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사회주의

덤프버전 :


파일:생태주의 깃발.svg
생태주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파일:빨간색 깃발.svg
사회주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공상적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기독교 사회주의이슬람 사회주의불교 사회주의유교 사회주의
생시몽주의오언주의푸리에주의블랑키즘유대교 사회주의
아나키즘
아나코 생디칼리즘개인주의적 아나키즘사회적 아나키즘상호주의 아나키즘아고리즘
아나코 페미니즘녹색 아나키즘사회생태주의정강주의후기 아나키즘
반란적 아나키즘크리스천 아나키즘아나코 원시주의아나코 자연주의포스트 레프트 아나키즘
공산주의
틀:공산주의 참고.
개혁적 사회주의
자유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민주사회주의유럽공산주의신좌파
국가사회주의21세기 사회주의아랍 사회주의아프리카 사회주의제3세계 사회주의
윤리적 사회주의시장사회주의제3의 길멜라네시아 사회주의
지역별 사회주의
블레어주의 파일:영국 국기.svg노동 시오니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룰라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볼리바르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차베스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나세르주의 파일:이집트 국기.svg카다피주의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간디 사회주의 파일:인도 국기.svg마르하엔주의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산디노주의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마곤주의 파일:멕시코 국기.svg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왕징웨이주의 파일:대만 국기.svg인민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혁명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의 사회주의미국의 사회주의영국의 사회주의이탈리아의 사회주의프랑스의 사회주의
호주의 사회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사회주의
연관 이념
급진적 자유주의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혁명적 사회주의사회주의적 내셔널리즘보수적 사회주의
생태 사회주의마르크스주의좌익 보수주의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권위주의적 사회주의
자코뱅주의좌익대중주의인디헤니스모성소수자 사회주의기독교 좌파
사회적 평등주의사회주의적 애국주의집산주의
기타
좌익 정치반자본주의계급투쟁사회주의 페미니즘민족해방
안티파시스트 액션탈자본주의진보주의(일부)해방신학민족자결주의
밀레니얼 사회주의프롤레타리아 정당샴페인 사회주의자아일랜드 공화주의제3세계주의
핑크 타이드
관련 단체
인터내셔널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진보주의 인터내셔널상파울로 포럼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에베르트 재단룩셈부르크 재단진보동맹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Eco-socialism

1. 개요
2. 역사
3. 생태사회주의를 주장하거나 주장했던 정당 목록
3.1. 국내
3.2. 국외
4. 외부 링크
5.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생태사회주의는 생태주의사회주의를 결합한 이념으로 생태적 위기를 가져오는 소위 자본주의의 무분별한 산업화로의 반대와 생태계 보존을 주장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사회당, 진보신당에서 주장하던 이념이다.


2. 역사[편집]


러시아 혁명 기간, 기존에 있던 레닌주의에 반대한 사회주의자들이 19세기~20세기의 무분별한 산업화로 나타난 환경 문제에 관여하면서 나타났다.

시대가 지남에 따라 정권 획득의 한계성이 있다는 일념 하에 1975년 프랑스에서 최초로 약간의 자본주의를 허용하고 점점 개량주의적인 성향을 띠게 되었다.

생태사회주의의 주요한 상대는 엄연히 자본주의자들이라서 냉전 기간 당시 생태주의의 일부라기보단 사회주의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했다.

한편 이들은 트로츠키주의스탈린주의를 비판하기도 했다.

21세기에 들어서 마르크스주의와 생태주의를 연결하려는 시도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존 벨라미 포스터와 사이토 코헤이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사변적 유물론, 신유물론[1]이라 불리는 21세기 대륙철학의 조류와도 연관이 깊다.

3. 생태사회주의를 주장하거나 주장했던 정당 목록[편집]



3.1. 국내[편집]



3.2. 국외[편집]



4. 외부 링크[편집]


생태사회주의의 역사 및 주요 사상가들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
생태사회주의 철학자 존벨라미 포스터 인터뷰

5.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2:56:22에 나무위키 생태사회주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름처럼 유물론을 새로 해석한 버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