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철도

덤프버전 :

幹線鐵道 / Main-line Railway

1. 개요
2. 상세
3. 대한민국의 간선철도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철도노선 중 수송량이 많은 주요선로로, 철도망 중에서 뼈대가 되는 중요한 선로이다.

2. 상세[편집]


철도수송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지방의 중심지와 중심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3. 대한민국의 간선철도[편집]


대한민국의 철도 분류
[ 펼치기 · 접기 ]
국가 소유
(철도사업법)
목적사업용철도전용철도
지역·거리간선철도지선철도
속도고속철도
(300km/h 이상)
준고속철도
(200km/h ~ 300km/h)
일반철도
(200km/h 미만)
지자체 소유
(도시철도법)
도시철도
사업비 분담 특례
(대광법)
광역철도
(국가철도 또는 도시철도 중에서 지정)
기타분류광역급행철도 · 광역전철 · 복선전철 · 단선전철



철도사업법 시행령에 따르면 간선철도는 특별시 · 광역시 · 특별자치시 또는 도 간의 교통수요를 처리하기 위하여 운영 중인 10km 이상의 사업용철도노선으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노선을 말한다. 철도 노선 및 역의 명칭 관리지침에는 간선을 사업용철도노선을 운행거리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지역 간의 여객과 화물 교통수요를 주로 수송하는 10km 이상의 사업용철도노선 중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노선이라고 정의한다. 대한민국의 5대 간선으로는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중앙선이 있으며 수도권에 모든 것이 집중되어 있는 대한민국의 특성상 경전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서울과 연결되어 있다[1] 는 특징이 있다.

그 밖에 간선 철도로 장거리 노선이거나 여객/화물처리 비중이 높은 경강선, 태백선, 장항선, 경북선, 충북선, 경춘선, 동해선[2] 등이 있다. 한국의 모든 간선철도는 정부가 소유하고 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이 운영, 관리하는 국유철도이자 국영철도다.

4. 관련 문서[편집]



[1] 호남선, 전라선은 기점이 각기 대전조차장, 익산에 있지만 호남선은 경부선에서, 전라선은 호남선에서 분기되는 노선이기에 해당.[2] 2021년 기준으로는 짧은 노선이지만, 계획상 구간이 모두 연결되면 남한 구간만 보더라도 경부선이나 중앙선을 능가하는 최장 간선이 될 예정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9:09:49에 나무위키 간선철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