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덤프버전 :



新潟新幹線車両センター
Niigata Shinkansen Depot /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위치


기본 정보
위치니가타현 니가타시 히가시구 테라야마 254
(新潟県新潟市東区寺山254)
철도
사업자
파일:JR 동일본 로고.svg
JR 동일본
귀속 조직신칸센 총괄본부
약칭칸니시 (幹ニシ)
소속 량수
전동차340량
총합340량
1. 개요
2. 연혁
3. 배치차량



1. 개요[편집]


니가타현 니가타시 히가시구에 위치해 있으며, 신칸센 차량기지다.

죠에츠 신칸센은 니가타역이 종점이지만, 선로는 하쿠신선을 따라 남동쪽으로 이어 니가타역에서 5.1km정도 되는 거리에 본 차량센터 입고선이 있다.

동파, 폭설 방지를 위해 모든 유치선은 지붕으로 덮혀있다.


2. 연혁[편집]


  • 1982년: 니가타 신칸센 제1운전소로 발족.
  •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로 JR 히가시니혼의 소속이 됨.
  • 2004년 3월: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로 개칭.
  • 2019년 3월 1일: 신칸센 총괄본부 발족과 동시에 이관.


3. 배치차량[편집]


2019년 10월 1일 기준.
  • 신칸센 E2계 전동차 (11편성 110량)
    • 1000번대 10량 11편성(J54~J56, J63, J64, J70~J75편성)이 배치되어 있다.
    • 죠에츠 신칸센 '토키', '타니가와'로 운용된다.
    • 향후 E7계로 대체되어 폐차될 예정이었고, 2023년 3월 18일을 마지막으로 조에츠 신칸센에서 전량 퇴역하였다.
  • 신칸센 E3계 전동차 (1편성 6량)
    • 6량 1편성(R19편성)이 배치되어 있다.
    • 겐비신칸센 용으로, 2016년 4월에 처음 운행을 시작하였다.
    • 해당 차량은 2020년 12월 19일을 마지막으로 퇴역하였다.
  • 신칸센 E4계 전동차 (16편성 128량)
    • 8량 16편성(P11~P22, P51, P52, P81, P82편성)이 배치되어 있다.
    • P51, P52편성은 호쿠리쿠 신칸센 카루이자와역까지, P81, P82편성은 나가노역까지 입선이 가능하다.
    • 도호쿠 신칸센에서는 2012년 9월 28일을 끝으로 정기운용이 종료되고, 현재 'Max토키', 'Max타니가와'로 운용된다. 또한 영업용으로 호쿠리쿠 신칸센에 입선할 기회는 매우 적다.
    • 향후 E7계로 대체되어 폐차될 예정이었고, 2021년 10월을 마지막으로 전량 퇴역하였다.
  • 신칸센 E7계 전동차 (16편성 192량)
    • 12량 8편성(F20~F35편성)이 배치되어 있다.
    • 죠에츠 신칸센 '토키', '타니가와', 호쿠리쿠 신칸센 '카가야키', '하쿠타카', '아사마', '츠루기'로 운용된다. 전용도색이 있는 F21, F22편성은 호쿠리쿠 신칸센에 운용되지 않고, 죠에츠 신칸센에만 운용된다.
    • 제19호 태풍 하기비스로 인해,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소속의 8편성 96량이 폐차되어[1], F20, F23~F27. 총 6편성이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에 임시로 배치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JR 히가시니혼/차량기지 문서의 r4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JR 히가시니혼/차량기지 문서의 r4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14:34:27에 나무위키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른 2편성 24량은 하쿠산 종합 차량소 소속의 W7계 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