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판)

편집일시 :

}}}글자 자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6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あざ, あざな
-
표준 중국어 독음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字의 필순

1. 개요
2. 상세정보
3. 용례
3.1. 인명
3.2. 지명
3.3. 고사성어



1. 개요[편집]


字. 글자 자.

글자, 문자를 의미하는 한자.

헷갈리기 쉬운데, 부수가 '宀'이다.


2. 상세정보[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글자
: 자
일본어음독: ジ
훈독: あざ·あざな
중국어표준중국어: zì
광동어: zi6
객가어: sṳ
민둥어: cê
민난어: chīr / chū / jū / lī / jī
우어: zr (T3)
베트남어chữ, tự, tợ

유니코드에는 U+5B57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ㄗˋ로 입력하며,창힐수입법으로는 十弓木(JND)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7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字는 에서 자식를 키우는 것을 뜻한다. 는 형부이면서 동시에 성부도 된다. 고대에 인구, 곧 노동력은 부족의 강약을 결정하는 요소로 아이를 유괴하거나 약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갓태어난 아기기호를 새겼는데 이것을 字라고 하였고 후대에는 성년이 되었을 때 주는 이름으로 인신(引伸)되었다. 또 아이를 잘 양육하여 자손이 불어난다는 을 가지기도 하는데 이로부터 상형자, 지사자와 같이 처음 만들어진 문자를 이라 하고, 을 결합(뜻과 뜻을 합하면 회의자, 뜻과 소리를 합하면 형성자)하여 불어난 문자를 字라고 하였다.


3. 용례[편집]




3.1. 인명[편집]




3.2. 지명[편집]


  • 만지사이와이 정 (万字幸 町)


3.3. 고사성어[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