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향노루

덤프버전 :




⠀[1~50호]⠀
1.#26 동관홍적기동물화석층>
1.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
1. 완도 주도 상록수림
1.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1.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1. 대강면의은행나무
1. 화산의소나무갈졸참나무포합수
1. 금성면의느티나무
1. 옥룡면의팽나무
1. 강진 사당리 푸조나무
1. 순천 평중리 이팝나무
1. 진례면의이팝나무
1. 구례 화엄사 올벚나무
1. 강진 삼인리 비자나무
1. 완도 예송리 상록수림
1. 중문면의녹나무
1. 평양목단대의화석입목
1. 평양남산리의화석림
1. 송광사의이팝나무
1. 죽청리의동백나무
1. 대문리의팽나무
1. 석문동의오동나무
1. 울릉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
1.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
1. 울릉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군락

⠀[51~100호]⠀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1. 진도의 진도개 1. 해남학도래지 1. 해남학번식지 1.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1. 진천보의담비(잘)서식지 1. 어의궁의은행나무 1. 서울 문묘 은행나무 1. 고양 송포 백송 1. 진천의측백수림 1.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1.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1.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1. 울주 목도 상록수림 1.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1.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1. 선남리의음나무 1.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1. 금란굴 1.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1.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1.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1.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1.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1. 잠실리의뽕나무
1.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1.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1. 장성면의 왕버들
1. 개성리의백송
1.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
1. 무안사마리의동백나무
1.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
1. 진안월평리의상수리나무,소나무포합수
1. 진안의줄사철나무자생북한지대
1. 금구의송악자생북한지대
1. 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곱향나무)
1. 경주 오류리 등나무
1. 벌교의 은행나무
1. 내장산 굴거리나무군락
1. 원성성남리의수림지
1. 원성 성남리 성황림
1. 삼척의회화나무
1. 삼척 도계리 긴잎느티나무
1. 울진 수산리 굴참나무
1. 주문진교항리의밤나무
1. 제주 김녕굴만장굴
1. 예산학번식지
1. 서산학도래지


⠀[101~150호]⠀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 고저앞바다란도바다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1. 보은 속리 정이품송 1. 보은의백송 1. 부여의동매 1. 예산 용궁리 백송 1.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1.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1. 서귀포의곰솔 1.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1.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1.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1. 소수서원의졸참나무 1.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1.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 1. 월성외 동면의왕버들 1. 청송의향나무 1. 차일봉북수백천연보호구역 1. 부전고원의부채붓꽃군락 1. 음성의학번식지 1. 예산삽교의학도래지 1.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 1.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 1.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군락 1. 구례원달리의산수유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1. 철산책도의저어새,고양이갈매기,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1. 풍산견
1. 칠보산개심사의중국율
1. 명천운만대의고려세
1. 대초도의산벚나무
1. 서수라의산벚나무
1. 개성크낙새서식지
1. 진천의학번식지
1. 오골계
1.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1. 안면도의굴거리나무군락
1. 태안 안면도 모감주나무군락
1. 해안면의갯노가자·소사나무군락
1. 귀성면의떡갈나무
1. 수산면의중국율
1. 참면의들매나무
1. 양산면의나도박달
1. 전천면의잣나무
1. 후창의조릿대군락
1.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 화석산지
1. 괴산 송덕리 미선나무 자생지
1. 속리의망개나무
1. 난읍비자림
1.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151~200호]⠀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1.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1. 함양 상림 1. 울진 성류굴 1.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1. 울진 불영사 굴참나무 1. 울진 후정리 향나무 1.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1. 제주 산천단 곰솔 군 1.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1.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 1.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1.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1.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1.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1.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1.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1.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1. 홍도 천연보호구역 1.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1.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 1.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1.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1.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201~250호]⠀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 두루미 1. 재두루미 1. 팔색조 1. 저어새(저어새, 노랑부리 저어새) 1. 느시 1. 보은 속리산 망개나무 1. 삼천 포학섬의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 1. 여주 신접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1. 해남 방축리의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 1. 무안 용월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1. 진도 관매도 후박나무 1. 영암 금강리의 향나무 1.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 군 1. 흑비둘기 1. 사향노루 1. 산양 1. 장수하늘소 1. 영월 고씨굴 1. 괴산 추점리 미선나무 자생지 1. 괴산 율지리 미선나무 자생지 1. 함안 용산리 백악기 새발자국 화석산지 1. 영동 영국사 은행나무 1. 밀양 남명리 얼음골 1. 구미 농소리 은행나무
1.#226 삼척 초당굴>
1. 거제 연안 아비 도래지
1. 흑두루미
1. 양양 포매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1. 청원 노호리의 백로 번식지
1. 통영 도선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1. 남양주 양지리 향나무
1. 거제 학동리 동백나무 숲 및 팔색조번식지
1. 양산 신전리 이팝나무
1. 광양 유당공원 이팝나무
1. 제주한림용암동굴지대(소천굴,황금굴,협재굴)
1.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1. 금강의 어름치
1.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
1. 서울 선농단 향나무
1. 해남 녹우단 비자나무 숲
1. 까막딱따구리
1. 독수리(독수리, 검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1. 소백산 주목군락
1. 철원 철새 도래지
1.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1. 향로봉·건봉산 천연보호구역
1. 횡성 압곡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
1. 무주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1.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251~300호]⠀
1.#276 남해 갈화리 느티나무>
1. 양성면의느티나무
1. 양주 황방리 느티나무
1. 원성 대안리 느티나무
1. 김제 행촌리 느티나무
1. 남원 진기리 느티나무
1. 진안 부귀면의 느티나무
1. 영암 월곡리 느티나무
1. 담양 대치리 느티나무
1. 영풍 병산리 갈참나무
1. 파주 무건리 물푸레나무
1. 사천 성내리 비자나무
1. 안동 대곡리 굴참나무
1. 합천 화양리 소나무
1. 괴산 삼송리 소나무
1. 무주 삼공리 반송
1. 문경 화산리 반송
1. 상주 상현리 반송
1. 예천 천향리 석송령
1. 청도 동산리 처진소나무
1. 김제 종덕리 왕버들
1. 청송 부곡동의 왕버들
1. 청도 덕촌리 털왕버들
1. 남해 창선도 왕후박나무
1. 금릉 조룡리 은행나무


⠀[301~350호]⠀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1.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1.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1. 청원 공북리 음나무 1. 무주 설천면의 음나무 1.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 1. 고성 하이면의 팽나무 1. 부산 구포동 당숲 1. 무안 현경면 팽나무 1.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1. 울진 화성리 향나무 1. 청송 장전리 향나무 1.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1. 인천 신현동 회화나무 1. 부산 괴정동 회화나무 1.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1. 월성 육통리 회화나무 1.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 1.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1. 연기 봉산동 향나무 1.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 1. 매류(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 황조롱이) 1. 올빼미류, 부엉이류(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1. 기러기류(개리, 흑기러기)
1.#326 검은머리물떼새>
1. 원앙
1. 하늘다람쥐
1. 반달가슴곰
1. 수달
1. 점박이물범
1.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
1.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
1.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1.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1. 독도 천연보호구역
1. 제원 송계리 망개나무
1.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1.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
1.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
1.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
1.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
1.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
1. 통영 우도 생달나무와 후박나무
1. 통영 추도 후박나무
1.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
1. 제주의 제주마
1.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
1. 영월 청령포 관음송
1. 명주 삼산리 소나무


⠀[351~400호]⠀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 보은 서원리 소나무 1. 서천 신송리의 곰솔 1.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 1. 전주 삼천동 곰솔 1. 장흥 옥당리 효자송 1. 구미 독동리 반송 1. 함양 목현리 구송 1. 의령 성황리 소나무 1. 옹진 신도 노랑부리백로와 괭이갈매기 번식지 1. 노랑부리백로 1. 고흥 외나로도 상록수림 1. 삼척 궁촌리 음나무 1. 영동 매천리 미선나무 자생지 1.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1. 담양 관방제림 1. 고창 삼인리 송악 1. 경산의 삽살개 1. 흑산도 진리의 초령목 1. 부안 미선나무 자생지 1. 포항 발산리 모감주나무와 병아리꽃나무군락 1. 양구 개느삼 자생지 1.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1.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 1. 제주 납읍리 난대림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1.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
1. 제주 천제연 난대림
1. 제주 천지연 난대림
1.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
1. 이천 도립리 반룡송
1.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1. 괴산 적석리 소나무
1. 제주 당처물동굴
1.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1.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1.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
1.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
1.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
1.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1.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1.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1. 옹진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포획 현무암분포지
1.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 화석산지
1. 진주 가진리의 새발자국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1.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
1. 장수 장수리 의암송
1.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
1. 영양 답곡리 만지송
1.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401~450호]⠀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1.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1. 성주 경산리 성밖숲 1. 영천 자천리 오리장림 1. 의성 사촌리 가로숲 1.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1.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1.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1.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1. 거창 당산리 당송 1. 고성 덕명리 공룡발자국과 새발자국 화석산지 1.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1.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1. 화성 고정리 공룡알화석 산지 1.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1. 태백 장성 전기고생대 화석 산지 1. 태백 구문소 오르도비스기 지층과 제4기 하식지형 1. 보성 비봉리 공룡알 화석산지 1. 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1. 성산일출봉 천연보호구역 1.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 1.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1. 마라도 천연보호구역 1. 지리산 천년송 1. 문경 존도리의 소나무


⠀[451~500호]⠀
1.#476 영양 주사골 시무나무와 비술나무 숲>
1. 하동 중평리 장구섬 화석 산지
1. 장성 단전리 느티나무
1. 완도 정자리 황칠나무
1. 보성 전일리 팽나무 숲
1. 장흥 삼산리 후박나무
1. 담양 봉안리 은행나무
1. 화순 개천사 비자나무 숲
1. 강릉 오죽헌 율곡매
1. 구례 화엄사 매화
1. 장성 백양사 고불매
1.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1. 순천 선암사 선암매
1. 광양 옥룡사 동백나무 숲
1. 제주 선흘리 벵뒤굴
1. 하동 축지리 문암송
1. 의령 백곡리 감나무
1. 의령 세간리 현고수
1. 고창 수동리 팽나무
1. 진안 천황사 전나무
1. 비단벌레
1. 정읍 두월리 청실배나무
1. 평창 운교리 밤나무
1.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
1. 목포 갓바위


⠀[501~550호]⠀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 강화 참성단 소사나무 1.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1. 화성 융릉 개비자나무 1. 진도 동거차도 유문암질 단괴 1.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 1.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1. 옹진 소청도 선캄브리아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분바위 1. 정선 산호동굴 1. 평창 섭동굴 1.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1.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 1. 제주 수월봉 화산쇄설층 1. 영덕 도천리 도천숲 1. 나주 송죽리 금사정 동백나무 1. 나주 상방리 호랑가시나무 1. 제주 물장오리 오름 1.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1. 영양 무창리 산돌배 1. 강릉 방동리 무궁화 1. 옹진 백령도 연화리 무궁화 1.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1.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1.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 1. 신안 작은대섬 응회암과 화산성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해안>
1. 의성 빙계리 얼음골
1. 이밀양 만어산 암괴류
1. 양양 오색리 오색약수
1. 홍천 광원리 삼봉약수
1. 인제 미산리 개인약수
1. 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1. 부여·청양 지천 미호종개 서식지
1. 진주 호탄동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
1.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1.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1.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
1. 독도 사철나무
1.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1. 경주개 동경이
1.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1. 평포천 아우라지 베개용암
1.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1. 제주 강정동 담팔수
1. 대전 괴곡동 느티나무
1. 제주 흑우
1. 포항 뇌성산 뇌록산지
1. 군산 산북동 공룡발자국과 익룡발자국 화석산지
1. 정선 용소동굴
1. 제주 흑돼지


⠀[551호~]⠀





사향노루(궁노루)
Siberian musk dee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oschustier.jpg

학명
Moschus moschiferu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우제목(Artiodactyla)

사향노루과(Moschidae)

사향노루속(Moschus)

사향노루(M. moschifer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취약.svg

1. 개요
2. 사향



1. 개요[편집]


Musk deer, Moschus spp.[1] 우제목 사향노루과의 포유류로 노루가 붙은 이름과는 달리 노루보다는 에 가깝다.[2] 사향노루 외에 순 우리말로 국노루(국놀우), 궁노루라고도 불린다.[3]

화석상의 기록으로는 미크로메릭스(Micromeryx)이라는 사향노루계 조상이 세르비아 레코바츠 마이오세 지층에서 1851년 루이 라르테(Louis Lartet, 1840 ~ 1899)이 발견한 것이 최초다.

사향노루는 이빨이 뾰족하며 죽순 등을 먹는 동물이다. 몸무게는 15kg에 몸길이 70cm로 고라니보다 작은 체구이다. 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는데 한국에 사는 사향노루의 경우 한반도와 중국 동북부, 극동러시아에 분포하지만 일본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

천적으로는 시베리아호랑이, 곰, 늑대, 인간 등이 있다.


2. 사향[편집]


이 동물이 멸종위기종인 이유는 바로 한약재나 향수 원료 등으로 폭넓게 사용되는 사향(麝香) 때문인데, 수컷 생식기 근처에 있는 향선낭(사향낭)이라는 곳에서 추출하는 약재이다. 사향은 냄새가 지독해서 그냥 두면 벌레를 쫓는 효과도 있을 뿐 아니라 피를 뻥 뚫리게 해서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다고 하여 폭넓게 쓰이는 약재인데, 날이 갈수록 하도 사향의 수요가 늘어나 많이 잡혔다.

사향은 한의학적으론 일종의 순환을 돕는 약재인데 막힌 곳 뚫기에는 그 효력을 따라올 약재가 없다고 한다. 이렇게 기혈을 순환시키는 한약에서는 반드시 사향이 들어가야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요가 수요라 사향노루가 남아날 리가 없다. 그래서 정부가 사향을 강하게 통제하므로 제대로 된 사향을 구할 수 없게 되었고, 따라서 진짜 사향을 쓰는 처방들은 부르는게 값이 되었다 봐도 좋다.[4]

현대에는 불개미 등을 잘게 뭉쳐놓고 사향의 유효성분 중 인공생산이 가능한 L-무스콘을 첨가한 뒤 사향이라고 속여 파는 경우가 많다. 식약청에서조차 유통업체가 사향이라고 하면 사향이라고 허가하는 수준으로 관리하여(한 한의사가 이 과정에 대해 문의하자 그걸 왜 알려고 하느냐는 소리를 듣고 제대로 답변을 받지 못했다.) 문제가 심각하다. 다만 예전에 유통되었던 것들이 아직까지 재고가 있는 경우가 있어 아주 진품이 없다고도 할 수는 또 없는 애매모호한 상황.[5]

과거에는 사향을 향수 대용 등으로 사용하기도 했으며, 향낭이나 향갑은 이 사향 같은 것을 넣고 다니던 일종의 방향제 주머니인 셈. 사향이 수컷에게만 있는 생식샘이기 때문에 정력에 좋다는 설도 많으며, 남성을 유혹하는 힘이 있다고 믿었을 뿐 아니라 여성이 오래 복용하거나 사용할 경우 불임이 된다고 믿었으며 일종의 피임약이자 낙태약 등으로 쓰이기도 했다.[6] 냄새가 암내나 지린내 비슷한데, 이 때문에 여성의 암내 등에 대한 페티쉬와 연관되기도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0:52:02에 나무위키 사향노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좁은 의미로는 국내서식종인 사향노루(Siberian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를 의미.[2] 소와 사향노루는 같은 소상과에 속한다. 노루는 사슴과 함께 사슴상과에 속한다.[3] 활로 쏘아 잡는 짐승이라고 궁노루라고 부른다는 민간어원이 있으나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참고로 사향노루의 사(麝)자도 사슴 록(鹿) 밑에 활 사(射)를 붙인 것이다. 가곡 '비목'의 2절 가사 중 '궁노루 산울림 달빛타고 흐르는 밤'의 궁노루가 사향노루다. 실제로 쟁반노래방 52회에서 이 곡의 2절이 도전곡으로 출제되었는데, 이 궁노루 때문에 기회 4번+찬스 2개를 사용해서야 해결했다.[4] 대표적으로 공진단. 공진단의 경우 단의 크기를 이상하게 만들어 놓아서 제대로된 사향을 쓰고도 원방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사향 공급도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데 정품 사향 공진단을 원하는 수요자와 한의사들은 많은데 공급은 한정되었다. 공진단에서 나머지 약재는 그냥 장식이고, 그야말로 사향이 약효의 모든 것이다. 또다른 비슷한 사례가 우황청심환. 그래도 우황청심환의 경우 사향이 장식이다보니 사향이 빠져도 별 문제는 없다. 오히려 주사를 쓰지 못하게 되면서 약효가 떨어졌다.[5] 홈쇼핑 등에서 공진단을 파는 것이 비난받는 2차적인 이유. 1차적인 이유는 의약품인 공진단을 건강보조식품으로 팔고 있기 때문이고(비아그라를 홈쇼핑에서 파는 것이나 마찬가지), 두번째로는 홈쇼핑에서 파는 그런 단가로는 절대 제대로 된 사향을 넣고 공진단을 만들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예 사향 대신 싼 목향을 넣고 목향공진단이라는 것을 판매하기도 하는데, 두 약재가 아예 다른 만큼 효능도 거의 다른 약이다.[6] 한의학적으로는 양기가 강한, 즉 순환시키고 흥분시키는 약재이기 때문에 임신에 당연히 해롭다. 남성호르몬 및 그 유사체나 전구체 등이 함유되어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