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투어 그라이저

덤프버전 :

파일:슈츠슈타펠 문장.svg 친위대의 장성급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친위대(나치 독일)/국가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Reichsf%C3%BChrer-SS_Collar_Rank.svg.png파일:투명.png

친위대 국가지도자
Reichsführer-SS
]]
일반
친위대
율리우스 쉬렉 | 에어하르트 하이덴 | 하인리히 힘러 | 카를 항케
[[친위대(나치 독일)/최상급집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Oberstgruppenf%C3%BChrer_Collar_Rank.svg.png파일:투명.png

친위대 상급대장
Oberstgruppenführer
]]
일반
친위대
쿠르트 달루게질서경찰 총수 | 프란츠 슈바르츠
무장
친위대
파울 하우서 | 요제프 디트리히기갑
[[친위대(나치 독일)/상급집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Obergruppenf%C3%BChrer_Collar_Rank.svg.png파일:투명.png

친위대 대장
Obergruppenführer
]]
일반
친위대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P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루돌프 헤스 | 오토 디트리히 | 발터 부흐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P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마르틴 보어만 | 막스 아만 | 구스타프 아돌프 셸P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알베르트 포르스터 | 울리히 그라이펠트P | 율리우스 샤우브 | 빌헬름 슈투카르트 | 빌헬름 케플러 | 프리츠 자우켈 | 필리프 보울러 | 카를 피흘러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한스 라머스 | 헤르베르트 바케
무장
친위대
에른스트 칼텐브루너P | 고틀로프 베르거 | 아르투어 플렙스 |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P | 커르트 폰 고트베르크P | 마티아스 클라인하이스터캄프 | 베르너 로렌츠P | 막시밀리안 폰 헤르프 | 발터 슈미트 | 발터 크뤼거 | 프리드리히 크뤼거P | 아우구스트 프랑크P | 아우구스트 하이스마이어P | 알프레트 뷔넨베르크질서경찰 총수 | 에르빈 뢰제너P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P | 에리히 폰 뎀 바흐-첼레프스키P | 오스발트 폴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P | 테오도어 아이케 | 파울 샤르페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루스커이 예뇌 | 펠릭스 슈타이너 | 프리드리히 예켈른P | 빌헬름 레디스P | 빌헬름 비트리히 | 빌헬름 코페P | 카를 구텐베르거P
카를 볼프 | 카를 오베르크P | 카를 폰 에버슈타인P | 카를 헤르만 프랑크P | 한스 라우터P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P | 한스 위트너 | 헤르베르트 오토 길레
특수
작전집단
우도 폰 보이르슈P
[[슈츠슈타펠/계급#집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Gruppenf%C3%BChrer_Collar_Rank.svg.png파일:투명.png

친위대 중장
Gruppenführer
]]
일반
친위대
하인리히 뮐러P | 아우구스트 폰 마이츠너P | 야코프 슈폴렌베르크P | 오딜로 글로보츠닉P | 요한 라텐후버P | 빌헬름 그림P | 카를 클라우베르크
무장
친위대
그러시 요제프 | 게오르크 뢰르너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헤르만 페겔라인 | 헤르만 프리스 | 카를 겐츠켄 | 카를 게프하르트 | 카를 브란트 | 카를 프리드리히 그라프 폰 퓌클러-부르크하우스P |리하르트 글뤽스 | 베르너 오스텐도르프 | 위르겐 슈트로프P | 하인츠 라인파르트P | 하인츠 레머딩 | 헬무트 폰 판비츠
특수
작전집단
아르투어 네베P | 오토 올렌도르프P
[[슈츠슈타펠/계급#여단지도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SS-Brigadef%C3%BChrer_Collar_Rank.svg.png파일:투명.png

친위대 소장
Brigadeführer
]]
일반
친위대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율리우스 쉬렉 | 발터 셸렌베르크P | 울리히 그라프 | 프란츠 요제프 후버P | 페르디난트 폰 잠메른 프랑케네크P | 카를 마리아 빌리구트
무장
친위대
구스타프 롬바르트 | 레옹 드그렐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실베스터 슈타들러 | 오토 쿰 | 이반 코노노프 | 쿠르트 마이어 | 빌헬름 몽케 | 프리츠 비트 | 하인츠 하르멜
특수
작전집단
에리히 나우만P | 오토 라슈P |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P | 프란츠 발터 슈타흘레커P | 프란츠 직스 | 하인츠 요스트P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P : 질서경찰 계급 겸임
※ 둘러보기
파일:나치 독일 국장(화이트).svg 독일 국방군의 장성급 장교}}}}}}


파일:그라이저1.jpg
이름Arthur Karl Greiser
아르투어 카를 그라이저
출생1897년 1월 22일, 독일국 프로이센 왕국 포젠주 슈로다
(現 폴란드 비엘코폴스카주)
사망1946년 7월 21일, 폴란드 인민 공화국 포즈난
복무슈츠슈타펠 (1931년 ~ 1945년)
최종계급크릭스마리네 대위
슈츠슈타펠 대장 (상급집단지도자)
주요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1. 개요
2. 초기 행적
3. 독일 사회당
4. 나치당 활동
6. 전후 재판과 최후



1. 개요[편집]


파일:바케 그라이저.jpg
왼쪽은 친위대 상급집단지도자 헤르베르트 바케, 오른쪽이 친위대 상급집단지도자 그라이저.
나치 독일의 정치인, 슈츠슈타펠 대장이다.


2. 초기 행적[편집]


독일 제국 프로이센 왕국에서 태어난 그라이저는 고등학교시절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학교를 중퇴하고 1914년 8월에 해군에 입대했다. 1917년 7월에 해군소위로 임관 후 해군 조종사가 되어 비행대에서 근무하며 종군했는데 1918년 10월에 부상을 입고 1919년 봄까지 입원했다.


3. 독일 사회당[편집]


전후 독일 의용군에 참가한 그라이저는 1919년부터 1928년까지 단치히의 수출업자로 일하다가 1922년에 독일 사회당에 입당했다. 1924년에 단치히의 철모단 단원이 되었는데 1928년부터 1930년에는 단치히 항구에서 모터보트 여객선의 선장으로 일했다.


4. 나치당 활동[편집]


1929년 11월 1일나치당돌격대에 입대한 그라이저는 단치히 대관구의 상업부분 참모로 취임했다. 1930년 10월헤르만 괴링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단치히 대관구의 지도자로 임명되었지만 알베르트 포르스터가 지도자로 취임하자 그라이저는 그 대리로 일하게 되었다. 단치히 의회의 나치당 의원단장이 된 그라이저는 1931년 6월 30일에 돌격대에서 친위대로 이적한 후 1932년 10월 5일에 반정부 활동으로 엘빙크의 지방재판소에서 200마르크의 벌금과 일주일의 징역형을 받았지만 12월 20일에 은사로 형은 집행되지 않았다. 나치당이 정권을 장악한 후 1933년에 단치히의 외교문제 담당국장이 된 그라이저는 단치히 의회의 부의장이기도 했다.


5. 제2차 세계 대전[편집]


1934년에 의장이 된 그라이저는 폴란드 침공 후 폴란드령 가운데 구 독일제국령이었던 지역의 독일복귀를 추진하여 포젠 대관구를 설치하여 1939년 10월 21일에 대관구 지도자로 취임했다. 1940년 7월 7일에 독일 국회의장이 된 그라이저는 국가 사회주의 자동차군단(NSKK)및 국가 사회주의 항공군단(NSFK)도 주관하여 각각 대장과 중장지위를 부여받았다. 그리고 원래부터 소속했던 해군에선 예비역 해군대위의 계급도 주어졌다.


6. 전후 재판과 최후[편집]


전후 미군에게 체포된 그라이저는 폴란드에서의 학살관련 혐의로 폴란드 인민 공화국 법정에 넘겨졌다. 1946년 7월 9일에 사형판결을 받은 그라이저는 7월 14일교수형에 처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6:50:45에 나무위키 아르투어 그라이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