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상

덤프버전 : r (♥ 0)


파일:nar_clear1.png 지방경마의 중상경주 목록
[ Jpn2 펼치기 · 접기 ]
엠프리스배 | 다이올라이트 기념 | 효고 챔피언십 | 사키타마배 | 간토 오크스 | 니혼테레비배 | 도쿄배 | 레이디스 프렐류드 | 우라와 기념 | 효고 주니어 그랑프리 | 나고야 그랑프리
[ Jpn3 펼치기 · 접기 ]
TCK 여왕배 | 사가 기념 | 나고야 대상전 | 쿠로후네상 | 마린 컵 | 도쿄 스프린트 | 카키츠바타 기념 | 홋카이도 스프린트 컵 | 스파킹 레이디 컵 | 머큐리 컵 | 클러스터 컵 | 브리더스 골드 컵 | 서머 챔피언 | 하쿠산 대상전 | 테레타마배 오벌 스프린트 | 에델바이스상 | JBC 2세 우준 | 퀸상 | 효고 골드 트로피

帝王賞
제왕상
파일:Meisho_Hario.jpg
2023년 우승마 메이쇼 하리오
개최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주최특별구 경마조합
개최지오이 경마장
경주 정보
거리더트 2000m 우회전
등급Jpn1, 국제 L(리스티드)
상금1착 8000만엔
출주조건서러브레드계 4세 이상
부담중량정량
레이스 레코드
스마트 팔콘(2011년)
2:01.1

1. 개요
2. 상세
3. 역사
4. 역대 우승마
4.1. 기록
5. 기타



1. 개요[편집]


오이 경마장에서 치러지는 상반기 더트 경마 최강자 결정전.

2. 상세[편집]


오이 경마장의 2000m 코스는 제왕상 외에도 도쿄대상전, 재팬 더트 더비 등이 열리는 대표 코스이다. 외측 코스가 사용되며 4코너에서 시작해 첫코너까지 약 500m이고 결승선까지의 직선도 지방경마 중 가장 긴 386m이기 때문에 게이트 위치에 따른 유불리가 적어 각 말들이 힘을 발휘하기 좋다.

3. 역사[편집]


1978년에 오이 경마장의 2800m 경주로 창설되었으며, 1986년에 중앙경마와의 교류 경주로 지정됨과 동시에 거리도 2000m로 단축되었다. 또, 1995년에 도쿄배 및 도쿄대상전과 함께 전국 지방경마 소속마의 참가가 허용되었다. 1997년에 더트 그레이드 도입과 동시에 Jpn1 등급으로 지정되었다.

4. 역대 우승마[편집]



파일:nar_clear1.png '''[[제왕상|{{{#fff 제왕상

()
우승마]]''' 파일:도쿄도 도기.svg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 펼치기 · 접기 ]
>>
1978
로즈 잭
1979
하츠 마모루
1980
카츠 알
1981
아즈마 킹 >

1982
코난 루비

1983
트러스트 호크

1984
스즈유

1985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로키 타이거
중앙경마 초대 경주 지정 후
1986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톰 카운트
1987
테츠노 카치도키 >

1988
챔피언 스타

1989
파일:기후현 문장.svg 페이트 노던
199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사이치 브레이비스트
1991
챔피언 스타 >

199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나리타 하야부사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러시안 골드

1993
하시루 쇼군

199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태빌라이저
중앙경마·지방경마 전국 교류 경주 지정 후
199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호쿠토 베가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현 JpnI) 지정 후
1997
콘서트 보이
1998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아부쿠마 포로 >

1999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메이세이 오페라
200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패스트 프렌드
2001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마키바 스나이퍼

200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카네츠 플뢰브

2003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네임 밸류

200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어드마이어 돈

200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타임 패러독스

2006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어주디 미츠오

200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보너빌 레코드

2008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푸리오소

200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버밀리언
2010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푸리오소
201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마트 팔콘 >

201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트 블리츠

201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홋코 타루마에

201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원더 어큐트

201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홋코 타루마에

201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코파노 리키

201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케이티 브레이브

201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드 드림

201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메가 퍼퓸
202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크리소베릴
202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티오 케인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2f8e; font-size: .7em;"
2022 · 202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메이쇼 하리오



4.1. 기록[편집]



5. 기타[편집]


  • 하반기의 더트 최강자 결정전인 도쿄대상전이 국제 G1 등급을 받은 것처럼 제왕상도 국제 G1 승격을 노리는 레이스이며 상당히 근접해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국제 G1 지정을 받기 위한 조건은 직전 3년간 레이팅이 115 이상임과 동시에 직전년도 레이팅을 115이상 기록하는 것으로, 2022년 레이스 종료 후 잠정 레이팅이 116으로 평가됨에 따라 기준은 충족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제등급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로 승격될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 2023년 레이스도 1착 메이쇼 하리오가 레이팅 117, 2착 크라운 프라이드와 3착 티오 케인스가 레이팅 116을 책정받으면서 신청한다면 국제 G1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0:54:24에 나무위키 제왕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