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블린라이더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고블린(유희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ㄱ]

가디언가스타가제트강귀개구리갤럭시거대전함검투수게이트 가디언고고고고블린고블린라이더고스트릭고요우고티스공아단군관그레이돌그림자 여섯 무사극성금지된기괴기교기믹 퍼핏기아기아기차기황

[ㄴ]
[ㄷ]

다이너미스트다이놀피어대행자더스튼데먼스미스데몬데블리철데스완구데스티니 히어로데스피아도도도도레미코드드라이트론드래곤메이드드래그니티드래그마디아벨스타디지털 버그

[ㄹ]

라뷰린스라의 익신룡라이트로드레드 데몬레조네이터레프티레스령사령수령신로이드로즈 드래곤룡검사룡성루닉리브로맨서리추어

[ㅁ]

마계극단마굉신마그넷 워리어마기스토스마나둠마도서마돌체마리스보라스마린세스마술사마스크드 히어로마요괴마장전사마제스펙터마탄환매지션 걸매직비스트머메일머시너즈머티리어크톨메가리스메르피메멘토메타파이즈메탈포제명세계모케모케몽마경묘지기무사신무한기동문라이트문장수뮤트리아미계역미래황미캉코

[ㅂ]

바렐바렛바르모니카바르바로스바바리안바운서바이론방계방해꾼밸리언츠뱀파이어버스터 블레이더버제스토마베다베놈베어루크티벤데드벨즈보옥수볼캐닉봄화정봉인된 엑조디아분보그불꽃성기사붉은 눈블랙 매지션비서스=스타프로스트비스테드비전 히어로비틀트루퍼빙결계빙의장착빛의 황금궤

[ㅅ]

사이바넷사이버사이버 드래곤사이버 엔젤사이버 다크사이퍼사일런트 매지션사일런트 스워드맨삼라상검새크리파이스샐러맨그레이트생아발론샤크섀도르서브테러섬도희성각성기사성유물성잔세리온즈세븐스세이비어세이크리드세피라센츄리온소환수수호룡수호신관순성숲의 성령숲의 성수스네이크아이스마일스케어클로스크랩스타더스트스프라이트스프리건즈시계신시라누이시무르그심해십이수싱크론쌍천썬더 드래곤

[ㅇ]

아로마아르카나 포스아마조네스아머드 엑시즈아모르파지아쿠아액트리스아티팩트악마양안개 골짜기알버스의 낙윤암드 드래곤암흑 기사 가이아암흑계앤틱 기어어메이즈먼트언체인드얼루어 퀸얼터가이스트엄브럴에볼에스프릿에일리언에지임프엑소시스터엔디미온엘드리치엘리멘트세이버엘리멘틀 히어로여섯 무사염성염왕오노마토오드아이즈오르페골오파츠왈큐레요선수용기사 가이아용사운마물워크라이위치크래프트유벨유익환상수 키메라유토피아육화이그나이트이블 히어로이빌트윈인벨즈인잭터인조인간인페르노이드인페르니티일렉

[ㅈ]

재빠른잭나이츠저주받은 하인전뇌계전지맨전황점술공주점쟁이 마녀정크제너레이드제넥스제알제왕젬나이트주바바주안죽도쥬락지박지박신진룡

[ㅊ]
[ㅋ]
[ㅌ]
[ㅍ]

파괴수파라디온파샤스파이어월패왕권룡패왕룡 즈아크팬텀 나이츠퍼니멀퍼핏페어리테일펭귄포츈 레이디포탄포톤푸른 눈퓨어리프랭키즈프레데터 플랜츠프린세스 코롱플런드롤플레임벨피안

[ㅎ]

해피해황헤이즈비스트현세와 명계의 역전호루스호루스의 흑염룡홀리 라이트닝홀리나이츠화석화이트 아우라화합야수환마환상수환상수기환주환접의 자객환황룡후완다리즈히로익히어로히스이

[A~Z, 특수문자]

(이그니스터A(어드밴스드 보옥수ABCA·O·J[ruby(BF,ruby=블랙 페더)][ruby(BK,ruby=버닝나쿠라)][ruby(B·F,ruby=비 포스)][ruby(C,ruby=체인)][ruby(D,ruby=디포머)][ruby(DD,ruby=디디)][ruby(Em,ruby=엔터메이지)][ruby(EM,ruby=엔터메이트)][ruby(F.A.,ruby=포뮬러 애슬리트)]G골렘[ruby(GP,ruby=골드 프라이드)][ruby(Kozmo,ruby=코즈모)][ruby(LL,ruby=리리컬 루스키니아)]No.[ruby(P.U.N.K.,ruby=펑크)]PSY(싸이프레임[ruby(RR,ruby=레이드 랩터즈)][ruby(RUM,ruby=랭크 업 매직)][ruby(R-ACE,ruby=레스큐 에이스)]SD(슈퍼 디펜스 로보[ruby(Sin,ruby=신)][ruby(SPYRAL,ruby=스파이랄)][ruby(SR,ruby=스피드로이드)][ruby(S-Force,ruby=시큐리티 포스)][ruby(TG,ruby=테크지너스)][ruby(U.A.,ruby=울트라 애슬리트)][ruby(VS,ruby=뱅키시 소울)]VWXYZ[ruby(WW,ruby=윈드 위치)]X-세이버[ruby(ZW,ruby=제알 웨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고블린라이더
한글판 명칭고블린라이더
일어판 명칭百鬼羅刹(ゴブリンライダー
영어판 명칭Goblin Biker
속성종족관련 카테고리
다속성전사족, 악마족, 야수전사족효과, 엑시즈
1. 개요
2. 스토리
3. 성능
4. 효과 몬스터
4.1. 레벨 3
4.1.1. 고블린라이더 특공 다그
4.1.2. 고블린라이더 폭음 클러터
4.1.3. 고블린라이더 마하 부웅
4.1.4. 고블린라이더 냉혈 미안다
5. 엑시즈 몬스터
5.1. 랭크 3
5.1.1. 고블린라이더 빅헤드 가봉가
5.1.2. 고블린라이더 그리알레 삼걸
6. 마법 카드
6.1. 일반 마법
6.1.1. 고블린라이더 대참상
6.2. 지속 마법
6.2.1. 고블린라이더 대집회
7. 함정 카드
7.1. 일반 함정
7.1.1. 고블린라이더 대중첩
7.2. 지속 함정
7.2.1. 고블린라이더 스탬피드
8. 관련 카드
8.1. 랭크 6
8.1.1. 고블린즈 크레이지 비스트
9.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1. 개요[편집]


부스터 팩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처음 등장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엑시즈 소환 중심 카드군. 고블린의 하위 카드군이다. 카드명의 루비는 "백귀나찰"이라 쓰고, "고블린라이더"라 읽는다. 백귀나찰은 악귀나찰+백귀야행으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카드군이지만 "고블린라이더"로 지정하는 것은 마법/함정 뿐이며, 몬스터들의 경우 기존 떼쟁이 고블린처럼 "고블린" 카드군을 지정한다. 고블린 마법/함정을 서치할 수 없는 이유는 갑부 고블린을 서치하는 악용을 막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어쨌든 떼쟁이 고블린 이후 9년이 지나서야 나온 고블린을 지정하는 카드군이며 엑시즈 테마가 된 이유는 기존의 고블린드버그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마침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고블린드버그와의 연계를 컨셉으로 삼는 고블린 강하 부대가 같이 출시되었다.

전체적인 모티브는 DQN 네임이나 가봉가가 몰고 있는 괴수의 리젠트 머리로 보아 일본의 폭주족으로 보이며, 메인 덱 몬스터 4장의 컬러링[1]은 기수라는 점과 더불어 묵시록의 4기사를 연상시킨다.


2. 스토리[편집]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스네이크아이의 뒷 이야기이다. 스네이크아이를 사냥하여 아기용(스네이크아이즈 포프루스)을 얻은 흑마녀 디아벨스타가 다음 목적지에 가려는데, 디아벨스타에게 걸린 현상금을 얻기 위해 난입, 아기용을 갈취한다. 이에 분노한 디아벨스타가 고블린라이더를 털어버리려 하자, 이에 크레이지 비스트를 해방하여 대응하는 스토리.

카드 일러스트 상으로는 고블린라이더 대집회 - 고블린라이더 대참상 - (스네이크아이 추주극) - 고블린라이더 스탬피드 순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2]

->모여서 수배서를 보던 도중 수배서에 나온 디아벨스타의 접근을 확인함(고블린라이더 대집회)
->디아벨스타의 눈앞에 등장(고블린라이더 대참상)[3]
->스네이크아이 포프루스를 납치하여 디아벨스타를 유인하지만 디아벨스타의 실력에 당황(스네이크아이 추주극)
->예기치 못하게 혹은 죄보에 반응하여 고블린즈 크레이지 비스트 폭주(고블린라이더 스탬피드)

이후 포프루스가 비스트를 먹어치우고 성장, 고블린라이더 일당이 소탕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다음 스토리는 원죄의 디아벨제 쪽으로 간다.

3. 성능[편집]


「고블린」대폭주! 상대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면서 하는 전개가 강렬!!

레벨 3의 효과 몬스터들이 가지는「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해,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효과로 잇달아 전개해, 엑시즈 소환으로 연결하여 싸우자. 상대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전개할 수도 있으므로, 상대의 전력을 잇달아 깍아내며 필드에 달려오기도!

일반 마법은 자신있는 전개를 강력하게 서포트, 지속 마법은 전선 강화·레벨 조작 등 엑시즈 소환을 서포트하는 다채로운 효과를 가져, 지속 함정은 엑시즈 소환하는 효과 뿐만이 아니라, 몬스터 효과의 방해가 강력하다!!

비장의 수가 되는 엑시즈 몬스터는 2장 등장.

랭크 3은, 덱에서 동료를 패에 더하는 효과 뿐만이 아니라, 상대 몬스터를 엑시즈 소재로 해버리거나, 덱의 동료를 엑시즈 소재로 하는 효과로 엑시즈 소재를 늘려 특유의 전개에 반입한다.

또한, 랭크 6은 게걸스럽게 마법·함정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해버리는 효과가 강렬! 동료를 파괴로부터 지키는 효과와 묘지에서 되살아나는 효과도 함께 전선 유지에도 활약!!

- 공식 홈페이지 소개문


공통 효과는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를 제거'. 그리고 에이스인 빅헤드 가봉가는 '필드의 엑시즈 소재가 제거되었을 경우 유발 효과 발동'이 있어, 엑시즈 소환 테마이면서 동시에 엑시즈 몬스터를 카운터치는 안티 엑시즈 효과를 지니고 있다. 몬스터가 내성을 가지고 있어도 엑시즈 소재는 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효과 발동이 무효화되지 않는 한 소재는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2023년 환경에서 최상위 티어를 차지하고 있는 퓨어리에 매우 강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상대의 네가로기어 아제우스의 소재를 빼서 필드 클린 효과를 무력화시키는 플레이도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엑시즈 테마로써 보면 3축 엑시즈 테마로, 3축은 팬텀 나이츠, SR 베이고맥스, 미계역, 피안 등을 위시한 강력한 용병을 가진 랭크이다.[4] 고블린라이더에는 제약이 없으므로 이들을 채용하여 전개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대집회를 통해 6랭크도 운용이 가능하고, 고블린 카드군의 고블린드버그를 채용하면 4랭크나 7랭크까지 병용할 수 있으며, 스크랩 고블린을 채용하면 6 싱크로나 12 싱크로까지 가능한 등 전술의 가능성은 꽤 높다.

굳이 '고블린'으로 몬스터를 지정하거나 전부 레벨3이면서 레벨4이하 지정이나 레벨 통일 효과가 있는 등 기존 고블린 카드들과도 연계할 수 있다. 다만 레벨3은 스크랩 고블린뿐인데다 대부분의 고블린들은 성능이 좋지 않아서 실제 활용도는 애매한 편이다. 사실상 악용할 소지가 없다 보고 덤으로 준 거에 가깝다.고블린드버그로 전개해서 대집회로 4/7랭크 엑시즈를 하거나[5] 고블린 강하 부대로 견제를 하는 정도가 한계일 것으로 보인다.

발매 이후에는 아직까지는 가능성만 보고 있는 상태. 주로 대 퓨어리용 사이딩으로 채용되고 있다. 3축 테마의 한계점으로 인해 아직까지는 선턴에 강한 억제력이 나오지 않는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전개력이나 안티 엑시즈 기믹은 나쁘지 않으므로 추가 지원만 잘 받는다면 티어를 갈 여력은 충분하다고 예측되고 있다. 환경적인 면에서도 퓨어리의 금제가 더 빡빡해짐과 동시에 염왕을 위시한 화염 카르텔에 밀려 티어아웃되면서 고블린라이더로서는 상성이 가장 좋은 상대가 없어져버리고 말았다.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추가 지원을 받았으나 그 지원이 좋은 지원은 아니라는 평가가 다수이며, 티어권 입성 가능성이 더 요원해졌다.

4. 효과 몬스터[편집]



4.1. 레벨 3[편집]



4.1.1. 고블린라이더 특공 다그[편집]


파일:百鬼羅刹 特攻ダ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고블린라이더 특공 다그 ,
일어판명칭=<ruby>百鬼羅刹<rp>(</rp><rt>ゴブリンライダー</rt><rp>)</rp></ruby> <ruby>特攻<rp>(</rp><rt>とっこう</rt><rp>)</rp></ruby>ダグ,
영어판명칭=Goblin Biker Dugg Charger,
레벨=3,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6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고블린라이더"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되는 기동 효과. 내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뿐만 아니라 상대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도 제거하여 튀어나올 수 있다. 능동적인 발동을 위해선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가봉가와의 궁합이 좋다. 가봉가의 효과로 다그 서치 - 더그의 효과로 가봉가의 소재 제거 후 소환 - 가봉가의 효과로 필드 카드 제거의 콤보가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고블린라이더 마법 / 함정 서치. 대등장을 서치하여 고블린 카드들을 추가적으로 서치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가 남아 있다면 대등장의 효과로 엑시즈 소재를 제거한 뒤 서치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여 추가적인 3축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다. 역시 가봉가로 다그 서치 - 다그의 효과로 가봉가의 소재 제거 후 소환 - 다그의 효과로 대참상을 서치 - 대참상 효과로 서치하며 가봉가의 소재 제거 후 소환으로 간단하게 콤보가 된다. 대집회를 서치해서 패의 고블린라이더를 추가전개할 수도 있다.

타고있는 동물은 멧돼지



4.1.2. 고블린라이더 폭음 클러터[편집]


파일:百鬼羅刹 爆音クラッタ.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고블린라이더 폭음 클러터 ,
일어판명칭=<ruby>百鬼羅刹<rp>(</rp><rt>ゴブリンライダー</rt><rp>)</rp></ruby> <ruby>爆音<rp>(</rp><rt>ばくおん</rt><rp>)</rp></ruby>クラッタ,
영어판명칭=Goblin Biker Clatter Sploder,
레벨=3, 속성=화염,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고블린라이더 폭음 클러터" 이외의 자신 묘지의 "고블린"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상대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①의 효과는 소환시 고블린 소생. 이후 3축 엑시즈나 2링크로 이어갈 수 있다. 이 효과로 더그를 소생하여 추가 서치를 행할 수 있기에, 후속의 역할도 해 준다.

②의 효과는 상대 메인 페이즈에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묘지에서 튀어나오는 유발 즉시 효과. 가봉가의 효과를 상대 턴에 능동적으로 격발할 수 있으며, 스탬피드가 깔려 있으면 소생 효과로 순식간에 2장을 전개, 상대 턴에 엑시즈 소환을 행할 수 있다. 스탬피드 등으로 엑시즈 소재로 쓰면 이후 소재가 제거될 때 묘지로 가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다.

여담으로 생긴 건 새를 탔으니 비행야수족일 것 같은데 야수전사족이다. 정황상 탑승물이 날지 못하는 타조 등 평형류 조류가 모티브로 추정된다.



4.1.3. 고블린라이더 마하 부웅[편집]


파일:百鬼羅刹 神速ブ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고블린라이더 마하 부웅 ,
일어판명칭=<ruby>百鬼羅刹<rp>(</rp><rt>ゴブリンライダー</rt><rp>)</rp></ruby> <ruby>神速<rp>(</rp><rt>マッハ</rt><rp>)</rp></ruby>ブーン,
영어판명칭=Goblin Biker Boom Mach,
레벨=3,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1300, 수비력=0,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다음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고블린라이더 마하 부웅"을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름의 마하는 신속이라고 쓰고 마하라고 읽는다.

자신 / 상대 메인 페이즈에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는 유발 즉시 효과를 가진 몬스터.

다른 고블린라이더 메인 덱 몬스터와 비교하면 이 카드는 공통 효과밖에 없지만, 그 대신 이 카드는 더그, 클러터, 미안다의 공통 효과의 장점을 모두 합쳤다. 더그처럼 패에서 소환이 가능하고, 클러터처럼 상대 턴에 발동할 수 있고, 미안다처럼 자신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상대 엑시즈 소재를 사용하는 행위를 견제하는 패 트랩처럼 쓸 수도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이런 점 때문에 퓨어리 등 엑시즈 테마를 견제하기 위해 이 카드만 사이드 덱에 투입되기도 한다.

특이하게도 명칭 턴 제약은 없지만 부웅을 다음 턴 종료시까지 특수 소환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디메리트가 있어 사실상 턴 제약이 있는 효과다. 다른 고블린라이더들과 달리 패/묘지 어디서나 튀어나올 수 있고, 자신, 상대 턴 가리지 않고 효과 발동이 가능하다보니 이에 따른 제약으로 보인다. 하지만 어쨌든 명칭 턴 제약은 없다보니 동일 체인 상에 여러 장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고[6], 체인 처리 도중 특수 소환이 불가능해진 경우라도 해당 체인 처리시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부분까진 처리하기 때문에 한번에 여러 장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할 수 있다. 심지어 패에서 발동한 부웅의 효과에 다른 효과를 체인, 코스트로 효과를 발동한 패의 부웅을 버렸을 경우, 묘지로 보내진 부웅을 패에 있던 것과 별개의 카드로 취급해 다시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DB의 재정) 물론 여러 장을 발동한 쪽이든 1장을 패와 묘지에서 각각 발동한 쪽이든, 특수 소환은 디메리트로 인해 마지막 체인에서만 이뤄진다.

타고있는 동물은 고양이과의 맹수



4.1.4. 고블린라이더 냉혈 미안다[편집]


파일:百鬼羅刹 冷血ミアンダ.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고블린라이더 냉혈 미안다 ,
일어판명칭=<ruby>百鬼羅刹<rp>(</rp><rt>ゴブリンライダー</rt><rp>)</rp></ruby> <ruby>冷血<rp>(</rp><rt>れいけつ</rt><rp>)</rp></ruby>ミアンダ,
영어판명칭=Goblin Biker Mean Merciless,
레벨=3, 속성=물, 종족=악마족, 공격력=14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고블린라이더 냉혈 미안다" 이외의 "고블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①의 효과는 소환시 패에서 다른 고블린 몬스터 특소. 고블린라이더 덱에선 고블린드버그와 비슷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사용법도 고블린드버그처럼 간단히 엑시즈 소환 / 링크 소환으로 잇는 역할이 된다. 고블린드버그처럼 이 효과로 고블린 강하 부대를 소환하면 무효화 효과의 트리거로도 적용된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 존재할 경우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을 소환하는 효과. 클러터의 효과를 자신 메인 페이즈로 바꾼 효과이다. 디메리트는 엑시즈 소환으로 쉽게 회피 가능.

추가적으로 악마족이라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와의 시너지도 있다. 데스가이드의 효과로 이 카드를 소환하고, 그 효과로 가봉가를 소환 후 더그를 서치, 더그의 효과로 가봉가의 소재인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어 소환하면, 이 카드의 효과로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어 추가 3축 전개로 이을 수 있다.

고블린라이더 일당의 홍일점으로, 보다시피 가면으로 얼굴을 가리고 다니지만 대집회에서 맨얼굴을 크게 확인할 수 있다. 그야말로 요염한 수인 여성의 외모. 덕분에 수상한 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타고있는 동물은 코브라

수록 시리즈
2023-10-28 |
파일:일본 국기.svg

PHNI-JP011 | ファントム・ナイトメア [ PHANTOM NIGHTMARE \]
2024-01-13 | PHNI-KR011 | 팬텀 나이트메어


5. 엑시즈 몬스터[편집]



5.1. 랭크 3[편집]



5.1.1. 고블린라이더 빅헤드 가봉가[편집]


파일:百鬼羅刹 巨魁ガボンガ.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고블린라이더 빅헤드 가봉가,
일어판명칭=<ruby>百鬼羅刹<rp>(</rp><rt>ゴブリンライダー</rt><rp>)</rp></ruby> <ruby>巨魁<rp>(</rp><rt>ビッグヘッド</rt><rp>)</rp></ruby>ガボンガ,
영어판명칭=Goblin Biker Big Gabonga,
레벨=3, 속성=빛, 종족=야수전사족, 공격력=2100, 수비력=0,
소재=레벨 3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고블린"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필드의 엑시즈 소재가 제거되었을 경우\, 필드의 다른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3=③: 자신 / 상대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고블린" 몬스터 1장을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고블린라이더의 중간다리이면서 결과물 기능도 하는 핵심 엑시즈 몬스터.

①의 효과는 소환 시 서치 효과. 굳이 고블린라이더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고블린 몬스터들을 서치할 수 있지만 엑시즈 소재를 제거시켜줘 ②의 효과로 이어줄 수 있는 고블린라이더를 서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여기에 해당되는 몬스터는 더그, 부웅이 있다.

②의 효과는 엑시즈 소재가 제거되었을 경우 필드의 다른 몬스터 1장을 엑시즈 소재로 하는 효과. 트리거는 고블린라이더의 효과들로 충족이 가능하며,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는 클러터, 부웅, 스탬피드를 이용하면 파괴력을 늘릴 수 있다. 필드의 다른 엑시즈 몬스터들의 소재가 제거되어도 격발이 가능하므로 상대가 엑시즈 몬스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견제를 겸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엔드 페이즈마다 고블린 몬스터를 엑시즈 소재로 하는 효과. 묘지에서 자체적인 소생이 가능한 고블린라이더들을 소재로 하는 것이 좋다.

부웅을 자체적으로 서치할 수 있고 그 부웅의 효과로 상대 턴에 능동적으로 엑시즈 소재화라는 강력한 제거기를 격발할 수 있으므로, 이 카드와 부웅만을 채용하여 범용 3축 몬스터로도 굴릴 수 있을 것이다.

수록 시리즈
2023-10-28 | PHNI-JP047 | ファントム・ナイトメア [ PHANTOM NIGHTMARE \]
2024-01-13 | PHNI-KR047 | 팬텀 나이트메어


5.1.2. 고블린라이더 그리알레 삼걸[편집]


파일:百鬼羅刹 グリアーレ三傑.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고블린라이더 그리알레 삼걸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ruby>百鬼羅刹<rp>(</rp><rt>ゴブリンライダー</rt><rp>)</rp></ruby> グリアーレ<ruby>三傑<rp>(</rp><rt>さんけつ</rt><rp>)</rp></ruby>,
영어판 명칭=Goblin Biker Grialle Trio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3,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1700, 수비력=0,
소재=레벨 3 몬스터 × 2장 이상,
효과1=①: 필드의 엑시즈 소재가 3장 이상일 경우\, 자신의 "고블린" 몬스터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그 중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대상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효과3=③: 1턴에 1번\,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지원받은 고블린라이더의 두번째 엑시즈 몬스터

1번 효과는 필드의 엑시즈 소재가 3장 이상이면 자신의 '고블린' 몬스터는 직접 공격이 가능해지는 지속 효과. 고블린라이더 몬스터는 상대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만드는게 가능해 조건 만족하기 쉽다.

2번 효과는 몬스터 존에 존재한 상태에서 몬스터가 일반, 특수 소환하면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소환된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효과. 빅헤드와 연계하면 소재 개수를 유지하면서 상대 몬스터까지 잡아먹을 수 있다.

3번 효과는 상대 몬스터가 공격하면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는 것으로 그 공격을 무효로 하는 효과. 이 효과도 빅헤드와의 연계로 공격한 상대 몬스터를 엑시즈 소재로 만들 수 있다.



6. 마법 카드[편집]



6.1. 일반 마법[편집]



6.1.1. 고블린라이더 대참상[편집]


파일:百鬼羅刹大参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고블린라이더 대참상,
일어판명칭=<ruby>百鬼羅刹<rp>(</rp><rt>ゴブリンライダー</rt><rp>)</rp></ruby><ruby>大参上<rp>(</rp><rt>だいさんじょう</rt><rp>)</rp></ruby>,
영어판명칭=Goblin Biker Grand Entran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고블린"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그 후\, 이하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효과2=●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고블린"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한다. 그 후\, 자신 묘지에서 "고블린"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①의 효과는 덱에서 고블린 몬스터를 서치하는 효과. 레벨 제약이 없으므로 고블린라이더 외에도 레벨 4인 고블린드버그나 고블린 부대, 그 외의 다른 레벨의 고블린들도 서치 가능하다. 추가로 필드의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고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고블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어 가져온 카드를 바로 전개할 수 있으며 상대가 엑시즈를 쓴다면 상대 몬스터의 소재를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하고 필드의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 후 묘지의 고블린 몬스터를 샐비지 하는 효과. 마찬가지로 상대 몬스터의 소재를 빼버리는 데에 쓸 수도 있다. 위의 효과와 같은 턴에 발동할 수 있어 필드의 엑시즈 소재가 충분히 남아있다면 서치한 턴에 샐비지도 할 수 있다.

떼쟁이 고블린 이후 무려 9년하고도 2개월이 넘어서 등장한 고블린 서치 카드이며 최초로 고블린을 샐비지하는 효과를 가진 카드이다. 그 떼쟁이 고블린조차도 확정이 아닌 조건부 서치한 걸 생각해보면 사실 상 제대로 된 서치 카드는 이 카드가 처음인 셈.

이름의 참상은 일본어로 도착, 방문, 등장 등을 뜻하는 단어이다. 라이벌 등장!으로 인해 대참상으로 직역한듯.

일러스트는 고블린라이더 일당이 디아벨스타와 포프루스 앞에 등장한 모습. 똥이라도 밟은 듯한 디아벨스타의 표정이 압권이다.

수록 시리즈
2023-10-28 | PHNI-JP061 | ファントム・ナイトメア [ PHANTOM NIGHTMARE \]
2024-01-13 | PHNI-KR061 | 팬텀 나이트메어


6.2. 지속 마법[편집]



6.2.1. 고블린라이더 대집회[편집]


파일:百鬼羅刹大集会.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고블린라이더 대집회,
일어판명칭=<ruby>百鬼羅刹<rp>(</rp><rt>ゴブリンライダー</rt><rp>)</rp></ruby><ruby>大集会<rp>(</rp><rt>だいしゅうかい</rt><rp>)</rp></ruby>,
영어판명칭=Goblin Biker Grand Bash,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고블린"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의 "고블린" 몬스터의 수 × 3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은 통상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고블린" 몬스터 1장을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고블린"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효과4=●그 중 1장의 레벨을\, 나머지 1장의 레벨과 같게 한다.,
효과5=●그 2장의 레벨은\, 각각의 원래의 레벨을 합계한 레벨이 된다.)]

①의 효과는 공격력 증가. 배율이 꽤나 높은 편이라, 2마리만 세워도 600이라는 적지 않은 수치가 올라간다. 3축 덱이라 전투력이 4레벨에 의해 떨어지는 고블린라이더의 전투력을 보완하는 효과. 다른 고블린에게도 적용되기에 본래 공격력이 높은 고블린 부대라면 더더욱 강해진다.

②의 효과는 소환권 추가. 소환권 추가는 곧 공격권의 추가와도 같기에, 고블린라이더의 저점을 크게 올릴 수 있다.

③의 효과는 고블린들의 레벨을 조정하는 효과. 레벨이 가지각색인 고블린들의 레벨을 조정하여 엑시즈 소환이 쉽게 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조정이 가능하다.
  • 1장의 레벨을 다른 1장의 레벨과 같게 한다. 고블린드버그의 레벨을 조정하여 빠르게 랭크 3~4의 엑시즈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 2장의 레벨을 서로의 레벨을 합한 것으로 한다. 고블린라이더 2장을 선택하면 그들의 레벨이 6이 되기에 크레이지 비스트 등의 6축 엑시즈 소환으로 이을 수 있다.

일러스트는 디아벨스타의 현상수배지를 보고 입맛을 다시다 디아벨스타가 왔음을 확인하게 된 맨얼굴의 고블린라이더 일당. 이때 디아벨스타를 묘사한 얼굴모양새가 지나치게 똘망똘망한게 개그 포인트.왼쪽부터 가봉가, 미안다, 더그, 클러터이다.

수록 시리즈
2023-10-28 | PHNI-JP060 | ファントム・ナイトメア [ PHANTOM NIGHTMARE \]
2024-01-13 | PHNI-KR060 | 팬텀 나이트메어


7. 함정 카드[편집]



7.1. 일반 함정[편집]



7.1.1. 고블린라이더 대중첩[편집]


파일:百鬼羅刹大重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고블린라이더 대중첩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百鬼羅刹<rp>(</rp><rt>ゴブリンライダー</rt><rp>)</rp></ruby><ruby>大重畳<rp>(</rp><rt>だいちょうじょう</rt><rp>)</rp></ruby>,
영어판명칭=Goblin Biker Pile-Up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고블린"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의 자신의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으로 취급하여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그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고블린" 엑시즈 몬스터 1장과 자신이나 상대 묘지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대상의 묘지의 카드를 대상의 필드의 몬스터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스네이크아이즈 디아벨스타가 고블린라이더 패거리를 누르는 코믹한 일러스트가 특징이다.

효과 역시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위에 고블린 엑시즈 몬스터를 겹치는 즉 누르는 효과이다.


7.2. 지속 함정[편집]



7.2.1. 고블린라이더 스탬피드[편집]


파일:百鬼羅刹大暴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고블린라이더 스탬피드,
일어판명칭=<ruby>百鬼羅刹大暴走<rp>(</rp><rt>ゴブリンライダー・スタンピード</rt><rp>)</rp></ruby>,
영어판명칭=Goblin Biker Grand Stamped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고블린" 몬스터만을 소재로서 엑시즈 소환을 실행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고블린"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필드의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대상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①의 효과는 고블린 한정 원더 엑시즈와 거의 같은 효과. 배틀 페이즈 중에 발동할 수는 없지만, 메인 페이즈라면 소재만 고블린이면 어느 몬스터든 소환할 수 있다. 이런 카드가 그렇듯 지속 효과로 상대방에게 락을 거는 카드를 꺼내거나, 소환시 유발 효과로 견제를 행할 수 있는 카드를 꺼내거나 하는 것이 주 활용법이다.

②의 효과는 고블린 엑시즈 몬스터가 존재하면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고 상대 몬스터 효과 무효화. 현재 고블린 엑시즈 몬스터는 가봉가와 크레이지 비스트가 있으며, 이중 가봉가는 엑시즈 소재가 제거되면 상대 몬스터를 추가적으로 견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유용하다. 제거하는 엑시즈 소재는 굳이 고블린 엑시즈일 필요가 없기에 다른 용병 엑시즈 혹은 상대의 엑시즈 소재를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어 엑시즈 소환을 실행한 턴에는 효과 무효화를 쓸 수 없음을 유의.

일러스트는 해방된 크레이지 비스트와 이에 맞서는 디아벨스타. 고블린라이더들은 해방된 크레이지 비스트에 깜짝 놀라 도망치고 있다.

수록 시리즈
2023-10-28 | PHNI-JP075 | ファントム・ナイトメア [ PHANTOM NIGHTMARE \]
2024-01-13 | PHNI-KR075 | 팬텀 나이트메어


8. 관련 카드[편집]



8.1. 랭크 6[편집]



8.1.1. 고블린즈 크레이지 비스트[편집]


파일:百鬼羅刹の大饕獣.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고블린즈 크레이지 비스트 ,
일어판명칭=<ruby>百鬼羅刹の大饕獣<rp>(</rp><rt>ゴブリンズ・クレイジー・ビースト</rt><rp>)</rp></ruby>,
영어판명칭=Goblin's Crazy Beast,
레벨=6,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700, 수비력=0,
소재=레벨 6 몬스터 ×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듀얼 중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1번\,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고\, 대상의 카드를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효과로 파괴될 경우\, 대신의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할 수 있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자신 묘지의 "고블린" 몬스터 1장을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할 수 있다.)]

고블린라이더를 서포트하는 6랭크 엑시즈 몬스터. 카드명의 루비는 "백귀나찰의 대우수"라 쓰고 "고블린즈 크레이지 비스트"라 읽게 된다. 이 카드 역시 고블린 카드군은 맞으나 본 문서는 "고블린라이더" 카드군을 다루고 있기에 해당 소속이 아니지만 고블린라이더 카드 일러스트에 등장하고 있는 이 카드는 서포트 카드로 분류해서 서술한다.

①의 효과는 필드의 엑시즈 소재 2개를 제거하고, 필드에 있는 마법, 함정 카드 1장을 이 카드의 액시즈 소재로 하는 효과. 상대 엑시즈 소재도 사용 가능해 상대 엑시즈 몬스터 + 상대 마함 봉쇄가 동시에 가능하면서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불릴 수 있어 ①②의 효과의 코스트 보충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효과로 인한 파괴를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 1개 제거로 대신하는 효과. ①의 효과로 뺏어온 소재를 써서 자신 몬스터를 지킬 수 있고, 고블린뿐만 아니라 고성능 범용 몬스터를 지키기에도 좋다.

③의 효과는 묘지에 있는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묘지에 있는 "고블린" 몬스터 1장을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하는 효과. 무한 소생을 경계하여 듀얼 중 1번 제약이 붙었다.

레벨 통일 효과를 감안해도 고블린라이더와는 꽤 이질적인 카드였는데 이후 죄보합전에서 포프루스에게 흡수된 것으로 보아[7] 이 녀석도 스네이크아이즈 플랑베르쥬 드래곤처럼 죄보의 영향으로 태어난 존재였던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3-10-28 | PHNI-JP048 | ファントム・ナイトメア [ PHANTOM NIGHTMARE \]
2024-01-13 | PHNI-KR048 | 팬텀 나이트메어


9.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편집]


레벨 3 전개축 덱이 등장하면 언제나 다시 올라오는 단골손님들. 특히 엑시즈 소재를 꼭 한두 개씩 남겨먹는 성향이 큰 팬텀 나이츠와의 궁합이 나쁘지 않다.[9]
증원은 전사족인 더그 또는 부웅을, 천기는 클러터를 서치할 수 있다.
주요 초동인 리온 / 캐리가 레벨 3이기도 하고, 리온은 튜너이기 때문에 전개 결과물에 싱크로를 추가할 수 있어 고점을 풍부하게 해준다. 메인 덱 고블린라이더는 전원 레벨 3이라 채리엇 캐리호를 엑시즈 소환해 초동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레벨 3이라는 점을 살려 상대 턴에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를 싱크로 소환해서 상대를 견제하는 선택지도 생긴다.
  • 랭크 3 / 6 엑시즈 몬스터
고블린라이더 몬스터 전원이 레벨 3이고, 대집회의 효과를 쓰면 6으로 만들수도 있기에 주력으로 쓸 수 있는 엑시즈 몬스터는 사실상 랭크 3 / 6이다.
몬스터 대상 무효화 효과를 지닌 몬스터.
팬텀 나이츠와 조합할 시 추천할 수 있는 몬스터. 개체수 폭증이 가능하다.
상대 묘지 견제가 가능하다.
범용 퍼미션 몬스터.
디그를 제외한 고블린라이더 메인 덱 몬스터 전원 / 대참상 / 대중첩이 묘지에서 자체적으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거나 묘지 발동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동 및 상대 견제를 더욱 원활하게 해준다.

1000이라는 라이프를 지불를 하는 것으로 일반 소환을 세번을 가능하게한다.고블린라이더 대집회으로 한번더 소환을 한다하더라도 기껏해봐야 한번뿐이고 오버레이를 코스트로 소비해야하는 코스트도 절약도 된다.

[1] 미안다의 흰색, 더그의 붉은색, 부웅의 검은색, 클러터의 회색.[2] 카드 번호도 대집회(60) - 대등장(61) - 추주극(62) - 스탬피드(75) 순으로 맞는다.[3] 대집회에서는 가면을 벗은 상태이지만, 대참상에서는 가면을 쓴 채로 등장한다. 추주극에서도 가면은 쓴 상태이고 등장해서 포프루스를 납치해 시비를 거는 연결도 맞는다.[4] 특히 팬텀 나이츠는 전개 과정에서 팬텀 나이츠 브레이크스워드허공해룡 리바이엘등의 고성능 3축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를 1개만 사용하고 버리는 플레이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 덕에 소재를 째고 특소하는 고블린라이더의 효과를 사용할 타이밍도 자주 발생하고 소재를 째는 행동이 디메리트로 작용하지 않는 등 상성이 굉장히 좋은 편이다.[5] 이 때문에 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를 소환하면 무한동력이 아니냐는 드립도 있다. 어라이즈하트가 있을 경우 제거된 엑시즈 소재가 제외되면서 어라이즈하트의 소재가 되기 때문. 물론 이론상 가능하다는 거지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일이고, 무엇보다 어라이즈하트가 아깝다.[6] 물론 동일 체인 상에서 동일 카드로 중복 발동할 수는 없다. 이런 부류의 효과에선 페어리테일-백설이 예외인 케이스.[7] 죄보합전은 서로의 묘지의 죄보의 수만큼 각자의 필드를 파괴하는 효과이다. 즉 죄보 관련 카드에게 영향을 주도록 되어 있지만 고블린라이더에는 죄보 카드가 없다.[8] 미안다가 악마족이라 특소할 수 있다.[9] 허공해룡 리바이엘 2장을 뽑아서 효과는 1번씩만 사용하고 FNo.0 미래용황 호프로 바꿔먹거나 팬텀 나이츠 브레이크스워드도 한 번 효과로 자괴하고 4레벨 2체로 바꾸는 등 정석 플레이에서 꼭 잉여 엑시즈 소재가 1~2장씩 남는다. 그렇다는 건 고블린 라이더 채용시 소환권 1~2장이 덤으로 남는다는 뜻이나 다름없으므로 개체수를 폭증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