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덤프버전 :

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하계 올림픽개인가라데 · 근대 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단체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동계 올림픽개인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스케이팅
단체아이스하키 (·) · 컬링 (남·여·믹스더블)
* 대회명에 세계선수권대회(World Championship)가 있는 경우만 기재함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World Judo Championships
창설 연도1956년
개최 주기매년
종목15종목
최근 대회2022 타슈켄트
최근 우승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6/ 4/ 3)
최고 성적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170/ 106/ 119)
주관국제유도연맹
1. 개요
2. 역대 대회
3. 역대 메달



1. 개요[편집]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는 국제유도연맹(IJF)에서 개최하는 유도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이다. 1956년 남자 대회를 처음으로 시작했으며, 여자 대회는 1980년부터 시작했다. 1987년 이전까지는 남자는 짝수 해, 여자는 홀수 해에 따로 대회를 치뤘으나 1987년부터 통합 대회가 시작됐다. 1994년부터 단체전 대회가 시작됐고, 2011년부터 개인전 대회에 합쳐졌다. 2017년부터는 남녀 단체전이 혼성 단체전으로 합쳐져 2022년 현재는 한 대회에서 남자 개인전, 여자 개인전, 혼성 단체전을 모두 치르고 있다.


2. 역대 대회[편집]


  • 통합 대회가 시작된 1987년부터 기재함.

연도개최지비고
1987파일:독일 국기.svg 서독 에센[1][2]
1989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1991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바르셀로나
1993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해밀턴[3]
1995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치바
1997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리
1999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버밍엄
2001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뮌헨
2003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오사카
2005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카이로
2007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2009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로테르담
2010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
2011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리[4]
2013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2014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첼랴빈스크
2015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2017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5]
2018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바쿠
2019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
2021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부다페스트
2022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2023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도하


3. 역대 메달[편집]



역대 메달 순위
순위국가총합
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70106119395
2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614084185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91164104
4파일:쿠바 국기.svg 쿠바21254187
5파일:중국 국기.svg 중국21142257
6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16225391
7파일:영국 국기.svg 영국16193267
8파일:소련 국기.svg 소련11133357
9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9193664
10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9162146
11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9122546
12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8204472
13파일:독일 국기.svg 독일8143456
14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642535
15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592034
16파일:몽골 국기.svg 몽골552030
17파일:북한 국기.svg 북한55818
18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54817
19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4101226
20파일:미국 국기.svg 미국481729
21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421016
22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341118
23파일:동독 국기.svg 동독331420
24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3227
25파일:이란 국기.svg 이란3058
26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3036
27파일:독일 국기.svg 서독2102537
28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271625
29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25613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25613
3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4915
32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24612
33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2215
34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2103
35파일:체코 국기.svg 체코2035
36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161623
37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15814
38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1124
39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러시아유도연맹[6]1113
40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1056
41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1045
42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1023
43파일:국기.svg 독립 출전 선수[7]100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1001
45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04913
46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03912
47파일:호주 국기.svg 호주0336
48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0314
49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0279
50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0235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0235
52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0224
53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0213
54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0145
55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0134
56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0112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0112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0112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0112
60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0101
61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002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0022
63파일:한반도기.svg 남북단일팀[8]0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0011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0011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0011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세르비아 몬테네그로0011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0011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0011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0011

대한민국의 세계유도선수권 금메달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 1981년 : 박종학
  • 1985년 : 안병근, 조용철
  • 1987년 : 김재엽
  • 1989년 : 김병주
  • 1991년 : 김미정, 문지윤
  • 1993년 : 전기영, 정훈, 조민선
  • 1995년 : 전기영, 정성숙, 조민선
  • 1997년 : 김혁, 전기영, 조인철
  • 2001년 : 조인철
  • 2003년 : 이원희, 최민호, 황희태
  • 2007년 : 왕기춘
  • 2009년 : 왕기춘, 이규원
  • 2010년 : 김재범
  • 2011년 : 김재범
  • 2015년 : 곽동한, 안바울
  • 2018년 : 안창림, 조구함
남자가 24개(19명), 여자가 5개(4명) 획득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00:18:51에 나무위키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자부 제14회 대회[2] 여자부 제5회 대회[3] 1994년 첫 단체전 대회 개최[4] 단체전 대회 합병[5] 혼성 단체전 시작[6] 2021년 대회 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로 인해 출전정지를 받은 러시아 선수들은 러시아유도연맹 대표 자격으로 출전함.[7] 코소보 독립 직후인 2014년에 출전한 코소보 선수 마일린다 켈메디의 메달. 코소보를 승인하지 않은 나라들이 많아, 코소보 대표 자격으로 출전하는 데 논란이 있어 국제유도연맹 기를 달고 독립 출전 선수로 출전했다.[8] 2018년 대회 혼성 단체전에 출전하여 동메달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