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 솔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BCRP.gif

1. 소개
2. 환전과 환율
3. 구 솔(Sol Peruano)
4. 신 솔(Nuevo Sol Peruano)
4.1. 1차
4.2. 2차
4.3. 3차(현행권)
4.4. 동전
5. 둘러보기


1. 소개[편집]


페루의 통화. 태양의 나라라는 별명답게 태양을 뜻하는 스페인어다.

ISO 4217 코드는 PEN[1], 기호는 "S/"이다. 복수형은 솔레스(Soles)라고 한다. 보조단위로 센티모(Centimo)가 있다.

크게 구형 솔화(Sol Peruano)와 신형 솔화(Nuevo Sol Peruano)로 나뉜다.


2. 환전과 환율[편집]


2022년 12월 현재 해당 통화를 보유하고 있다면 KEB하나은행에서 비고시 추심 불가 상태.

환율은 2023년 5월 26일 기준 약 360원.

지폐 구하고 싶다면 페루 여행 관련 카페에 현금 사겠다고 게시하거나 아니면 중고나라,당근마켓,번개장터,페루 현지 은행이나 사설환전소에서 찾아가야 한다. 그 후 환전이 가능한 외국의 통화목록을 확인 이후 하는 것이 좋다.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은행,사설환전소에서 환전이 가능하다.
(?)표시 여부 는 당시에는 가능했으나 지금은 환전 여부를 알 수 없다는 의미이다.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아르헨티나 페소, 콜롬비아 페소, 칠레 페소, 볼리비아 볼리비아노, 멕시코 페소, 도미니카 페소, 우루과이 페소(?)
  •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2], 스위스 프랑
  • 아시아: 일본 엔, 중국 위안, 싱가포르 달러, 한국 원(?), 홍콩 달러(?), 신대만 달러(?)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3. 구 솔(Sol Peruano)[편집]


이때는 명칭이 솔데오로(sol de oro)였으며, 기호는 'S/o'로 표기했다.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101.jpgS/o 5파차쿠티, 잉카 도자기삭사이와망 요새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102.jpgS/o 10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 생가티티카카 호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103.jpgS/o 50투팍 아마루 2세, 대장장이틴타 역사 지구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104.jpgS/o 100히폴리토 우나우에, 화물 선적카리다드 교회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105.jpgS/o 200라몬 카스티야, 전통 고기잡이프리깃함 아마소나스호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106.jpgS/o 500니콜라스 피에롤라, 기념비 건립조폐국 건물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107.jpgS/o 1,000미겔 그라우, 프란시스코 볼로네지마추픽추


4. 신 솔(Nuevo Sol Peruano)[편집]


큰 맘먹고 바꾼 이전 통화 페루 잉티가 또다시 하이퍼인플레로 인해 막장의 길에 빠지려하니 이름만이라도 회귀시킨 결과물로, 알베르토 후지모리가 집권하고 난 후인 1991년 7월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결론적으로는 꽤나 성공적인 축에 속하게 되었으니 (2007년 추정치 1.5%) 다행이려나. 교환비율은 1,000,000잉티/솔이다.


4.1. 1차[편집]


이때에는 구 솔과 구분하기 위해 '누에보솔'이란 명칭을 썼다. 최고액권인 200솔은 상대적으로 늦은 1995년에 처음 등장.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01.jpgS/10호세 아벨라르도 키뇨네스 곤살레스1939년 복엽기로 곡예비행하는 키뇨네스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02.jpgS/20라울 포라스 바레네체아토레 타글레 궁전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03.jpgS/50아브라암 발델로마르 핀토와카치나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04.jpgS/100호르헤 바사드레 그로만국립도서관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05.jpgS/200리마의 로사산토 도밍고 수녀원


4.2. 2차[편집]


2009년 등장.

2015년 말부터 명칭에서 누에보를 뺀 그냥 '솔'으로 표기가 변경되어 발행되었는데, 200솔은 제외되었다.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11.jpgS/10전판과 동일마추픽추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12.jpgS/20찬찬 고고 유적지대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13.jpgS/50차빈 데 우안타르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14.jpgS/100파하텐 성채[3]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15.jpgS/200카랄 도시 유적


4.3. 3차(현행권)[편집]


1, 2차와 다르게 전반적으로 도안이 새롭게 교체되었으며 2021년과 2022년에 걸쳐 발행되었다.

다만 200솔만은 유독 발행은 커녕 도안의 모습조차 공개되지 않고 있었다가 비교적 늦은 2023년 12월 15일에 공개와 발행이 이루어졌다.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21.jpgS/10차부카 그란다비쿠냐, 아만케이 꽃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22.jpgS/20호세 마리아 아르게다스콘도르, 칸투아 꽃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23.jpgS/50마리아 로스트워로우스키재규어, 푸야 라이몬디
파일:CIEN SOLES.jpgS/100페드로 파울레트물까치라켓벌새, 난초
파일:attachment/페루 솔/perus026.jpgS/200틸사 츠치야안데스바위새, 부채꽃

4.4. 동전[편집]


파일:Peru Coins.jpg

10, 20, 50센티모와 1, 2, 5솔까지 해서 6종. 1, 5센티모는 저가치로 인해 사실상 유통 중단되었다.

2, 5솔화에는 나스카 지상화의 그림들이 새겨져 있으며 각각 2솔-벌새, 5솔-콘도르.

5.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91023 10%,#fff 10%,#fff 90%,#d91023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페루|[[파일:페루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페루
관련 문서
}}}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1] 이전엔 PES[2]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발행권만 가능[3] 차차포야 유적 중 하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7:38:08에 나무위키 페루 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