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al Frontline:Ocean Military/영국 테크트리/프리미엄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전함
2.1. HMS Argincourt
2.2. HMS Hood
3. 항공모함
3.1. HMS Illustrious
3.2. HMS Warrior
3.3. HMS Audacious
3.4. HMS Eagle
4. 잠수함
4.1. HMS X1


1. 개요[편집]


본 문서는 영국 명예구매함/현질함/골드쉽을 다룬다. 해당하는 함선으로는 HMS Argincourt, HMS Hood, HMS Illustrious, HMS Warrior, HMS Audacious, HMS Eagle, HMS X1 등이 있다.


2. 전함[편집]



2.1. HMS Argincourt[편집]


애진코트는 인게임 전함 주포 중 조준사격 가능한 가장 많은 포문수를 지닌다. 12인치 14발은 12인치라고 무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2.2. HMS Hood[편집]


후드는 실버함인 어드미럴급의 프리미엄 판으로 어드미럴과 달리 수상기를 운용하며 상세한 차이는 불명이다

3. 항공모함[편집]



3.1. HMS Illustrious[편집]


일러스트리어스는 영항모중 유일하게 비행사가 8명이며 시파이어 17형이라는 우수한 함재기를 운용한다. 소드피쉬와 알바코어 뇌격기를 운용가능한데, 복엽기인지라 어뢰 명중률은 높으나 공격 성공률이 낮아 시파이어 MK. XVII가 폭장이 가능한 점으로 약간이나마 보완하다. 그 외에 콜세어 MK.II와 헬캣을 운용 가능한데, 헬캣은 상세한 계통은 불명이며 콜세어와 시파이어 조합 내지 시파이어 원툴로 조합을 짜는 경우가 많지 헬캣은 거의 안 쓰인다.

3.2. HMS Warrior[편집]


HMS Warrior는 콜로서스급 항공모함 중 하나이다.

직계조상(물론 인게임 한정)격인 HMS Victorious와 많은 특징을 공유한다. 함선 자체의 경우 양쪽 다 인게임 경항모 1,2위의 장갑 강화가 가능한데, 워리어 쪽이 총 장갑량은 수인치 더 많으나 만재시에도 27노트 이상을 유지하는 빅토리어스와 달리 워리어는 25노트 수준으로 떨어진다. 인디펜던스급 경항모 계통(인디펜던스, 라파예트, 다통) 모두 만재시 25노트 수준이기에 썩 나쁘지는 않아 보이나 실제로는 이들 대비 가속이 느려 훨씬 더 둔하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함재기는 barracuda MK.III과 Blackburn firebrand T.F MK.IV를 굴린다. 전자는 뇌격/폭격/대잠기이며 후자는 뇌격/폭격/공격기이다.

바라쿠다의 경우 바라쿠다 mk.2에 비해 체력과 방어력, 속도가 소폭 늘었으나 가속이 0.1 줄었고 탑재무장은 동일하다[1].

파이어브랜드는 파이어플라이 대비 가속, 최대속도, 화력, 방어력, 체력 등이 늘었으나 비행시간이 270초로 포케불프190, AD-1과 꼴찌다툼을 벌이고 있다. 탑재무장은 RP-3 3인치 로켓×16, 엉클 톰 대함로켓×2, 1000lb폭탄×2, 항공중[2]어뢰×1 이다.

대함로켓의 공격력은 1069로 상위권[3]이며, 충돌 직전까지 하강하여 공격할 수 있어 명중률이 높다. 관통력도 상당한 편이나, 전함 상대시 대공사격에 갈려 명중탄수가 부족해 관통력을 온전히 발휘하기는 어렵다.

다만 항공모함 상대시 얘기가 달라지는데 그나마 시나노와 미드웨이, 오데이셔스급 2종 등의 대공화력이 우수한 항모들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사실 경항모가 정규항모를 타격하는데에 있어서는 전투 초중반의 재공권의 우열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 정찰기 및 전투기의 탐지를 피해 맵 가장자리를 타고 날아가 적 정규항모에 꽂는 경우와, 후반부 아군 항모의 제공권 장악하에서 정면으로 공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전자는 함재기 컨트롤에 힘쓰느라, 후자는 아군 정규항모의 공격과 기타 아군 수상함들의 포격 등에 의해 온전히 대공에 힘쓰기 어렵다.

하물며 1개편대로 강습하는 것이 아닌, 최소 3개 편대를 동원하여 공격하므로 극히 일부의 정규항모를 제외하고는 전투기의 초계가 뚫린이상 빈사를 면하기는 어렵다. 다만 공격하는 경항모 입장에서는 첫 웨이브로 정규항모 제거에 실패하는 경우 적 전투기 및 수상함의 대공화력에 함재기 절반이상은 갈릴게 뻔한고로 절대 쉬운 일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요격을 회피하는 것 부터가 고도의 테크닉은 물론 아군 정규항모의 적절한 어그로등의 협조, 일정수준 이상의 운빨이 필요한고로 경항모가 정규항모의 천적으로서 군림하는 것은 꿈만같은 얘기다. 물론 정규항모 입장에서는 적 정규항모와 경항모를 둘 다 견제해야하는데 아군 경항모가 제공권 장악될 때 까지 발진을 안하다면서 버티거나 아군 전함이 정찰기를 적극적으로 운용하지 않는 다면 부담과 울분은 크게 상승한다.

이러한 부담은 전투기의 탐지범위가 후달리는 일항에서 극을 달리는데, 일항이 인게임 최장의 탐지범위를 지니는 C6N 사이운을 굴릴 경우 반대로 상대측 경항모가 골치아파진다. 1000lb폭탄의 관통력이 부족한 이상, 첫 웨이브의 편재는 대함ㅡ대함ㅡRP-3 조합을 추천한다. 2개편대 분의 대함로켓으로 적 항모의 중앙갑판을 찢어버리고, 저관통 저위력이나 기체당 16발이 무식한 수량으로 커버하는[4] RP-3 로켓으로 확정킬을 내는 방식이다. 보통은 대함편대 하나는 갈린다고 보면 되고, RP-3 편대로 아슬아슬하게 킬이 나는 경우가 많다. 후속 편대는 웨이브로서 기능한다기 보다는 적 함대의 대공화력을 담당하는 전함들의 어그로를 끌기위한 뇌격기로 편성하는 게 좋다. 물론 우스터까지 가지 않아도 미구축과 기타 방공순양함에 단계적으로 갈리는 등 경항모 자체의 운용난이도가 팀빨을 크게 타기는 한다.

3.3. HMS Audacious[편집]


오데이셔스는 명예구매함으로 시파이어 F Mk XV 및 Mk III, 콜세어 F Mk II, 그리고 파이어플라이 FR[5] Mk V의 함재 전투기와 페어리 스피어피쉬, 페어리 바라쿠다 Mk.III의 뇌격/폭격기를 보유한다. 스피어피쉬는 대당 4발이라는 무식한 폭장량을 자랑하며 한 때 적 정규항모와 전함을 일격에 빈사상태로 만들 수 있었으나 추가 직후 너프되어 현시점에서는 약간의 운빨이 필요하다. 맞는 입장에서는 재수가 좀만 없어도 일격에 빈사가 된다는 점에서 여전히 뭣같다[6]. 또 탑재 가능한 어뢰가 일반적인 공격력 2000대[7]의 항공어뢰가 아니라 3200의 중어뢰이기 때문에 편대당 8기 구성임에도 공격력이 크게 부족하지는 않다. 바라쿠다의 경우 폭격기로는 관통력상의 하자가 있어 타겟의 갑판 장갑 역시 하자가 있다는 보증이 서지 않는다면 뇌격기로 주로 운용된다[8]. 스피어피쉬만큼 파격적인 딜 능력은 없으나 더 높은 편대당 기체 수에서 오는 안정적인 딜 능력이 특징이다[9]. 편대당 최대 기체수가 스피어피쉬보다 높기에, 비행사가 공중전 중 다수 갈려나가 적함의 대공무장에 더이상 잃을 수 없는 경우에 스피어피쉬보다 높은 생존성으로 플레이어에게 보답한다. 미드웨이 다음으로 높은 함재기 보유량을 지닌다. Cosair F Mk II의 경우 역사상 엘리베이터 크기 문제로 주익 끝이 잘리게 되었는데, 이것이 인게임 모델링 상 반영되어 있고, 성능상으로도 고려되었는지 콜세어 계통 최악의 선회력[10]을 보유한 대신 최고의 롤성능을 지닌다. 최대 1편대당 10기 편성이며 공격력은 FAU-1A기반 답게 12.7mm×6의 300이다. 파이어플라이의 경우 R이 붙은 만큼 넓은 정찰범위를 지니며 무장은 20mm 히스파노 수이자 기관포 4문으로 600의 높은 공격력을 지닌다. 속도가 554kmph로 하자가 있고 선회 또한 40초반대로 비행성능은 일반적으로 낙제점이기에 주력기종으로 굴리기에는 무리가 있다. 대신 긴 비행시간과 넓은 정찰범위, 높은 공격력을 살려서 제공권 장악 후의 스팟 및 정찰기 사냥, 적 항모의 함재기 발진 억제 및 요격 등 공역 전반을 정리하는 역할에 잘 어울린다. 2.00.059로 업데이트로 시파이어 17형이 추가되었다

3.4. HMS Eagle[편집]


이글은 현질함으로 현질 가격도 가장 비싸다. 기간제로 굴릴 수 있었던 시기 기준으로는 오데이셔스의 함재기 구성에 시파이어 Mk XVII와 시모스키토가 추가되어 완벽한 상위호환 격이었으나, 해당 기간이 끝난 후 업뎃에서 글로스터미티어가 추가되고 오데이셔스에 시파이어 15형이 추가된 고로 현재도 함재기 구성이 오데이셔스+시파 17형+모스키토+미티어 인지는 불명. 한 때는 시 모스키토가 차별점이자 아이덴티티였으나 인게임 유일의 제트기[789kmph]인 글로스터 미티어가 추가된 후로는 달라졌다. 미티어+시파이어 조합으로 숙련된 플레이어라면 아군 정규항모가 조기에 전투불능이 된 상황에서도 적 정규항모 2척 상대로 제공권을 확보하는 기염을 토해낼 수 있다. 말하자면 숙련도에 따라 사기력의 편차가 굉장히 커진다.

4. 잠수함[편집]



4.1. HMS X1[편집]


hms x1은 쉬르쿠프급과 같은 잠수 순양함으로 보인다. 엄밀히는 현질 사은품으로 ud-1마냥 따로 팔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연장포 2기를 운용하는데, 포구초속이 빠르고 탄도도 상당한 직사 궤적을 그리는 느낌이다. 2인치 이상 장갑을 둘러 폭뢰에는 사실상 면역이며, 풀업시 20000을 조금 넘는 체력을 지녀 구축함은 물론 경순양함까지 수장시킬 수 있다. silent speed는 7.8노트 전후로 보인다. 이래저래 움직임이 굼떠 부상과 잠항을 신중히 바꿀 필요가 있다. 구축함 잡겠다고 부상하다가 주포가 활성화 되기 전에 역으로 구축함한테 어뢰맞고 용왕님을 대면할 수 있다. 잠대잠전에서는 같은 잠수 순양함이 아니라면 나는 많아야 2발, 대부분은 한 발만 맞히어도 격침 가능한 것에 반해 상대는 4~6발은 맞히어야 하므로 높은 우위를 가진다. 다만 HMS L52같은 애들은 어뢰를 최대 6발까지 일시에 박아버릴 수 있는고로 숙련도에 차이가 있다면 그 한 발을 먼저 못맞히어서 역관광당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 어뢰발사관 구성은 전방 6기, 후방 0기이다. 주포가 굉장히 훌륭해 대잠폭뢰를 들고오는 수상기는 몇대든 상대할 수 있으며 아군에게 함대 방공을 제공해줄 수 도 있다. 다만 UD-1과 부상한 채 포격전을 벌일 시 10초 장전이 발목 잡아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으니 맹신은 금물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18 01:42:45에 나무위키 Naval Frontline:Ocean Military/영국 테크트리/프리미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000lb 폭탄×2, 항공어뢰×1, 항공폭뢰×4[2] 일반 항공어뢰 디자인이 아닌, 잠수함내지 수선하 어뢰발사관 용 어뢰 디자인으로 공격력도 2920으로 타 항공어뢰보다 우수하다[3] 라파예트 전용 타이니팀이 1100으로 근소하게 더 높고, 즈이호의 대함로켓은 1250으로 크게 높으나 얘는 장탄수가 1발 뿐이다. 물론 총 딜량을 따질라카면 인디펜던스의 m8 로켓은 3발들이 발사관을 날개 한쪽당 한개씩 장착하기에 상위권이라고만 쓴다[4] 엉클톰 대함로켓 1069×2, 1000lb 폭탄 1950×2, RP-3 270×16을 비교해보면 극딜로 급폭이 더 바람직해 보이나 파이어브랜드 급폭의 애매한 동시에 운빨을 타는 폭격 능력을 생각해보면 RP-3이 더 낫다.[5] F는 fighter로 전투기 형식, R은 reconnaissance의 정찰기 형식을 뜻한다. FR은 fighter-reconnaissance으로 전투ㅡ정찰기쯤 되겠다. 참고로 N이 붙은 것은 야간전투기, U는 무인기 버전이다. T는 시파이어에서는 복좌기 타입을 뜻하는데 파이어브랜드 T.F 계통은 1인승인고로 좀 제멋대로인 부분이 있다. 참고로 파이어플라이 FR. Mk 5 가 옳은 명칭이다 [6] 철갑폭탄과 고폭탄 중 선택이 가능한데, 고폭탄의 경우 H급 후기형이나 야마토 등의 떡장갑함, 방어력이 일반적으로는 아주 강하지 않더라도 장갑 셋을 중앙갑판에 큰 비중을 두고 가져간 대전 후반기 전함의 경우는 2개 편대까지는 큰 피통 손실 없이 장갑판 내구력을 소진하며 막아낼 수 있는 것과 달리 철갑폭탄의 경우 화재발생이 불가능하지만 1개 편대 만으로도 장갑판과 본체 내구력 모두를 너덜너덜하게 만들어 버릴 수 있다[7] 일항의 경우 2285, 독항은 2550, fw190용의 F5B어뢰는 2135, 미항은 2715(mk13-6의 경우 3010이나 쓸 수 있는 기체는 TBM-3 하나 밖에 없다), 영항의 18인치 어뢰는 2750으로 2000대 전반에 넓게 걸쳐있다[8] 폭장량 자체는 1000lb(450kg)짜리 폭탄 2발로 우수한 편이지만 항공폭탄 탄두를 무슨 헤쉬탄으로 만들어놨는지 장갑관통력이 거의 없다시피한다. 바라쿠다 Mk.III 뿐 아니라 동일한 1000lb 폭탄을 사용하는 모든 영항과 공유하는 특징이다. 그나마 불 하나만큼은 잘지른다. 탄착군이 폭격기 앞-뒤로 긴 타원꼴을 형성하므로 함수나 함미 쪽에서 접근하여 폭격하자[9] 다만 좋게 말해서 저러한거지 실제로는 스피어피쉬에 밀려 잘 안 쓰인다.[10] 경항모까지 끌고오면 라파예트의 AU-1이 최악이기는 하나 얘는 경항모용 전폭기인지라...[789km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