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양 J-15 (r1판)

편집일시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중국 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Z-5R, AS350, Mi-8, Mi-8T, Mi-17V7, Mi-171(V, V5), Mi-172, Mi-6, S-70C2, Z-9, Z-15, Z-20, SA-316이상 육
수송헬기Mi-26, Z-8, Z-18
공격헬기WZ-10 , Z-19, Z-11
대잠헬기Ka-27, Z-8, Z-9, Z-20이상 해
전투기1세대MiG-9(I-307, J-1)R, J-2R, J-4R, J-5R
2세대J-6R, J-7해, 공
3세대J-7(E/G), J-8(A/B)해, 공, J-9
4세대 / 4.5세대J-10(A/B/C)해, 공, J-11(A/B/BS)해, 공, J-15, J-16, Su-27(UBK/SK)해, 공, Su-30(MkK/Mk2), Su-35, F-16/79
5세대J-20, {FC-31}
공격기Q-5
전폭기JH-7(A/B), Q-6
전략폭격기Tu-4R, H-5R, H-6, H-6K, {H-20}
수송기Y-5, CRJ200, CRJ700, Il-76, Y-7, Y-8, Y-9, Y-11, Y-12, Y-20
지원기공중조기경보통제기KJ-1R, KJ-2000, KJ-500, KJ-200, {KJ-600}
전자전기Y-9(G/X), J-16D
대잠초계기Y-8FQ, Y-9Q
정찰기Tu-154MD, JZ-6R, JZ-8
공중급유기Il-78, H-6U, YU-20
무인기UAV샹룽, WZ-7, WZ-8, WZ-10
UCAVGJ-1, GJ-2, {GJ-11}, TB-001
훈련기JL-8, JL-9, L-15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external/1.bp.blogspot.com/Chinese+J-15+Flying+Shark+and+Varyag+Aircraft+Carrier++takoff+operational+carrier+landing+missile+sd-10+pl-12+pl-10+asr+bvr+ramjet+pgm+ls-6+(1).jpg
파일:j15_l5.jpg

선양J-15
沈阳歼-十五
Flying Shark飞鲨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배치 계획
4.1. 양산 차질설 및 결함 보유설
4.2. 양산 배치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J-15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항공대항공모함 함재기이다. 2012년 9월 취역한 랴오닝함에 탑재되었다.

별명은 나는 상어(飞鲨, 페이사), 나토 코드명은 Flanker-X2.


2. 제원[편집]


승무원: 1명 또는 2명
길이: 21.9 m
날개폭: 14.7 m
접었을 경우: 7.4 m
높이: 5.9 m
주익면적: 62.04 m2
경하중량: 17,500 kg
만재중량: 27,000 kg
최대이륙중량: 33,000 kg
엔진: 2 × WS-10A 애프터버너 터보팬
드라이 추력: 89.17 kN (20,050 lbf) 각각
애프터버너 추력: 135 kN(33,000 lbf) 각각
최고속도: 마하 1.98
항속거리: 3,500 km
운용고도: 20,000 m
상승률: 325 m/s
기관포: 1 × 30 mm GSh-30-1 기관포, 150 발
하드포인트: 12개
공대공 미사일: 8 × PL-12 또는 8 × R-77, 4 × PL-9 또는 4 × R-73
ECM 포드


3. 상세[편집]


원래 중국은 바랴그 항공모함을 재생하기로 결정하면서 함재기로서 Su-27의 함재기형인 Su-33을 라이센스 생산하려고 했다. 그러나 Su-27의 라이센스 사업인 J-11 사업에서 러시아 측은 중국이 계약을 어기고 지적 재산권을 침해했다고[1] 주장하며 중국과 더 이상의 라이센스 계약을 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그래서 함재기도 도입할 길이 막힌 것이다.

그러나 2001년 중국측은 우크라이나에 손을 뻗어 우크라이나가 보유하고 있던 Su-33의 원형기인 T-10K-3을 손에 넣었다.[2] 마침 중국은 이 시험기의 원형기인 Su-27 복제사업을 해봤기 때문에 T-10K-3을 분석하는 일은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러시아가 애비오닉스 부품공급을 중단했기 때문에 J-15는 껍데기만 Su-33의 모습이고 안의 부품은 중국산이 들어간다. 그러나 초도비행시 장착했던 엔진은 러시아제 AL-31[3]이며, 양산형에는 중국제 FWS-10가 들어간다고 한다.

러시아인들은 이런 중국측의 불법복제에 대해 "짝퉁이니 원판에 못미치겠지"라고 시니컬하게 반응하고 있다. J-15가 초도비행을 한게 2009년 8월이었는데, 2009년 3월까지 중국은 Su-33의 라이센스 생산을 위해 노력했으니...


2010년 모의 항공모함에서의 발착을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2016년에 본격적으로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당분간 랴오닝함은 함재기 없는 빈 배로 다녀야 할 처지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2013년 현재 36대를 탑재하고 있다고 중국 언론에 보도되었다.

일부 해외 전문가들이 중국제 함재기들은 몇년간은 항공모함에서 이착륙을 못할 것이라고 예상한 것을 비웃듯이, 2012년 11월 25일, 중국 당국은 J-15가 랴오닝 함에서 성공적으로 발착하는 것을 공개했다.

파일:J-15_CATOBAR.jpg
중국이 2개의 항공모함을 성공적으로 운용한 뒤 이후에 도입할 캐터펄트 방식의 항모인 003형 항공모함을 위해서 캐터펄트에 대응하기 위해 랜딩 기어가 강화된[4] J-15 또한 확인되었기에 J-15는 향후에도 장기간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항공대의 주력 전투기로 활약할 가능성이 높다.


4. 배치 계획[편집]



4.1. 양산 차질설 및 결함 보유설[편집]


2010년대 중반 홍콩언론인 SCMP는 J-15가 여러 결함 때문에 양산이 어렵다고 보도했다.

2014년 10월 "중국군의 WS-10A 엔진에 대한 인내심은 한계에 도달했으며, 중국 공군 및 해군항공대는 WS-10A를 때려치우고 AL-31F 엔진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으나 중국 정부가 거부하고 있고, AL-31F 엔진의 보유 수량마저 부족해 충분한 양을 확보할 때까지 J-15/16 전투기의 양산을 중단해야 할 판" 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

캐나다에 서버를 둔 중국 군사 전문 매체인 칸와 디펜스 리뷰에 의하면 양산계획이 엎어져버렸다. 앞으로 전력 공백을 어떻게 메울지..

중국 국방부는 7월 공식 매체를 이용하여 4월에 있었던 J-15의 추락 사고를 발표했다. 조종사 장차오 대위(29세)는 사망했다. 이 때문에 J-15에 기술적인 문제가 있는게 아니냐는 분석이 있다. 물론 어차피 신형기의 사고는 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함재기는 중국이 처음으로 만드는 것이다.) 생산 초기의 잦은 사고는 불가피하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기사(영문)

중국으로서는 J-15 이외의 다른 대안도 없는데, 현재 함재 전투기를 만드는 세 나라 중 미국(F/A-18)과 프랑스(라팔-M)는 서방 진영이라서 외계인이 쳐들어오지 않는 한 중국에 함재기를 팔 리 없고, 러시아는 J-11 사업에서 중국이 불법 복제를 했다고 주장하면서 비난한 바 있으므로, 함재기 가격을 비싸게 부를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남중국해의 급박함을 생각하면, 함재기든 항공모함이든 일단 배치하고 시행 착오를 고쳐나가는 방향으로 나갈 듯 하다.

중국의 항공모함 운용이나 배치가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는 불가피한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어차피 경험 없는 나라가 항공모함을 제대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행 착오를 거쳐야 하며, 항공모함 운용국중에서 초기 운용에서 시행착오를 안 겪은 나라가 거의 없다. 미국도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초기 항공모함 초기 건조 당시 엄청난 시행착오를 겪었으며[5], 아카기에서 보듯이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소련도 키예프급을 처음 건조하면서 저지른 시행착오가 유명하고 이런 현상은 항공모함을 수십년 간 운용해온 프랑스와 영국도 마찬가지였다. 최근에도 프랑스는 샤를 드 골급 항공모함을 건조하며 시행착오를 겪었고, 영국도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을 건조하며 함재기 운용 때문에 갑판을 뜯고 다시 만드는 등의 문제를 보인 바 있다. 오히려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착실히 항공모함 운용능력을 확실하게 기르는 것이야말로 동아시아 군사력경쟁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요소이다. 항공모함 운용능력이 안정되고나면 항공모함의 유무가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4.2. 양산 배치[편집]


랴오닝함이 처음 배치된 2012년에는 J-15는 20여기가 생산되었다고 추정되고 있으며, 2016년 12월 서해에서 출발해 서태평양까지 나와서 훈련을 하고 있는 랴오닝함에는 10여 대가 실려져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AKR20161224027400083_01_i.jpg

오키나와 근방을 항해 중인 랴오닝함의 비행갑판에 주기된 J-15. 공군과 구별되는 해군항공대 표시는 조종석 부분에 찍혀 있다.

그러나 2018년 7월 J-15가 양산 문제를 극복하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소식이 홍콩의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를 통해 흘러나왔다. 이 보도에 따르면 J-15의 추락은 언론을 통해 공개된 2건이 아니라 4건이며 중국 항공 전문가들도 이러한 잦은 추락이 설계상 결함에 기인한 것임을 인정한 뒤 FC-31을 염두에 두고 대체기종을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뉴시스기사/SCMP 기사 원문

구체적인 기사내용을 보면 2016년 4월 또 한 대의 J-15가 추락하는 바람에 이 전투기를 몰았던 젊은 비행장교 장차오(张超) 상위가 사망하였고, 이후 베테랑 조종사 차오셴젠(曹先建) 상교(上校·대령급)가 중상을 입는 사고가 연이어 발생한 것이다. 차오 상교는 두 차례의 대수술을 이겨내고 1년 2개월여가 지나고 퇴원후 곧바로 부대로 복귀, 불과 70일 만에 조종간을 다시 잡고 사고 원인분석 결과 J-15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그의 보고서에 따르면 차오 상교는 카나드(Canard)가 있는 Su-33과 그렇지 않은 Su-27의 조종계통은 완전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J-15는 Su-33의 설계를 가지고 만든 기체에 Su-27을 모방한 J-11B의 비행제어 시스템을 결합하는 오류를 범했다고 지적하였으며 이는 설계에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하는 말이다. 이러한 문제점 지적에 따라 중국은 J-15 추가 양산을 중단하고 대체기 개발에 나섰다는 보도가 있다.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터의 보도는 중국의 2번째 항모인 산둥함이 취역한 현재에는 사실무근으로 보인다. J-15가 양산 중단되었다는 보도에도 불구하고 산둥함의 함재기로 J-15가 탑재되고 있기때문이다. FC-31이 함재기로 개발된다고 하면 최소 5-6년이 걸린다. 그러면 그 기간동안 J-15가 양산되지 않으면 산둥함은 함재기도 없는 빈 깡통이나 다름없는데 그러면 취역 자체가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된다.랴오닝(항공모함)에 탑재되어있는 J-15도 사고등으로 손실되면 보충할 방법이 전혀 없게 된다. 중국이 이런 뻘짓을 할리가 있겠는가?

중국 최초의 자력 건조 항모인 산둥함의 함재기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2018년 개발된 양산용 엔진 WS-15H의 품질이 러시아제 AL-31F에 근접한 점이 양산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즉 산둥함에 탑재되는 J-15는 기존의 WS-10A가 아닌 WS-15H엔진이 탑재하여 양산된다. 다만 문제가 되는 플라이바이와이어는 개선이 얼마나 이루어질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2020년 2월 21일에 제조사인 선양사가 J-15의 생산을 재개한다고 발표했다.관련내용 아마도 현재 개발되는 차기 함재기는 일단 항모에 J-15를 채우고 난 다음에 생각하려는 모양이다.

J-15의 양산이 2018년에 일시 중단된 건 사실로 보인다..하지만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터지의 보도대로 기체 결함문제때문에 양산이 중단된게 아니라 새롭게 개발된 신형 WS-15H엔진의 양산계획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위 기사들을 종합하면 WS-15H엔진이 본격적으로 양산되자 J-15도 다시 양산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의 J-15 양산중단 보도는 오보로 판명되었다. 현재 J-15의 추정생단대수는 50여기 이상으로, 원판 Su-33의 30여대보다 더 많으며, 중국의 3호항모인 003형 항모도 배치가 임박했기 때문에 더 많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당국은 이 전투기를 일단 배치하고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전략적으로 더 이익이라는 결론을 내린 듯 하다.

2020년 야간 동종 공중 급유(J-15끼리의 공중급유)에 성공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


5. 관련 문서[편집]



모던 워쉽 에서 2티어 공격기로 나온다. 1사이클 77000딜이지만 왠지 사용하는 사람이 없다.


6. 둘러보기[편집]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틀:현대전/유고슬라비아 항공병기|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1] 몰래 부품을 뜯어봤다는 이야기.[2] 당시 우크라이나는 소련 붕괴 이후 갑작스레 떠안게 된 구 소련군의 막대한 양의 군수물자를 사방에 헐값으로 팔아치우고 있었다.[3] 중국 국산 J-10에도 이 엔진이 들어간다.[4] 사진의 회색 기체와 항목 최상단의 기체의 전방 랜딩 기어를 비교하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캐터펄트 사출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 랜딩 기어가 무지막지하게 굵어진 것이 눈에 띈다.[5] 미국이 건조한 본격적인 항모라고 볼 수 있는 렉싱턴급 항공모함은 취역후 10년 동안인 1930년대 내내 비행갑판, 동력시스템, 항공기 이착륙 장치등 여러군데를 뜯고 고치기를 반복했다. 당시 미국도 처음 건조해보는 항공모함이라서 이런저런 시행착오를 겪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2 15:23:31에 나무위키 선양 J-1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