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남양주시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남양주시 갑

[ 펼치기 · 접기 ]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fff '''본'''}}}}}} 본청 관할 시군 {{{#fff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fff '''북'''}}}}}} 북부청사 관할 시군
[[고양시/정치|파일:고양시 CI.svg

]]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fff
]] 수원시
[[용인시/정치|파일:용인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용인시]]

[[과천시/정치|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정치|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정치|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정치|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정치|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정치|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정치|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정치|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정치|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정치|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정치|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정치|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정치|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정치|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정치|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정치|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정치|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정치|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
]] 의정부시
[[이천시/정치|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정치|파일:파주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파주시]]
[[평택시/정치|파일:평택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평택시]]
[[포천시/정치|파일:포천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aa4b5; font-size: .8em"
포천시]]
[[하남시/정치|파일:하남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하남시]]
[[화성시/정치|파일:화성시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화성시]]

[[가평군/정치|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정치|파일:양평군 CI.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양평군]]
[[연천군/정치|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1. 기본 정보[편집]



1.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남양주시 CI.svg 경기도 남양주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국회의원도의원지역
남양주시 갑남양주시1화도읍, 수동면
남양주시2호평동, 평내동
남양주시 을남양주시3진접읍
남양주시4오남읍
남양주시5별내면, 별내동
남양주시 병남양주시6다산1동, 다산2동, 양정동
남양주시7와부읍, 조안면, 금곡동, 진건읍, 퇴계원읍


1.2.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양주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지역 특성[편집]


경기도 동북부 지역에 속한 남양주시는 90년대만 해도 인근 구리시하남시처럼 보수 정당 지지 성향이 강했다. 따라서 소선거구제가 실시된 13대부터 16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새누리당 계열 후보(이성호, 조정무)가 당선된 전력이 있다. 이성호의 경우는 13대부터 15대까지 지역구 3선을 했고 조정무는 16대 국회의원을 했다.



2004년 17대 총선 들어 인구수 증가로 갑을로 분구된 후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의 여파로 인해 갑구에서 열린우리당 최재성 후보가, 을구에서 열린우리당 박기춘 후보가 당선되면서부턴 쭉 민주당계 국회의원이 19대까지 당선되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171,230표(51.2%)를 얻은 박근혜 후보가 161,920표를 얻은 문재인 후보를 이겼다.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최재성, 박기춘 두 후보가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무주공산이 되었음에도 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를 2석 그대로 이어받았다. 다만 별내신도시와 진접지구의 개발로 인구가 늘어나면서 선거구가 3석으로 분구되었고, 새누리당이 신설 선거구인 남양주 병에서 1석을 가져갔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개발이 거의 안 된 수동면, 조안면 및 양정동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큰 격차로 승리했다. 2020년 21대 총선에서는 3개 지역구를 모두 민주당이 싹쓸이를 하면서, 점점 좌경화 되는 중이다. 2022년 20대 대선에서는 남양주시 한정으로 이재명 후보가 7%p차이로 꽤 크게 이겼으나 전체 선거 결과는 윤석열 후보가 초박빙 승부로 이겼다.

21세기 들어서 경기도 내 대표적인 캐스팅보트 지역 중 하나였지만, 지속적인 인구 유입으로 좌경화가 되었고 2022년 대선에서는 처음으로 당선자와 남양주시에서 이긴 후보가 다른것으로 나타났다.[1] 구역별로 살펴보면 새누리당계 정당 선호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은 수동면, 조안면, 양정동과 같은 농촌 지역이며, 민주당계 정당 선호 경향은 아파트 단지들이 많은 호평동, 평내동 등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와부읍이나 금곡동 등 토박이나 부유층이 상대적으로 많은 동남부 지역의 경우 보수 정당 선호도가 좀 더 높다.

지방선거에서는 의외로 보수정당 강세가 생각보다 뚜렷했던 편으로, 시장은 민선 출범 이래 보수 정당이 우세했다. 1998년 2회, 2018년 7회를 제외하면 줄곧 보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선 1기 김영희 전 시장은 1995년 1회 지방선거 당시 무소속으로 당선되었고, 1998년 이성호 국회의원의 보좌관 출신 도의원 박기춘 등과 함께 한나라당에서 당시 여당이었던 새정치국민회의로 소속을 바꾸어, 같은 해 지방선거에서 국민회의 소속으로 재선에 성공했다. 2002년 3회 지방선거 당시에도 새천년민주당 당적을 보유하고 있었고, 이를 통해 3선을 노리려고 했으나, 당에서 박기춘 도의원을 공천하여 컷오프시킨 것에 반발하여 무소속 출마를 감행해 한나라당 소속 이광길에게 넘어갔다. 4회 지방선거에서는 이광길 전 시장이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하고 대신 미금시 전 부시장 출신 이석우가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3선에 성공하여 2018년 5월 31일에 임기를 마치게 되었다.[2]

7회 지방선거를 앞두고 최민희 전 의원은 컷오프되었고 대신 조광한 군장대 겸임교수가 공천을 받았다. 자유한국당의 경우 예창근 전 부시장이 전략공천을 받았는데,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조광한이 예창근을 압도적인 표차로 누르고 민선 7기 남양주시장에 올랐다.

8회 지선에서 국민의힘 주광덕 후보가 시장에 당선되었다. 7기 시장이었던 조광한이 워낙 시정 평가가 나쁘다 보니 비토 정서가 강한 시민들은 조광한만 아니면 된다는 생각이 컸으나, 역시나 중도 및 보수 진영에서 평판이 매우 나쁜 최민희가 민주당 후보로 공천되면서 주광덕 후보가 6.9% 격차로 승리할 수 있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남양주시 CI.svg 역대 남양주시 국회의원 선거 결과
남양주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이성호 (재선)
미금시·남양주군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이성호 (3선)
남양주시
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성호 (4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조정무 (초선)
남양주시 갑남양주시 을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최재성 (초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박기춘 (초선)
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최재성 (재선)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박기춘 (재선)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최재성 (3선)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박기춘 (3선)
남양주시 갑남양주시 을남양주시 병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응천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한정 (초선)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주광덕 (재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응천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한정 (재선)
김용민 (초선)

파일:남양주시 CI.svg 역대 남양주시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무소속새정치국민회의한나라당한나라당
김영희이광길이석우
201420182022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이석우조광한주광덕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무소속|
무소속
]]
김영희 24.93%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김현덕 22.97%
3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안종목 20.23%
4위:
[[무소속|
무소속
]]
이해일 15.61%
1998년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김영희 58.49%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안종목 25.36%
3위:
[[무소속|
무소속
]]
최경선 16.14%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광길 38.76%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박기춘 32.68%
3위:
[[무소속|
무소속
]]
김영희 16.47%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석우 54.98%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이해일 22.46%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석우 50.09%

2위: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이덕행 49.90%
2014년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석우 49.52%

2위: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한정 46.06%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조광한 64.39%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예창근 26.70%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주광덕 53.4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최민희 46.55%
[1] 이재명 후보가 윤석열 후보를 경기도에서는 5%p차이로 이겼는데 남양주시에서는 7%p차이로 이겼다.[2] 정확히는 선거법을 어기지 않고 자유한국당 후보 지원을 위해 조기에 시장직을 사임했다.


3.1. 지선[편집]



3.1.1.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8회 지선 남양주시 개표 결과
경기도지사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동연김은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47,630
(49.83%)
143,096
(48.30%)
+ 4,534
(△1.53)
299,336
(49.05%)
구 미금시
득표율45,809
(50.66%)
43,077
(47.63%)
+ 2,732
(△3.02)
91,219
(48.89%)
호평동52.03%46.50%△5.5447.05
평내동53.82%44.54%△9.2948.20
금곡동41.74%56.30%▼14.5646.99
양정동[A]35.57%62.72%▼27.1549.21
다산1동50.90%47.19%△3.7149.45
다산2동51.57%46.91%△4.6652.23
구 남양주군
득표율85,582
(48.92%)
86,186
(49.26%)
- 604
(▼0.35)
176,870
(45.06%)
별내동50.15%48.09%△2.0746.56
와부읍[B]47.66%50.28%▼2.6255.50
진접읍[C]50.49%47.78%△2.7141.04
화도읍49.31%48.90%△0.4140.12
진건읍42.15%56.05%▼13.9046.74
오남읍52.50%45.78%△6.7241.38
퇴계원읍47.63%50.37%▼2.7449.72
별내면51.88%46.70%△5.1850.35
수동면38.30%59.78%▼21.4852.80
조안면32.59%64.84%▼32.2655.12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
거소투표44.38%45.70%▼1.32
관외사전투표52.82%44.80%△8.02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남양주시 갑[D][3]50.24%48.07%△2.1743.76
남양주시 을[E][4]50.92%47.37%△3.5643.63
47.86%50.23%▼2.3750.86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동 지역[G]50.54%47.74%△2.7948.31
읍 지역[H]49.19%48.99%△0.2044.47
면 지역[I]36.58%61.30%▼24.7251.17


3.1.1.2. 남양주시장 선거[편집]

남양주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최민희주광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37,915
(46.55%)
158,315
(53.44%)
- 20,400
(▼6.89)
299,347
(49.05%)
구 미금시
득표율41,980
(46.37%)
48,543
(53.62%)
- 6,563
(▼7.25)
91,205
(48.88%)
호평동48.87%51.12%▼2.2547.05
평내동50.27%49.72%△0.5448.21
금곡동38.39%61.60%▼23.2246.99
양정동[*A ]32.13%67.86%▼35.7249.18
다산1동45.63%54.36%▼8.7349.44
다산2동46.77%53.22%▼6.4552.20
구 남양주군
득표율80,821
(46.18%)
94,175
(53.81%)
- 13,354
(▼7.63)
176,865
(45.06%)
별내동46.22%53.77%▼7.5546.57
와부읍[*B ]45.93%54.06%▼8.1455.48
진접읍[*C ]48.06%51.93%▼3.8841.03
화도읍47.27%52.72%▼5.4540.13
진건읍38.43%61.56%▼23.1346.73
오남읍50.19%49.80%△0.3841.38
퇴계원읍43.14%56.85%▼13.7149.71
별내면47.69%52.30%▼4.6250.36
수동면36.84%63.15%▼26.3052.78
조안면30.53%69.46%▼38.9455.15
후보최민희주광덕격차
거소투표43.02%56.97%▼13.94
관외사전투표49.33%50.66%▼1.32


3.2. 대선[편집]



3.2.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남양주시
남양주시 일원[남양주]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71,230161,920
득표율51.23%48.4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54,216
투표 수335,323
무효표 수1,099
투표율73.82%

18대 대선 남양주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171,230
(51.23%)
161,920
(48.44%)
+9,310
(△2.79)
73.82%
와부읍51.35%48.31%△3.0478.59
진접읍50.39%49.37%△1.0270.78
화도읍52.09%47.58%△4.5169.82
진건읍55.34%44.37%△10.9771.23
오남읍48.18%51.61%▼3.4370.74
별내면49.83%49.85%▼0.02[5]75.12
퇴계원면51.33%48.46%△2.8774.48
수동면65.46%33.86%△31.6067.84
조안면66.28%33.38%32.9075.48
호평동45.42%54.31%8.8975.70
평내동46.77%52.94%▼6.1775.12
금곡동56.19%43.57%△12.6271.17
양정동62.98%36.46%△26.5271.17
지금동51.62%48.07%△3.5576.08
도농동54.43%45.24%△9.1978.25
별내동52.15%47.55%△4.6078.31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0.45%59.04%18.59
국내부재자투표48.62%50.12%▼1.50

3.2.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19대 대선 남양주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5,079
(41.61%)
86,026
(21.68%)
92,048
(23.20%)
25,471
(6.42%)
26,319
(6.63%)
+ 73,031
(△18.41)
75.91%
[ 펼치기 · 접기 ]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바른정당|
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구 미금시
득표율41.86%21.87%22.89%6.56%6.46%△18.9776.24%
호평동45.91%17.80%22.75%6.50%6.67%△23.1676.81
평내동45.11%19.02%22.18%6.60%6.73%△22.9376.01
금곡동36.41%27.21%23.54%6.16%6.25%△9.2070.43
양정동[1]29.74%34.90%23.89%5.88%5.19%▼5.1671.33
지금동41.20%22.13%23.37%6.61%6.33%△17.8376.61
도농동39.05%24.44%23.03%6.86%6.29%△14.6179.83
구 남양주군
득표율40.55%22.72%23.65%6.22%6.44%△16.9072.87%
별내동[2]44.11%18.57%23.64%6.95%6.37%△20.4778.65
와부읍[3]40.33%24.37%21.81%6.92%6.16%△15.9679.57
진접읍[4]41.10%21.87%24.00%6.06%6.54%△17.1070.54
화도읍40.13%22.43%24.38%5.75%6.90%△15.7568.34
진건읍36.41%26.85%24.03%6.10%6.15%△9.5670.16
오남읍42.07%21.23%23.73%5.81%6.75%△18.3469.64
별내면40.15%22.93%24.46%5.94%6.10%△15.6975.67
퇴계원읍39.16%23.64%24.02%6.53%6.26%△15.1476.03
수동면29.54%35.95%24.45%4.10%4.82%▼6.4167.49
조안면31.03%38.68%20.18%5.05%4.70%▼7.6570.39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선상투표35.75%17.64%33.18%7.01%2.80%△2.57
관외사전투표46.42%15.98%21.59%7.47%8.03%△24.83
재외투표61.67%7.15%14.15%4.38%11.67%△47.52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남양주시 갑[5][6]42.14%21.18%23.51%6.04%6.71%△18.6371.81
남양주시 을[7][8]42.13%20.84%23.88%6.26%6.49%△18.2573.07
남양주시 병[9][10]38.69%25.20%22.95%6.59%6.17%△13.4976.24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원도심권[11]41.86%21.87%22.89%6.56%6.46%△18.9776.24
별내신도시[12]44.11%18.57%23.64%6.95%6.37%△20.4778.65
읍 지역[13]40.29%22.96%23.68%6.15%6.50%△16.6172.10
면 지역[14]30.01%36.81%23.10%4.40%4.78%▼6.8068.37
[1] 일패동 · 이패동 · 삼패동을 관할하며, 제73보병사단이 있는 동네[2] 별내신도시 전지역[3] 군부대가 있는 동네[4] 경복대학교 남양주캠퍼스 및 제75보병사단이 있는 동네[5] 호평동, 평내동, 화도읍, 수동면[6] 지역구 국회의원 :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초선)[7] 별내동, 진접읍, 오남읍, 별내면[8] 지역구 국회의원 :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초선)[9] 금곡동, 양정동, 지금동, 도농동, 와부읍, 진건읍, 조안면, 퇴계원읍[10] 지역구 국회의원 : 주광덕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재선)[11] 호평동, 평내동, 금곡동, 양정동, 지금동, 도농동 (구 미금시)[12] 별내동[13] 와부읍, 진접읍, 화도읍. 진건읍, 오남읍, 별내면, 퇴계원읍 (인구 2만명 이상 읍·면지역)[14] 수동면, 조안면 (인구 2만명 이하 면지역)


3.2.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남양주시
남양주시 일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239,179203,075
득표율52.32%44.42%
순위1위2위
선거인 수608,146
투표 수460,158
무효표 수3,437
투표율75.67%

20대 대선 남양주시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39,179
(52.32%)
203,075
(44.42%)
+ 36,104
(△7.90)
460,518
(75.72%)
구 미금시
득표율70,505
(51.86%)
61,167
(44.99%)
+ 9,338
(△6.87)
75,600
(76.27%)
호평동54.34%42.60%△11.7575.71
평내동55.93%41.08%△14.8474.95
금곡동47.01%49.52%▼2.5172.58
양정동[*A ]43.48%53.98%▼10.5079.24
다산1동50.81%45.88%△4.9376.64
다산2동50.64%46.40%△4.2479.47
구 남양주군
득표율139,987
(53.52%)
118,903
(45.46%)
+ 21,084
(△8.06)
269,285
(72.09%)
별내동51.71%45.14%△6.5774.72
와부읍[*B ]48.29%48.55%▼0.2679.31
진접읍[*C ]54.30%42.59%△11.7170.04
화도읍54.52%42.19%△12.3367.80
진건읍47.69%49.02%▼1.3372.24
오남읍56.20%40.47%△15.7369.17
퇴계원읍50.44%46.26%△4.1874.68
별내면53.61%43.39%△10.2375.72
수동면45.53%51.22%▼5.7074.80
조안면37.63%58.97%▼21.3476.18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8.27%44.38%△3.89
관외사전투표53.06%43.29%△9.78
재외투표65.26%30.15%△35.10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남양주시 갑[*D ][6]54.24%42.59%△11.6571.34
남양주시 을[*E ][7]53.82%43.02%△10.8071.79
49.20%47.58%△1.6276.68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동 지역[*G ]51.83%45.03%△6.8075.89
읍 지역[*H ]52.82%43.96%△8.8671.48
면 지역[*I ]43.28%53.43%▼10.1575.18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남양주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남양주시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조응천심장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9,779
(57.95%)
39,318
(38.11%)
+ 20,461
(△19.84)
104,185
(61.51%)
[ 펼치기 · 접기 ]
호평동59.33%36.80%△22.5363.44
평내동60.94%35.14%△25.8065.85
화도읍55.87%40.25%△15.6255.33
수동면45.73%50.21%▼4.4958.16
후보조응천심장수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56.20%31.72%△24.48
관외사전투표66.35%29.55%△36.80
재외투표74.60%23.80%△50.79
국회의원 선거 (남양주시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김한정김용식이석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8,660
(59.08%)
36,526
(31.43%)
10,184
(8.76%)
+ 32,134
(△27.65)
117,404
(60.48%)
[ 펼치기 · 접기 ]
별내동59.47%33.08%6.90%△26.3961.71
진접읍[*C ]57.99%31.06%10.27%△26.9455.24
오남읍59.69%30.48%9.00%△29.2155.57
별내면55.02%35.15%9.00%△19.8764.88
후보김한정김용식이석우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52.36%26.33%18.93%△26.04
관외사전투표64.39%26.48%8.00%△37.92
재외투표67.07%27.43%5.48%△39.63
국회의원 선거 (남양주시 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김용민주광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1,776
(50.07%)
67,490
(47.08%)
+ 4,286
(△2.99)
144,575
(67.73%)
[ 펼치기 · 접기 ]
금곡동45.27%51.07%▼5.8160.12
양정동[*A ]39.90%57.37%▼17.4766.17
다산1동51.24%46.33%△4.9167.31
다산2동50.84%46.64%△4.2067.03
와부읍[*B ]51.60%45.58%△6.0269.04
진건읍44.07%53.08%▼9.0059.95
퇴계원읍48.29%48.84%▼0.5563.59
조안면35.08%62.44%▼27.3764.95
후보김용민주광덕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53.25%42.27%△10.98
관외사전투표58.10%37.97%△20.14
재외투표68.77%30.76%△38.01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09,831
(31.18%)
125,802
(35.71%)
35,105
(9.96%)
23,359
(6.63%)
21,786
(6.18%)
- 15,971
(▼4.53)
366,185
(63.44%)
[ 펼치기 · 접기 ]
구 미금시
득표율32,164
(31.02%)
36,940
(35.63%)
10,781
(10.39%)
7,517
(7.25%)
6,533
(6.30%)
- 4,776
(▼4.60)
107,332
(65.39%)
호평동28.69%37.15%9.71%7.33%6.85%▼8.4663.44
평내동27.59%38.58%10.58%6.28%6.50%▼10.9965.85
금곡동37.83%32.99%8.59%4.95%4.02%△4.8360.13
양정동[*A ]44.57%26.03%8.04%4.86%5.55%△18.5466.17
다산1동31.46%34.71%11.09%8.10%6.43%▼3.2667.30
다산2동30.48%35.67%11.11%7.98%6.48%▼5.1867.03
구 남양주군
득표율69,315
(32.16%)
76,424
(35.46%)
20,689
(9.60%)
13,692
(6.35%)
12,538
(5.81)
- 7,109
(▼3.30)
224,199
(59.52%)
별내동30.30%35.60%10.25%8.34%6.63%▼5.3161.71
와부읍[*B ]34.41%32.99%10.52%7.12%5.98%△1.4269.04
진접읍[*C ]30.21%37.54%9.43%6.25%5.95%▼7.3355.25
화도읍31.18%35.99%9.16%5.62%5.80%▼4.8255.33
진건읍38.75%32.44%8.61%4.76%4.37%△6.3059.95
오남읍28.71%39.05%9.57%5.92%5.99%▼10.3455.57
퇴계원읍34.46%34.70%9.37%6.08%4.87%▼0.2563.60
별내면31.13%35.11%9.98%6.55%6.04%▼3.9964.88
수동면41.08%29.79%7.49%4.35%4.20%△11.2962.72
조안면48.08%22.98%8.15%4.46%4.32%△25.1064.95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6.98%34.21%7.46%8.07%3.49%▼7.23
관외사전투표25.27%37.75%11.13%6.52%8.19%▼12.48
재외투표23.58%37.70%8.66%3.22%18.14%▼14.11



[A] 법정동 일패동 · 이패동 · 삼패동. 제73보병사단이 있는 동네[B] 제7포병여단이 있는 동네[C] 제75보병사단경복대학교, 대경대학교 캠퍼스가 있는 동네[D] 평내동, 호평동, 화도읍, 수동면[3] 지역구 국회의원 :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재선)[E] 별내동, 진접읍, 오남읍, 별내면[4] 지역구 국회의원 :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재선)[G] 호평동, 평내동, 금곡동, 양정동, 지금동, 도농동, 별내동[H] 와부읍, 진접읍, 화도읍. 진건읍, 오남읍, 퇴계원읍, 별내면[I] 수동면, 조안면[남양주] 와부읍, 진접읍, 화도읍, 진건읍, 오남읍, 별내면, 퇴계원면, 수동면, 조안면, 호평동, 평내동, 금곡동, 양정동, 지금동, 도농동, 별내동[5]3표 차였다.[6] 지역구 국회의원 :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재선)[7] 지역구 국회의원 :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