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밍엄 대학교

덤프버전 :


파일:버밍엄 대학교 아이콘.png 버밍엄 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러셀 그룹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소속 대학
1096년1209년1451년1583년1826년1829년
[[옥스퍼드 대학교|

파일:옥스퍼드 대학교 문장.svg
]]
[[케임브리지 대학교|

파일:케임브리지 대학교 문장.svg
]]
[[글래스고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Glasgow.svg.png
]]
[[에든버러 대학교|

파일:에든버러 대학교 문장_shield.png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문장.svg
]]
[[킹스 칼리지 런던|

파일:493px-Shield_of_King's_College_London.svg.png
]]
옥스퍼드
University of Oxford
케임브리지
University of Cambridge
글래스고
Oilthigh Ghlaschu
에든버러
Oilthigh Dhùn Èideann
유니버시티 칼리지
University College London
킹스 칼리지
King's College London
1832년1883년1887년1895년1900년1903년
[[더럼 대학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urham_shield.png
]]
[[카디프 대학교|

파일:8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Cardiff.svg.png
]]
[[퀸 메리 런던 대학교|

파일:Queen_Mary,_University_of_London_Crest-2.png
]]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파일:런던 정치경제대학교 Shield_배경제거.png
]]
[[버밍엄 대학교|

파일:8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Birmingham.svg.png
]]
[[리버풀 대학교|

파일:421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Liverpool.svg.png
]]
더럼
Durham University
카디프
Prifysgol Caerdydd
퀸 메리
Queen Mary
런던 정경대
London School of Economics
버밍엄
University of Birmingham
리버풀
University of Liverpool
1904년1905년1907년1908년1909년1948년
[[리즈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Leeds.svg.png
]]
[[셰필드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Sheffield.svg.png
]]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파일:1200px-Shield_of_Imperial_College_London.svg.png
]]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파일:701px-Queen's_University_Belfast_arms.svg.png
]]
[[브리스톨 대학교|

파일:브리스톨 대학교 쉴드.png
]]
[[노팅엄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Nottingham.svg.png
]]
리즈
University of Leeds
셰필드
University of Sheffield
임페리얼 칼리지
Imperial College London
벨파스트
Ollscoil na Banríona
브리스톨
University of Bristol
노팅엄
University of Nottingham
1952년1955년1963년1963년1965년2004년
[[사우스햄튼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Southampton.svg.png
]]
[[엑시터 대학교|

파일:800px-University_of_Exeter_Crest.svg.png
]]
[[요크 대학교(영국)|

파일:요크 대학교 Shield_배경제거.png
]]
[[뉴캐슬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Newcastle.svg.png
]]
[[워릭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Warwick.svg.png
]]
[[맨체스터 대학교|

파일:1200px-Shield_of_the_University_of_Manchester.svg.png
]]
사우스햄튼
University of Southampton
엑시터
University of Exeter
요크
University of York
뉴캐슬
Newcastle University
워릭
University of Warwick
맨체스터
University of Manchester



>
U21 국제 대학연합>
Bridging Leading Global Universities
[ 펼치기 · 접기 ]
 U21 개요 
* Universitas 21 (이하 U21)은 지난 1997년 멜버른 대학교의 주도로 호주에서 설립된 국제 대학협력체다.
* 설립 당시 11개 회원대학으로 출범했으며, 이후 19개국 27개 대학 규모의 연구협력체로 성장했다.
* 소속 대학들 간의 연구협력 및 재학생 육성정책 공유를 통한 교육 혁신이 주요 목표다.
소속 대학 목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고려대학교 원형엠블럼.svg
파일:Shield_of_the_University_of_Glasgow.png
파일:에든버러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버밍엄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노팅엄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원형 아이콘.png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고려대글래스고에든버러버밍엄노팅엄더블린와세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코네티컷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University_of_Maryland_seal.svg
파일:UC Davis 아이콘.png
파일:멜버른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UNSW 원형 아이콘.png
파일:퀸즐랜드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시드니 대학교 아이콘.png
코네티컷메릴랜드UC 데이비스멜버른UNSW퀸즐랜드시드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파일:UvA 아이콘.png
파일:Lunds_universitet_seal.png
파일:뢰번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취리히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몬테레이 공과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맥마스터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파일:요하네스버그 대학교 아이콘.png
암스테르담룬드KU 뢰번취리히몬테레이맥마스터요하네스버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상하이교통대학 엠블럼.svg
파일:1200px-Fudan_University_Logo.svg.png
파일:홍콩대학 문장.svg
파일:NUS 아이콘.png
파일:칠레 교황청립 가톨릭 대학교 아이콘.png
파일:델리 대학교 문장.png
파일:오클랜드 대학교 원형 아이콘.png
상해교통대학푸단대학홍콩대학NUS폰티피카델리오클랜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틀 바로가기



University of Birmingham
버밍엄 대학교
Universitas Birminghamiensis
파일:버밍엄 대학교 문장.png
모토라틴어{{{#605270,#fff 'Per Ardua ad Alta'}}}
영어Through Efforts to Heights
한국어노력을 통해 더 높이
분류공립대학
역사개교<white,#1f2023>1900년 (124주년)
설립1843년: 버밍엄 퀸즈 칼리지
<white,#1f2023>1875년: 메이슨 과학대학
<white,#1f2023>1898년: 메이슨 유니버시티 칼리지
<white,#1f2023>1900년: 버밍엄 대학교[왕실헌장]
국가
파일:영국 국기.svg

소재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버밍엄
(Edgbaston, Birmingham B15 2TT, UK)
총장[1]카란 빌리모리아 남작[2] CBE, DL, FCA
(Karan Bilimoria, Baron Bilimoria)
부총장[3]애덤 티켈 FAcSS
(Adam Tickell)
비지터[4]페니 모돈트
(Penny Mordaunt)
재학생총원37,990명 (2021/22)
학부25,150명 (2021/22)
대학원12,840명 (2021/22)
교원4,100명 (2021/22)
상징색
[ 펼치기 · 접기 ]
#605270


#404040


#E42618


#5692CE


#394765


#006892


#DCDC70

웹사이트파일:버밍엄 대학교 아이콘.png 공식 홈페이지
대학 언론파일:버밍엄 대학교 대학 신문.png Redbrick
소셜 미디어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기타파일:더 탭 - 버밍엄 대학교 로고.png
교표
파일:버밍엄 대학교 로고 투명 배경.png
위치


1. 개요
2. 역사
3. 평가
4. 학과 및 연구소
5. 캠퍼스 및 부속시설
6. 학비(등록금)
7. 출신 인물
8. 여담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irminghamUniversityChancellorsCourt.jpg
버밍엄 대학교 소개 영상
[ 펼치기 · 접기 ]

Per Ardua ad Alta

노력을 통해 더 높이


버밍엄 대학교(University of Birmingham)는 영국 버밍엄에 위치한 세계 최상위 명문 종합대학이다.

버밍엄 대학교는 영국에서 여섯 번째로 가장 많은 학생 수를 보유하고 있는 대학[5]이자 영국에서 아홉 번째로 재단 규모가 큰 대학이다[6]. QS 세계 대학 랭킹 기준 세계 70–90위권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영국의 대표적인 연구 중심 대학 그룹인 러셀 그룹과 국제 연구 중심 대학 네트워크인 우니베르시타스 21 창립 회원이다. 2023년 기준 영국에서 아홉 번째로 많은 노벨상 수상자 수[7]인 총 11명이 본교에서 탄생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 글래스고 대학교 다음으로 영국 총리가 많이 배출되었다[8].

버밍엄 대학교는 각종 고문헌과 예술 사료 수집 및 연구에 기여한 이력으로 인해 역사학, 미술사학, 고전학, 문학 및 문예창작의 평판이 매우 우수하며 이와 연관된 다양한 연구 시설들이 소재하고 있다. 대학 캠퍼스 내 자리잡고 있는 바버 미술관(Barber Institute of Fine Arts)는 영국에서 역사적 가치가 높은 저명한 미술관 중 하나로서 대표적으로 보티첼리, 벨리니 등의 르네상스 화가들, 루벤스, 반 다이크 등의 17세기 네덜란드 화가들, 그리고 모네, 고흐, 고갱, 드가, 르누아르 등의 인상주의 화가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셰익스피어의 문학을 포함한 당대의 전반적인 잉글랜드 문학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셰익스피어 연구소(Shakespeare Institute)와 3,000점 이상의 중동 지역 고문서들인 밍가나 컬렉션(Mingana Collection)을 보유하고 있는 캐드버리 연구 도서관(Cadbury Research Library) 등이 위치해 있다. 이러한 교육적 인프라 덕분에 역사학계, 문학계 분야가 유명하지만 그 외에도 사회학, 공학, 천체물리학 계열 등도 명성이 높다.

버밍엄 대학교에는 조셉 체임벌린 기념 시계탑(Joseph Chamberlain Memorial Clock Tower)이 있는데, 이는 캠퍼스를 넘어서 도시 자체의 랜드마크로 손꼽힌다. 올드 조(Old Joe) 혹은 빅 조(Big Joe)라고 불리는 이 시계탑은 1908년에 설계되어 베네치아산 마르코 광장의 종탑과 유사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높이는 100m로 런던빅 벤(96m)보다도 높으며, 순수한 시계탑으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높다[9].


2. 역사[편집]


1843년에 설립된 버밍엄 퀸즈 칼리지(Queen's College, Birmingham)와 1875년에 설립된 메이슨 과학대학(Mason Science College)이 1898년에 메이슨 유니버시티 칼리지(Mason University College)라는 새로운 교명 아래 통합되었다. 이후 1900년에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왕실 헌장을 수여받음으로써 종합대학으로 정식 승격되어 현재의 대학이 탄생했다.


3. 평가[편집]


QS 세계 대학 랭킹 기준 세계 84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기준 세계 96위
THE 세계 대학 랭킹 기준 세계 108위
Complete University Guide 기준 국내 14위


4. 학과 및 연구소[편집]


Department of Arts and Law
  • English
  • Drama and Creative Studies
  • History and Cultures
  • Languages
  • Cultures
  • Art History and Music
  • Birmingham Law School
  • Philosophy
  • Theology
  • Religion

Department of Engineering and Physical Sciences
  • Chemistry
  • Chemic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 Civil Engineering
  • Mechanical Engineering
  • Electrical Engineering
  • Electronic Engineering
  • System Engineering
  • Mathematics
  • Metallurgy and Materials
  • Physics
  • Astronomy

Department of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 Biosciences
  • Geography
  •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 Psychology
  • Sport and Exercise Sciences

Department of Medical and Dental Sciences
  • Institute of Cancer and Genomic Sciences
  • Institute of Clinical Sciences
  • Institute of Applied Health Research
  • Institute of Cardiovascular Science
  • Institute of Immunology and Immunotherapy
  • Institute of Metabolism and Systems Research
  • Institute of Microbiology and Infection

Department of Social Sciences
  • Birmingham Business School
  • Education
  • Government and Society
  • Social Policy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5. 캠퍼스 및 부속시설[편집]


캠퍼스 소개 영상
[ 펼치기 · 접기 ]


6. 학비(등록금)[편집]


영국인 학생의 경우 영국 대부분의 다른 대학 대학들과 마찬가지로 £9250 (1500만원) 부터 시작하는 학비를 부담한다.

유럽연합 (EU) 출신 학생을 포함한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26000 (4400만원) ~ £40000 (6700만원) 정도의 학비를 부담한다. 학위과정마다 천차만별이지만 대개 외국인 학비는 영국인 학비(약 £9250)의 3배 - 5배 사이 수준이다. 영국이 유럽연합을 탈퇴(브렉시트)를 하기 전까지는 (1) 영국인, 영국 영주권이 있는 외국인, 유럽연합 소속 국가 국적 소지자(UK and EU rate), (2) 유럽연합에 속하지 않는 국가 국적 소지자(non-EU international rate)로 구분하여 학비(등록금)을 책정하였다. 그 이유는 영국에 소재한 유명 대학들이 유럽연합으로 부터 연구 등의 목적으로 상당한 양의 경제적 지원을 꾸준히 받아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이후에는 (1) 영국인, 영국 영주권이 있는 외국인(UK rate), (2) 외국인(international rate)으로 구분하여 학비(등록금)을 책정하였다.


7. 출신 인물[편집]



영국 총리

노벨상 수상자
  •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 1922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 노먼 하워스 - 1937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 피터 메더워 - 1960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 모리스 윌킨스 -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 존 로버트 슈리퍼 - 1972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존 베인 - 198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 폴 너스 -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 피터 블록 - 2007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
  • 프레이저 스토더트 - 2016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 데이비드 사울레스 - 2016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 존 마이클 코스털리츠 - 2016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학계

정치인/공무원
  • 데릭 파쳇 - 영국 외교부 장관
  • 발레이 아모스 - 영국 내각부 장관
  • 앤 위드컴 - 영국 고용부 장관
  • 힐러리 암스트롱 - 영국 주택부 장관
  • 머빈 앨리스터 - 영란은행 총재
  • 마이크 잭슨 - 영국 육군참모총장
  • 페리 크리스티 - 바하마 제도 총리
  • 케니 앤소니 - 세인트루시아 총리
  • 조프리 마 - 홍콩 대법원장
  • 레이먼드 시우 - 홍콩 경무처장
  • 리차드 허 - 싱가포르 재무장관
  • 마티아스 야오 - 싱가포르 국무장관
  • 요시다 하루미 - 일본 제49대 중의원 의원

기업인

문화예술계

체육계
  • 아담 펭길리 - IOC 선수위원
  • 릴리 오슬리 - 리우올림픽 금메달리스트


8. 여담[편집]




9.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9:03:43에 나무위키 버밍엄 대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왕실헌장] [1] Chancellor. 대학의 명목상 수장. 대학 운영에 관한 실질적인 권한은 부총장(Vice-Chancellor and Principal)에게 있다.[2] 코브라 맥주의 설립자이자 영국 추밀원 소속 의원.[3] Vice-Chancellor and Principal. 대학의 실질적 수장.[4] Visitor. 대학과 연계된 자치 성공회 기관 혹은 자치 자선 기관의 감독관으로 대학 내무에 관여할 수 있다.[5] 원격 대학인 오픈 유니버시티를 제외한 1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2위: 맨체스터 대학교, 3위: 코번트리 대학교, 4위: 리즈 대학교, 5위: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6] Ranked: The unis making billions of pounds a year 참고.[7] 1위: 케임브리지 대학교, 2위: 옥스퍼드 대학교, 3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4위: 맨체스터 대학교, 공동 5위: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7위: 에든버러 대학교, 8위: 킹스 칼리지 런던.[8] 제55, 57, 59대 총리 스탠리 볼드윈과 60대 총리 네빌 체임벌린.[9] 단순히 높이로만 따지면 601m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브라주 알 바이트가 세계에서 가장 높지만, 해당 건물은 시계탑뿐만 아니라 호텔, 식당 등 다양한 시설들이 들어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