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청역

덤프버전 :

강동구청역
파일:Seoulmetro8_icon.svg
암사 방면
천 호
← 0.9 ㎞
8호선
(812)
모란 방면
몽촌토성
1.6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Gangdong-gu Office
한자江東區廳
간체자江东区厅
가나江東区庁(カンドングチョン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 지하550 (성내동 319)
역 운영기관
8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개업일
8호선1999년 7월 2일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사건사고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8호선 812번.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 지하550 (성내동 319)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강동구청역 안내도.jpg
안내도

파일:강동구청역 8호선.jpg
대합실

역 이름은 인근에 위치한 강동구청에서 따왔다. 역명 결정 당시(1991년) 일부 주민들이 풍납동순우리말 지명 '바람드리'로 역명을 개정하고자 했으나, 기각되었다.

성내동으로 가려면 이 역으로 가야 한다. 예전에 이름이 성내역이었던 잠실나루역은 신천동(잠실4동+잠실6동)에 있음에도 이름이 이름인지라 승객들이 낚이는 바람에 강동구청역에서 내려야 될 것을 성내역에서 내리는 일들이 벌어졌고, 잠실나루역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차츰 구 성내역으로 잘못가는 일은 없어졌다.

참고로 이 이야기는 성내1동에 한정된 이야기이며, 성내2동으로 가려면 천호역이나 강동역에서 내리고 성내3동은 둔촌동역에서 내려야 한다. 실제로 네 개의 역 중에서 이 역만 성내동에 있다. 나머지 세 개의 역[1]은 걸쳐있긴 하나 역무실이 각각 천호동, 둔촌동에 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역명에 걸맞게 옆에 강동구청이 있으며, 강동구청 옆에 서울강동경찰서, 강동소방서, 강동보건소 등 구 이름으로 되어있는 온갖 관공서가 다 붙어있다. 강동구 행정에 관련되어 있는 관공서임에도 강동구의 중심이 아니라 오히려 길 하나만 건너면 바로 송파구인 최외곽 지역에 위치해 있는데, 그렇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강동구 문서의 관공서 항목 참조.

그 외에도 농협 서울본부(구 축협중앙회 본점), 학교로 영파여자중학교, 영파여자고등학교, 서울성내초등학교 등이 있다. 메가박스 강동점이 강동구보건소 건너편에 있다,

여기서 내려서 좀 더 들어가면 풍납토성 탐방로와 풍납백제문화공원이 있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파일:Seoulmetro8_icon.svg비고
[ 2000년~2009년 ]
2000년19,931명비고
2001년22,979명
2002년22,434명
2003년23,798명
2004년23,627명
2005년22,592명
2006년21,854명
2007년21,306명
2008년20,665명
2009년20,277명
2010년20,657명
2011년21,248명
2012년21,563명
2013년21,826명
2014년21,823명
2015년21,586명
2016년20,943명
2017년21,403명
2018년21,790명
2019년21,274명
2020년16,880명
2021년17,232명
2022년18,402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1] 강동역, 둔촌동역, 천호역

하루 평균 21,000명 정도의 사람들이 찾는 역으로, 8호선에서 중상위권의 수요를 가지고 있다. (17역 중에 8위) 주변에 강동구청, 서울강동경찰서, 강동소방서를 제외하면 이렇다 할 사무실이나 맛집 같은 볼 거리가 없고, 과거 백제의 왕궁이었던 몽촌토성, 풍납토성을 제외하면 모두 주택가로만 이루어져 있기에[2], 이 역을 찾는 사람들은 강동구청으로 출퇴근 하는 강동구청 직원들이나 구청 및 경찰서에 볼일이 있는 사람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지역 주민들이다.

모란행 방면 열차는 평일 오전 7시~9시 30분까지 가축수송 사태가 벌어질 만큼 사람이 붐빈다. 첫 역인 암사역에서부터 버스까지 타고 와서 8호선 전철을 타러 몰려든 인파로 넘치고, 다음 역인 천호역에서 5호선에서 내린 수많은 사람들이 지하철 내부를 꽉 채운다. 그렇기에 강동구청~몽촌토성역에서 지하철을 타려 할 경우 꽉 들어찬 사람들 때문에 들어가지도 못 하고 그냥 열차를 보낸 경험을 하게되는 경우도 심심찮다. 그래도 역 이름답게 구청 직원들로 추정되는 승객들이 이 역에서 제법 내리지만 상황은 크게 변하지는 않는다. 그나마 잠실역에서 2호선 환승을 하기위해 내리는 사람들이 많아지기에 사정이 낫지만 적어도 강동구청역, 몽촌토성역 두 구간은 오전에 모란행 열차를 타기가 무척 힘들다. 팁이라면 그나마 제일 뒷칸이 사람들이 적게 타기 때문에[3] 중간이나 맨 앞에서 열차를 기다리기보다는 맨 뒷칸에서 기다리는 편이 유리하다. 더욱이 2024년 쯤에는 구리시까지 8호선이 연장되다 보니 이러한 혼잡은 더욱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


5. 승강장[편집]


파일:강동구청역1.jpg
8호선 승강장

강동구청역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천호
몽촌토성



6. 사건사고[편집]


  • 2021년 10월 13일, 1번 출구 환풍구와 화단 인근에서 신원미상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4:32:45에 나무위키 강동구청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2] 그나마 풍납토성조차 발굴 이전에 개발되는 바람에 성안이 온통 주택가이다.[3] 왜냐하면 2호선 잠실역부터 9호선 석촌역, 3호선 가락시장역까지 모두 환승위치가 앞쪽이기 때문이다. 복정역 쪽은 상하로 포개진 개념환승이기에 그나마 편하다. 물론 그나마 적게 타는것일 뿐이지 만원 전철이란 점은 변함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