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젠 니시키

덤프버전 :

파일:비젠니시키.jpg
이름ビゼンニシキ
Bizen Nishiki
출생1981년 2월 18일
사망1999년 7월 23일 (18세)
성별수컷
털색밤색 (栗毛,쿠리게)
아비댄디 루트(Dandy Lute)
어미베니바나 바이젠(ベニバナビゼン)
외조부민스키(Minsky)
생산자메이세이 목장
마주후지타 쇼조
조교사나루미야 아키미츠 (미호)
성적10전 6승
총상금1억 4501만 7400엔
주요
우승
G2스프링 스테이크스(1984)
NHK배(1984)
G3교도통신배 4세 스테이크스[A](1984)
주요 자마다이타쿠 헬리오스(1987)
레이팅프리 핸디60 (1984)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생애
3.1. 종마 생활
3.1.1. 주요 자마
4.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84년 클래식 세대로, 심볼리 루돌프와 동기. 84클래식을 완전 장악한 심볼리 루돌프의 라이벌이었다. 그러나 심볼리 루돌프에게 패배한 후 한번도 이기지 못했던 비운의 말이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Dandy Lute
1972 파일:프랑스 국기.svg
Luthier
1965 파일:프랑스 국기.svg
Klairon
Flute Enchantee
Dentrelic
1965 파일:프랑스 국기.svg
Prudent
Relict
베니바나 비젠
ベニバナビゼン
1975
Minsky
1968 파일:캐나다 국기.svg
Northern Dancer
Flaming Page
카츠 하고로모
カツハゴロモ
1971
Sound Track
Wildlife
* Djebel S5×S5 6.25%
* War Kilt=War Relic S5×S5 6.25%



3. 생애[편집]


84 야요이상 이전까지 당대 최강의 말이라는 평가를 받던 말은 심볼리 루돌프가 아니라 비젠 니시키였다. 그러나 1번 인기를 받은 야요이상에서 심볼리 루돌프에게 패배한다. 이때 심볼리 루돌프와 비젠 니시키의 주전기수인 오카베 유키오는 출주 경기가 겹치자 비젠 니시키와 심볼리 루돌프 둘 중 내가 선택한 말이 더 강하다고 생각해 달라면서 비젠 니시키를 버리고 루돌프를 선택하였는데, 이에 분노한 비젠 니시키 진영은 두번다시 오카베를 자기네 말들의 기수로 지명하지 않았다고 한다.

사츠키상에서 진영은 심볼리 루돌프에게 설욕을 다짐했으나 이번에도 역시 2착을 거두며 패배한다.[1] 만약 심볼리 루돌프만 없었더라면 7전 7승의 무패 사츠키상마가 될 수도 있었다.

그 후 스완 스테이크스를 마지막으로 부상으로 은퇴하였다.[2]

3.1. 종마 생활[편집]



3.1.1. 주요 자마[편집]



4.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그레이드
트랙
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1983년 (3세, 현 2세)
11. 5도쿄3세 신마잔디 1400m31착오카베
유키오
(플라워 파크)
11.27도쿄사잔카 (さざんか)상400만잔디 1400m21착(닛포 스왈로)
12.24나카야마히이라기 (ひいらぎ)상800만잔디 1800m11착(하쿠바 텐류)
1984년[3] (4세, 현 3세)
2.12도쿄교도통신배 4세 스테이크스[A]GIII잔디 1800m11착오카베 유키오(리키산 파워)
3. 4나카야마야요이상GIII잔디 2000m12착에비사와
세이지
심볼리 루돌프
3.25나카야마스프링 스테이크스GII잔디 1800m11착(사쿠라 토코)
4.15나카야마사츠키상GI잔디 2000m22착심볼리 루돌프
5. 6도쿄NHK배GII잔디 2000m11착(토호 캠리)
5.27도쿄일본 더비GI잔디 2400m214착심볼리 루돌프
10.28교토스완 스테이크스GII잔디 1400m312착니혼 필로 위너
[A] A B 현 교도통신배[1] 안 그래도 신체능력의 차이가 심한데 심볼리 루돌프의 기수는 원래 비젠 니시키의 기수였기에 비젠 니시키의 모든 약점을 알고있었다. 그렇기에 절대 이길 수 없었던것.[2] 일부 팬중에서 루돌프의 라이벌이라는 타이틀을 지키기 위해 무리하다 부상당한 것이 아닌가 라는 반응을 보인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3] 이 해부터 일본이 그레이드제를 도입하였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스프링 스테이크스|{{{#fff 스프링 스테이크스

(G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2
아사토모
1953
체리오 >

1954
타카 오

1955
낸시 샤인

1956
키타노 오

1957
히카루 메이지

1958
다이고 호마레

1959
메이타이
1960
코다마
1961
유키로 >

1962
카네츠 세키

1963
메이즈이

1964
신잔

1965
다이 코터

1966
쇼군

1967
메지로 플레임

1968
마치스

1969
와일드 모어
1970
타니노 무티에
1971
메지로 겟코 >

1972
타이 템

1973
하이세이코

1974
키타노 카치도키

1975
롱 호크

1976
텐 포인트

1977
요시노 류진

1978
타케덴

1979
리키아이 오
1980
서 펜 프린스
1981
산에이 솔론 >

1982
하기노 카무이 오

1983
타케노 히엔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비젠 니시키
1985
미호 신잔 >

1986
서니 라이트

1987
마테리얼

1988
모가미 나인

1989
나르시스 누아르
1990
아즈마 이스트
1991
신 호리스키 >

1992
미호노 부르봉

1993
멀티 맥스

1994
나리타 브라이언

1995
나리타 킹 오

1996
버블껌 펠로우

1997
빅 선데이

1998
쿠리르 사이클론

1999
원더 팽
2000
다이타쿠 리바
2001
아그네스 골드 >

2002
타니노 김렛

2003
네오 유니버스

2004
블랙 타이드

2005
댄스 인 더 모어

2006
메이쇼 삼손

2007
플라잉 애플

2008
스마일 잭

2009
언라이벌드
국제 G2 지정 후
2010
알리제오
2011
오르페브르 >

2012
그란데차

2013
로고타입

2014
로사 기간티아

2015
키타산 블랙

2016
마운트 롭슨

2017
윈 브라이트

2018
스텔비오

2019
에메랄 파이트
2020
걸로어 크릭
2021
빅티파루스 >

2022
비 어스토니시드

2023
벨라지오 오페라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NHK배(경마)|{{{#fff NHK배

(G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53
보스터니안
1954
타카 오 >

1955
이치몬지

1956
키타노 오

1957
히카루 메이지

1958
다이고 호마레

1959
윌 딜
1960
켄마루 치카라
1961
치토세 미노루 >

1962
오야시오

1963
킹 댄디

1964
우메노 치카라

1965
다이 코터

1966
나스노 코토부키

1967
알라딘

1968
마치스

1969
카네 하야테
1970
애로우 익스프레스
1971
히카루 이마이 >

1972
랜드 재규어

1973
하이세이코

1974
나스노 카게

1975
카부라야 오

1976
코요 치카라

1977
프레스 토코

1978
인터 구시켄

1979
테루 텐류
1980
몬테 프린스
1981
산에이 솔론 >

1982
아스완

1983
카츠라기 에이스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비젠 니시키
1985
토쇼 서밋 >

1986
럭비 볼

1987
모가미 야시마

1988
마이네르 글라우벤

1989
토와 트리플
1990
유토 조지
1991
이부키 마이카구라 >

1992
나리타 타이세이

1993
마이 신잔

1994
나무라 코쿠오

1995
마이네르 브리지
1995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교도통신배|{{{#fff 교도통신배

(토키노 미노루 기념)

(GIII)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word-break: keep-all"
[ 펼치기 · 접기 ]
1967
호게츠 오
1968
타케시바 오 >

1969
미노루
1970
타마 아라시
1971 야시마 라이덴

1972
스즈 복서

1973
스피드 리치

1974
커널 심볼리

1975
카부라야 오

1976
텐 포인트

1977
히시 스피드

1978
사쿠라 쇼리

1979
리키아이 오
1980
린도 타이요
1981
토도로키 히호 >

1982
사루노 킹

1983
미스터 시비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비젠 니시키
1985
사쿠라 유타카 오 >

1986
다이나 걸리버

1987
마이네르 다비드

1988
뮈게 루아얄

1989
마이네르 브레이브
1990
아이네스 후진
1991
이데 세종 >

1992
에어 조던

1993
마이네르 리마크

1994
나리타 브라이언

1995
나리타 킹 오

1996
사쿠라 스피드 오

1997
메지로 브라이트

1998
엘 콘도르 파사

1999
야마닌 아크로
2000
이글 카페
2001
정글 포켓 >

2002
치어즈 슈타르크

2003
런 투 더 프리즈

2004
마이네르 뒤프레

2005
스토미 카페

2006
어드마이어 문

2007
후사이치 호오

2008
쇼난 알바
국제 GIII 지정 후
2009
브레이크 런 아웃
2010
한소데 반도
2011
나카야마 나이트 >

2012
골드 쉽

2013
메이케이 페가 스타

2014
이슬라 보니타

2015
리얼 스틸

2016
디 마제스티

2017
스와브 리처드

2018
오켄 문

2019
다논 킹리
2020
달링턴 홀
2021
에프포리아 >

2022
다논 벨루가

2023
팬텀 시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20:43:15에 나무위키 비젠 니시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