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e in Brazil/카운터 스트라이크/2021년 1월 이전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Made in Brazil/카운터 스트라이크


파일:MIBR2018logo_std.png
메이드 인 브라질
Made in Brazil
창단
2003년 ~ 2012년 3월 14일
CS:GO: 2018년 6월 23일
모기업
Immortals Gaming Club
회장
노아 윈스턴
CEO
아리 시걸
약칭
MIBR
파일:180px-MIBR.pn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1. 개요
2. 행적
3. 멤버
3.1. 전 멤버
4. 성적
5.1. 성적



1. 개요[편집]


Made in Brazil
파일:MIBR_EPL_S10_Finals.jpg

2018년 6월 다시 결성한다는 기사가 떴으며, 같은 달 23일 부로 SK Gaming 선수 전체가 mibr로 이적했다.
1.6 때는 풀네임 및 팀 태그를 모두 소문자로 표기했으나 CS:GO에서는 구단주인 Immortals에 의해 대문자 위주로 변경되었다. (made in brazil & mibr → Made in Brazil & MIBR)

2. 행적[편집]



3. 멤버[편집]



3.1. 전 멤버[편집]



  • 알렌카르 호사투/Alencar Rossato(trk/브라질)

  • 가브리에우 톨레두 지알칸타라 스구아리우/Gabriel Toledo de Alcântara Sguario(FalleN/브라질)
파일:Fallen-MIBR.png
HLTV 선정 연간 Top 20 플레이어: 2016년 2위, 2017년 6위

팀의 오퍼 겸 인게임리더. 1.6 때부터 활동한 올드비 선수다. 하지만 1.6때는 본인도 그렇고 팀 성적 또한 좋지 못했기 때문에 비슷한 활동 년수를 가진 1.6 출신의 명성을 떨치고 있는 다른 삼촌 뻘 선수들과는 달리 레전드라고 취급되진 않는 편이고[1] 대신 글옵에서의 퍼포먼스가 좋아서 그냥 상위권 현역 선수 이미지가 강하다. 글옵으로 넘어온 후 2015년도부터 CS:GO Major Championship에서 모습을 보이며 점점 기량이 상승하여 현재의 남미씬을 대표하는 가장 유명한 선수가 됐다. 오퍼로서도 굉장히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이상으로 인 게임 리더로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 게임 리더는 오더에도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에 샷이 다른 선수들보다 떨어지게 마련인데, 이 선수는 샷도 전혀 뒤지지 않는다. 개인적인 실력도 뛰어날 뿐만 아니라, 브라질 최고의 팀의 리더라는 점, 현재 활동하는 여러 유명 브라질 선수들을 배출한 Games Academy라는 프로게임단•강습 기관의 오너라는 점 때문에 브라질 카운터 스트라이크의 대부와 같은 존재로 여겨진다.

과거에는 상당히 공격적인 오퍼로 뽑혔지만, 팀에 유난히 공격적인 라이플러가 두 명(fer, felps)이나 있는 만큼, 본인은 좀 더 안정적으로 팀을 뒷받침해주는 쪽으로 플레이를 하고 있다. 하지만 팀이 열세인 상황에서 순간적으로 앞으로 나서서 킬을 따내며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경우도 많다. 또한 월샷이나 스모크샷 시도를 굉장히 적극적으로 하는 편이다. 그래서 붙은 별명이 'WalleN'. 캐스터들이 경기 중에 언급하기도 할 정도로 유명한 별명이다.
파일:external/nimage.dailygame.co.kr/restmb_idxmake.php?idx=3&simg=2016122906160011512_20161229061648_1.jpg
여담으로 세계 유명 축구선수인 네이마르에게 글옵 개인교습을 해주었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다시 축구에 전념하고 있지만 부상으로 몸조리하는 휴식 기간 동안 게임을 엄청나게 즐겼다. 폴른을 포함한 SK 선수들을 개인적으로 초청할 정도로 열심히 하는데 실제 우연히 매칭된 이용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최근까지도 그냥저냥 많이 한 사람 수준 이상은 못 된다는 것으로 보아 그냥 즐겜러라서 그렇기도 하겠지만 천부적으로 게임엔 재능이 없는 것 같다. 카스 뿐 아니라 PUBG 역시 플레이타임이 하늘 높이 치솟았다... PUBG는 그 짧은 기간에 1천시간을 가량을 찍었고 CS:GO는 벌써 2천시간을 훌쩍 넘겼다.

  • 에피타시우 페소아 지멜루 필류/Epitácio Pessoa de Melo Filho(TACO/브라질)
파일:TACO-MIBR.png
팀의 엔트리 프래거. 단순히 통계만 보면 항상 하위권이지만, 이건 엔트리 프래거라는 포지션이 사이트에 가장 먼저 진입하는 역할인 만큼 적의 표적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SK는 테러 진영일 때 라운드 막바지에 사이트에 빠른 속도로 진입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플레이는 천천히 사이트에 진입하는 다른 팀들과 비교해 엔트리 프래거에 큰 위험 부담을 줄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의 위치를 파악하고 주의를 끄는 등 엔트리 프래거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다고 평가받으며, coldzera나 fer의 활약을 뒷받침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HLTV에서도 낮은 통계 수치 때문에 실제 활약에 비해 저평가된 선수의 대표적인 예로 이 선수를 뽑았을 정도.#

한편으로 플레이 스타일의 폭이 꽤 넓은 선수이기도 한데, 라운드에 따라 변칙적으로 럴커에 가까운 역할을 하기도 하고,[2] 오토스나이퍼('게이건')를 이용하는 모습도 심심찮게 보인다. 2017년 중반 들어서는 FalleN이나 coldzera와 함께, 혹은 이 둘을 대신해서 AWP을 들기도 한다.

SK가 2017년에 마지막으로 참가한 대회인 ESL Pro League Season 6 Finals에서 뛰어난 엔트리 프래깅 능력을 발휘한 것은 물론이고, 무리하게 본인 플레이를 내세우기보다는 팀원들과의 협동을 우선시하며 차분하게 상황을 풀어나가는 등, 그야말로 팀 플레이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이 대회에서 TACO의 활약은 그야말로 역대급. 경기 내내 캐스터들의 호평이 이어졌고 결국 ESL의 MVP로 뽑혔다. HLTV 선정 MVP인 coldzera[3]도 인터뷰에서 진짜 MVP는 TACO라고 언급할 만큼 TACO의 활약은 굉장했다.

2018년 Stewie2K와 tarik을 영입할 때 예비멤버로 내려왔었고, 15일 뒤 Team Liquid로 이적했다. TACO의 플레이가 눈에 띄지 않아서 그렇지 당시의 SK를 만든 공이 가장 큰 선수였는데 그걸 Stewie2K의 스타성만 보고 억지로 데려오겠다고 내쳤고, 이 때 리퀴드는 매우 강해져서 유럽 최강팀들과 막상막하로 싸우는 극강으로 오른 반면 mibr은 오히려 슬럼프에 빠져서 자업자득이라며 빈축을 샀다. 결국 같은 해 12월 21일, Team Liquid에 있던 TACO 선수를 다시 영입했다. TACO를 내보내고 들인 Stewie2K를 리퀴드에서 TACO와의 트레이드를 하면서 다시 내보냈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비니를 쓰고 다녀서 잘 티가 안나지만 꽤 심각한 탈모 증상을 겪고 있다.

  • 루카스 텔리스/Lucas Teles(LUCAS1/브라질)
2019년 6월 말 Luminosity와 임대 트레이딩으로 들어왔다. 임대 기간은 최소한 StarLadder Major 2019에 참가하는 동안 보장된다고 한다.
항상 같은 팀에서 활동하던 쌍둥이 형제인 HEN1와 오랜만에 갈라지게 되었다. 19년 12월 팀을 나오게 되었으나 다시 돌아왔다..

  • 레오나르두 올리베이라/Leonardo Oliveira(leo_drunky) - 임대 [4]

  • 비니시우스 모레이라/Vinicius Moreira(v$m) - 임대 [5]

  • 페르난두 알바렝가/Fernando Alvarenga(fer/브라질)
파일:fer-MIBR.png
HLTV 선정 연간 Top 20 플레이어: 2016년 15위, 2017년 3위

코수술로 인해 2016년 9월까지 휴식을 취할 예정. 출처 fer의대타로 SHOOWTiME이 대신뛰다가 9월 10일 ECS Season 2- North America Development League에서 복귀하였다.

굉장히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보여주는 선수다. CT일 때도 상당히 먼 거리까지 푸쉬를 나가는 경우가 많다. 이런 성향 때문에 한 번 불붙으면 엄청난 퍼포먼스를 보여주지만, 안정성은 조금 떨어지는 편. 2016년 top 20 플레이어에 15위로 선정됐다. 이 정도도 엄청난 성적이지만 coldzera와 FalleN의 압도적인 존재감에 다소 묻히는 감이 있었는데, 2017년 2분기 무렵부터는 coldzera, FalleN과 비교해도 전혀 꿇리지 않는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프리미어급 대회인 ECS Season 3 Finals에서는 coldzera를 제치고 MVP를 받기도 했다. 여러 프로 선수들이 뽑은 현재 세계 최강의 선수로 coldzera, NiKo와 나란히 언급되는 등, 이제 확실히 초일류급 선수로 인정받고 있다. # 결국 hltv에서 선정한 2017년 top 20 플레이어 목록에 3위로 이름을 올렸다. hltv에서는 다른 연도였다면 1위도 충분히 가능했을 성적이라는 평가를 덧붙였다.

한 가지 놀라운 것은 2016년에 받았던 코 수술이 사실 더 문제가 심각했던 귀 수술을 위해 받았던 것인데, 이 때문에 한동안 오른쪽 귀가 아예 안 들렸었다는 것. 명확하게 밝히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2017년 상반기 내내 이런 상태로 플레이한 듯하다.

  • 주앙 카브랄 바스콘셀루스/João Cabral Vasconcellos(felps/브라질)
파일:felps-MIBR.png
2017년 2월 5일 fnx대신에 Immortals에서 이적했다. 공격적인 플레이를 보여주는 선수인데, fer와 플레이 스타일이 많이 겹치기 때문에 이 선수의 포지션을 두고 팀 차원에서 고민이 많았던 모양. 인 게임 리더인 FalleN의 인터뷰에 따르면 2017년 상반기 동안 이 선수의 원래 성향대로 놔둘지, 아니면 좀 더 신중하게 팀 플레이에 집중하게 할 지 시험해 봤다고 한다. 결국 공격적인 플레이를 하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 경기를 보면 위험을 감수하고 연막을 뚫고 나가는 등 굉장히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SK Gaming 시절 같은 팀이었다가 포지션 문제가 해결이 안돼서 결국 10월 31일 예비로 내려왔다가 2018년 2월 29일 Não Tem Como[6]로 이적했었다가 2019년 1월 다시 영입되었다. 2017년 2분기에 SK가 최전성기를 누리는 데에 기여했지만, 인페르노 맵에서의 실력은 처참한 수준이었다. 재영입된 2019년 현재에는 개선되었을지는 아직 불명.
Luminosity의 Lucas1과 트레이딩으로 임대멤버로 영입되었으나 Luminosity의 해체로 인해 현재는 BOOM Esports로 임대를 했다

  • 이그나시오 나임 메이어/Ignacio Naim Meyer(meyern/아르헨티나)

2019년 6월 말 Luminosity와 임대 트레이딩으로 들어왔다. 임대 기간은 최소한 StarLadder Major 2019에 참가하는 동안 보장된다고 한다.
항상 같은 팀에서 활동하던 쌍둥이 형제인 HEN1와 오랜만에 갈라지게 되었다.

파일:coldzera-MIBR.png
HLTV 선정 연간 Top 20 플레이어: 2016년 1위, 2017년 1위, 2018년 10위
CS:GO Major Championship MVP: MLG Major Championship: Columbus, ESL One: Cologne 2016[7]
TGA 선정 2016년 올해의 e스포츠 플레이어(종목 불문)

팀의 에이스이자 현재 글옵 프로 씬 최강의 라이플러로 뽑인다. 팀의 세컨드 오퍼이기도 하며 세컨드 오퍼 포지션으로는 탑급에 드는 선수이다. 세컨드 오퍼인데도 오퍼로서의 실력이 어지간한 메인 오퍼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독특한 어감 때문인지 닉네임을 차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보인다.원래 브라질 국내 리그에서만 활동하며 국제 리그에서는 완전히 무명에 가까운 선수였다. 하지만 2015년 중반, 당시로서는 유일한 세계적인 브라질 팀인 Luminosity Gaming[8]에 영입되고부터 순식간에 세계 초일류급 선수로 떠올랐다. 2016년에 팀이 두 번 연속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할 때 두 번 모두대회 MVP로 뽑혔다. 메이저 대회 2회 MVP는 지금까지 이 선수가 유일하다. 이런 엄청난 성적에 힘입어 hltv에서 뽑은 2016년 top 20 플레이어 목록에서 1위를 차지했다. 게다가 MLG Columbus 4강전에서 팀을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구해낸 점핑 더블 옵 샷도 2016년 명장면 1위로 뽑히는 등, 2016년은 그야말로 이 선수의 해라고 말해도 무리가 아닐 정도.

2017년에 들어서도 전혀 꺾이지 않는 기세를 보여주었다. 한 해 동안 무려 5개의 MVP를 받았고, 두 번의 메이저에서 팀이 각각 4강, 8강에서 탈락했음에도 불구하고 두 대회의 모든 참가 선수들을 통틀어 가장 높은 레이팅을 기록했다. 결국 2017년 top 20 플레이어 목록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샷도 무척 뛰어나지만, 상황 판단 능력이 압도적으로 뛰어나다고 평가받는다. 덕분에 안정성이 좋아 기복 없이 거의 항상 좋은 활약을 보여준다. 특유의 침착한 덕분에 큰 대회로 갈수록 오히려 더 좋은 성적을 보여주기도 한다. 레이팅[9]이 높을 때는 1.3이 훌쩍 넘는 수치를 보여주기도 했다. [10]

인페르노 맵에서 특히 엄청난 실력을 보여주며, 팀이 인페르노에서 상당히 약하다고 평가받는데도 불구하고 이 선수만은 세계 최고의 인페르노 플레이어로 뽑힌다. 전성기 시절에도 SK는 인페르노에서 유난히 약했고 특히 일부 멤버들은 처참한 실력을 보여줬는데, 오로지 이 선수의 하드캐리로 승률 50% 이상을 유지했을 정도다.

2019년 7월 주전에서 예비선수로 내려왔다. 여전히 팀 내에서 가장 뛰어난 선수로 뽑히는데도 예비선수로 내려온게 의아하게 생각될 수 있는데, 선수 본인이 요청한 것이라고 한다. 팀의 오랜 부진에 상당히 상심했고 팀의 방향성에 대해 다른 멤버들과 의견 충돌이 있었다고 하며, 그래서 다른 팀으로 이적하길 원한다고 한다. 때마침 NiKo와 함께 찍은 사진이 공개되면서 FaZe Clan 영입설이 돌았었고 9월 25일, 결국 사실로 밝혀지며 FaZe로 완전히 이적했다.

해당 문서 참조

모두가 싫어하는 플레이어
팀의 앤트리 프래거이며 더러운 플레이 (위 링크 참조)로 유명하다. 사실 당하는 입장에서야 황당하겠지만 좋게 말하면 적의 허를 찌르는뒷통수 후려치는 능력이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1998년 1월 1일생이고, 2016년 1월 11일에 Cloud9에 영입되고 나서 팀의 전체적인 역량이 향상됐다고 할 정도로 상당한 실력을 가진 어린 선수이다. 한동안 엔트리 프래거+세컨오퍼 역할을 하다가 인게임리더 역할까지 떠맡았었는데 이후 새로 영입된 tarik한테 인게임리더 역할을 물려주고 활동하다가 2018년 3월 31일 Taco 대신 SK Gaming에 영입되었다. 2018년 12월 21일, Team Liquid로 이적하였다.

HLTV 선정 연간 Top 20 플레이어: 2017년 18위
2017년 10월31일 felps대신 Immortals에서 임대. felps보다 덜 공격적이고 보다 안정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가진 선수다.


4. 성적[편집]


CS:GO Major Championship볼드체표기.
  • 2018년
    • ESL One: Cologne 2018 - 7~8위
    • ELEAGUE CS:GO Premier 2018 - 5~6위
    • ZOTAC Cup Masters 2018 - 1위
    • DreamHack Masters Stockholm 2018 - 5~8위
    • FACEIT Major: London 2018 - 3~4위
    • BLAST Pro Series: Istanbul 2018 - 2위
    • Intel Extreme Masters XIII - Chicago - 9~12위
    • Esports Championship Series Season 6 - Finals - 2위
    • ESL Pro League Season 8 - Finals - 3~4위
    • BLAST Pro Series: Lisbon 2018 - 4위
  • 2019년
    • IEM Katowice Major 2019 - 3~4위
    • WESG 2018 - 8강
    • BLAST Pro Series: São Paulo 2019 - 6위
    • StarSeries & i-League CS:GO Season 7 - 12~14위
    • BLAST Pro Series: Miami 2019 - 3위
    • Intel Extreme Masters XIV - Sydney - 3~4위
    • Esports Championship Series Season 7 - Finals - 7~8위
    • ESL Pro League Season 9 - Finals - 7~8위
    • ESL One: Cologne 2019 - 13~16위
    • BLAST Pro Series: Los Angeles 2019 - 5위
    • Intel Extreme Masters XIV - Chicago - 3~4위
    • StarLadder Major Berlin 2019 - 12~14위
    • BLAST Pro Series: Moscow 2019 - 4위
    • V4 Future Sports Festival 2019 - 3~4위
    • StarSeries & i-League CS:GO Season 8 - 5~6위
    • CS:GO Asia Championship 2019 - 3~4위
    • Esports Championship Series Season 8 - Finals - 5~6위
    • ESL Pro League Season 10 - Finals - 9~12위
    • cs_summit 5 - 6위
  • 2020년
    • BLAST Premier Spring Series 2020 - 10~12위
    • DreamHack Open Anaheim 2020 - 5~6위
    • ESL Pro League Season 11 - North America - 4위
    • FLASHPOINT Season 1 - 2위

5. 카운터 스트라이크 1.6[편집]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Mibr-logo.png
1.6팀 당시의 팀 공식 마크이며 이걸 모티브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현재의 그것을 만들었다. 오른쪽 위의 별 표시는 당시 메이저급 대회였던 ESWC의 2006년 우승을 기념하는 표식으로 중심에는 ESWC의 엠블럼이 들어있다.
2003년 부터 2010년까지 존재했던 브라질 전설의 카운터 스트라이크팀.
이 팀을 거쳐간 유명한 브라질 선수들은 현재 Immortals 소속인 fnx와 cogu, Red Reserve의 nak, Team oNe 소속인 bit, bruno, ton, btt, KIKOOOO 등등이 거쳐갔다.

5.1. 성적[편집]


  • 우승
ESWC 2006
DreamHack Winter 2007
GameGune 2008
  • 준우승
GameGune 2007
IEM III Global Challenge Los Angeles
WEG e-Stars 2007
  • 3~4위
IEM III Global Challenge Montreal (3위)
DreamHack Summer 2006 (3위)
ESWC 2007 (4위)

[1] 예를 들면 활동 기간이 거의 일치하는 MODDII는 노익장 이미지가 강한 것과 분명하게 대비된다. 모띠는 현재 대단치는 않아도 현역급으로 부족한 건 아니지만, 1.6이 대세였던 2000년대 중후반이 지날 때 쯤 나타나 쌓은 업적까지 충분히 살아있는 레전드로 대우받는다. 비슷한 시기에 활동을 시작한 폴른은 당시 브라질이 주도하던 남미씬이 크게 꺾였던 영향에서 벗어날 순 없었겠지만 어쨌든 수확한 결실이 마땅찮다. 자국의 선배 세대인 KIKOOOO나 cogu 등의 후광이 너무 강렬해서 비교절하 되기도 하고.[2] 적 입장에서는 한쪽 사이트에서 적의 엔트리 프래거를 발견하면 그 사이트가 공격받을 거라고 생각을 하게되는데, 이를 역으로 이용해서 적의 주의를 끄는 동안 팀원들은 다른 사이트를 공격하게 하는 것[3] 혼동하는 사람이 많은데, ESL에서 뽑은 MVP는 TACO이고 HLTV에서 뽑은 MVP는 coldzera이다. HLTV의 MVP 선정 기준은 통계 수치가 우선이기 때문.[4] Sharks Esports[5] DETONA Gaming[6]INTZ e-Sports.[7] 지금까지 유일한 2회 연속 수상자. Astralis의 device와 함께 유이한 2회 수상자이다.[8] felps를 제외하고 현재 이 팀의 로스터가 이 시기에 완성되었다.[9] 킬/데스 비율이 플레이어의 실제 활약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개발된 점수. 킬 수와 살아남은 라운드 수, 라운드 내의 멀티킬 여부 등을 종합해 산출한다.[10] 2017년 3월 기준 레이팅 1.36으로 전체 1위. 아무래도 프로 씬에서는 비슷한 수준의 팀끼리 붙게 되기 때문에 3티어 이하 팀 소속인 선수들이 높은 수치를 찍는 경우가 많다. 1티어 팀에서 이런 수치가 나온 것은 정말 엄청난 일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0 23:17:49에 나무위키 Made in Brazil/카운터 스트라이크/2021년 1월 이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