5
40
16
비셀 고베
34
11
6
17
41
50
-9
39
17
감바 오사카
34
9
11
14
67
65
+2
38
18
콘사도레 삿포로
34
4
2
28
25
88
-63
14

감바 오사카가 골 풍년에 득실차 +2인데도 강등되었는게 인상적이다. J리그 출범 이래 첫 강등 위기다. 바로 위의 알비렉스 니가타가 골이 별로 없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콘사도레 삿포로는 역대 최단인 27경기만에 강등이 확정되어 요코하마 FC의 기록(2007년, 28경기만에 강등)을 갈아치웠다.
그리고 이 와중에 지지난해 J2에서 지난해 J1로 승격됐다가 올해 또 J2로 강등된 반포레 고후는 제일 먼저 J1로 승격. 마지막 34라운드에서는 주빌로 이와타에게 패하여 상대팀 간판 공격수 마에다 료이치가 1호골을 기록한 팀은 반드시 강등된다는 일명 '마에다의 저주' 희생양이 되며 강등되었다. 더 위험했던 알비렉스 니가타는 삿포로를 상대로 승리하여 잔류하였다. (그 대신 히로시마에게 패한 비셀 고베가 강등됐다.)

2.4. 2013 J리그 디비전 1[편집]



2.4.1. 2013 시즌 참가 클럽[편집]


다음과 같이 18개 클럽이 2013년 J리그 디비전 1에 참가한다. 표시는 2011년 J리그 디비전 2에 참가했던 팀으로 3위 이상의 성적을 거두어(우승 + 준우승 + 플레이오프 승자) 승격된 팀을 의미한다.


오이타 트리니타의 승격으로 7년만에[3] 규슈 더비 매치(오이타 트리니타 vs. 사간 도스)가 성사됐다.

2.4.2. 최종순위표[편집]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득실
승점
1
산프레체 히로시마
34
19
6
9
51
29
+22
63
2
요코하마 F. 마리노스
34
18
8
8
49
31
+18
62
3
가와사키 프론탈레
34
18
6
10
65
51
+14
60
4
세레소 오사카
34
16
11
7
53
32
+21
59
5
가시마 앤틀러스
34
18
5
11
60
52
+8
59
6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4
17
7
10
66
56
+10
58
7
알비렉스 니가타
34
17
4
13
48
42
+6
55
8
FC 도쿄
34
16
6
12
61
47
+14
54
9
시미즈 S펄스
34
15
5
14
48
57
-9
50
10
가시와 레이솔
34
13
9
12
56
59
-3
48
11
나고야 그램퍼스
34
13
8
13
47
48
-1
47
12
사간 도스
34
13
7
14
54
63
-9
46
13
베갈타 센다이
34
11
12
11
41
38
+3
45
14
오미야 아르디자
34
14
3
17
45
48
-3
45
15
미토 홀리호크
34
8
13
13
30
41
-11
37
16
쇼난 벨마레
34
6
7
21
34
62
-28
25
17
주빌로 이와타
34
4
11
19
40
56
-16
23
18
오이타 트리니타
34
2
8
24
31
67
-36
14

마지막 경기에서 극적으로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우승을 차지하였다. J2에서 승격된 3팀 중에 반포레 고후만 15위로 J1에 잔류하고, 나머지 쇼난 벨마레와 오이타 트리니타는 다시 J2로 강등되었다. 오이타는 시즌 홈경기 무승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2.5. 2014 J리그 디비전 1[편집]



2.5.1. 2014 시즌 참가 클럽[편집]



2.5.2. 최종순위표[편집]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득실
승점
1
감바 오사카
34
19
6
9
59
31
+28
63
2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4
18
8
8
52
32
+20
62
3
가시마 앤틀러스
34
18
6
10
64
39
+25
60
4
가시와 레이솔
34
17
9
8
48
40
+8
60
5
사간 도스
34
19
3
12
41
33
+8
60
6
가와사키 프론탈레
34
16
7
11
56
43
+13
55
7
요코하마 F. 마리노스
34
14
9
11
37
29
+8
51
8
산프레체 히로시마
34
13
11
10
44
37
+7
50
9
FC 도쿄
34
12
12
10
47
33
+14
48
10
나고야 그램퍼스
34
13
9
12
47
48
-1
48
11
비셀 고베
34
11
12
11
49
50
-1
45
12
알비렉스 니가타
34
12
8
14
30
36
-6
44
13
반포레 고후
34
9
14
11
27
31
-4
41
14
베갈타 센다이
34
9
11
14
35
50
-15
38
15
시미즈 S펄스
34
10
6
18
42
60
-18
36
16
오미야 아르디자
34
9
8
17
44
60
-16
35
17
세레소 오사카
34
7
10
17
36
48
-12
31
18
도쿠시마 보르티스
34
3
5
26
16
74
-58
14

9년만에 감바 오사카가 우승하였다. 감바 오사카는 승격 이후 첫 시즌만에 우승을 차지하는 진기록을 남겼다. 반면, 같은 연고지 세레소 오사카는 17위로 강등을 당하는 굴욕을 겪으며 희비가 엇갈렸다. 감바 오사카는 리그컵과 천황배도 우승하며, J리그 미니 트레블을 완성하였다.

2.6. 2015 J1리그[편집]



2.6.1. 2015 시즌 참가 클럽[편집]



2.7. 2016 J1리그[편집]



2.7.1. 2016 시즌 참가 클럽[편집]



2.7.2. 최종순위표[편집]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득실
승점
1
가시마 앤틀러스
34
18
5
11
53
34
+19
59
2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4
23
5
6
61
28
+33
74
3
가와사키 프론탈레
34
22
6
6
68
39
+29
72
4
감바 오사카
34
17
7
10
53
42
+11
58
5
오미야 아르디자
34
15
11
8
41
36
+5
56
6
산프레체 히로시마
34
16
7
11
58
40
+18
55
7
비셀 고베
34
16
7
11
56
43
+13
55
8
가시와 레이솔
34
15
9
10
52
44
+8
54
9
FC 도쿄
34
15
7
12
39
39
0
52
10
요코하마 F 마리노스
34
13
12
9
53
38
+15
51
11
사간 도스
34
12
10
12
36
37
-1
46
12
베갈타 센다이
34
13
4
17
39
48
-9
43
13
주빌로 이와타
34
8
12
14
37
50
-13
36
14
반포레 고후
34
7
10
17
32
58
-26
31
15
알비렉스 니가타
34
8
6
20
33
49
-16
30
16
나고야 그램퍼스
34
7
9
18
38
58
-20
30
17
쇼난 벨마레
34
7
6
21
30
56
-26
27
18
아비스파 후쿠오카
34
4
7
23
26
66
-40
19

2.8. 2017 J1리그[편집]



2.8.1. 2017 시즌 참가 클럽[편집]



2.8.2. 최종순위표[편집]


순위

1
가와사키 프론탈레
2
가시마 앤틀러스
3
세레소 오사카
4
가시와 레이솔
5
요코하마 F 마리노스
6
주빌로 이와타
7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8
사간 토스
9
비셀 고베
10
감바 오사카
11
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
12
베갈타 센다이
13
FC 도쿄
14
시미즈 S 펄스
15
산프레체 히로시마
16
반포레 고후
17
알비렉스 니이가타
18
오미야 아르디쟈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05:39:20에 나무위키 J1리그/2010-2017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처음부터 약체인 팀은 아니었다. 1990년대엔 잘나가던 팀이였다. 리그 성적도 괜찮았고 국제대회인 아시아위너스컵에서 우승과 아시아슈퍼컵 준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현재는 한일 양국에서 각각 레전드로 추앙받는 홍명보와 나카다 히데토시가 함께 이 팀에서 뛰기도 했다. 1998년 모기업인 후지타공업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스폰서에서 철수한 이후 순식간에 약체팀이 되고 말았다. [2] 2011년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일본팀이 모두 탈락했으므로 개최국 자리에 J리그 우승팀이 그대로 들어간다. [3] 다만, 2006년에는 오이타 트리니타 vs. 아비스파 후쿠오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