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버스 1300 (r1판)

편집일시 :

>
양산시
[ 펼치기 · 접기 ]
리무진버스KTX울산역 방면
30003100
직행좌석버스배내골부산 - 양산 - 울산
100021002300
양산 - 부산
1100120013001500
일반버스810[b]11[b]12[a]
13[d]1617[b]순환20-1[b]
21[a]23[a]2425
25-1263232-1
3352[b] [d]56[b] [d]57[b] [d]
585960[b]61[b]
87[b]113[b]128128-1
137[c] [d]138[c] [d]
마을버스웅상
웅상1웅상1-1웅상2[b]웅상3
웅상4[b]웅상5웅상5-1[b]웅진7
웅진8웅진10웅진11법서14
웅진15[b]웅진15-1웅진16법서17[b]
법서18웅진21웅진22웅진25
동면양산하북
법서1법서1-1양산2지산1
도시형버스도시형 버스1[b] [d]도시형 버스2[b] [d]도시형 버스3[b] [d]도시형 버스4[b] [d]
도시형 버스5[b] [d]도시형 버스6[b] [d]도시형 버스7[b] [d]도시형 버스8[b] [d]
[a] 심야노선 운행 노선, [b] 환승시간 60분 적용 노선, [c] 환승시간 180분 적용 노선, [d] 환승횟수 2회 적용 노선


파일:양산버스1300A.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양산시 CI_White.svg 양산시 직행좌석버스 13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1300 노선도.jpg
기점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증산리(증산공영차고지)종점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명륜역)
종점행첫차05:00(평일)/05:25(토요일)/05:30(일요일)기점행첫차06:00(평일)/06:30(토요일)/06:35(일요일)
막차22:20(평일)/22:13(일요일)막차23:20(평일)/23:18(일요일)
평일배차18~30분주말배차토요일30~35분 일요일36~38분
운수사명(주)세원인가대수6대[1]
노선증산공영차고지 - 증산역 - 대방노블랜드5.8차 - LH5단지 - LH2단지 - 이지더원2차.한양수자인 - 물금중학교.대방노블랜드7차 - 양우2차아파트 - 부산대양산캠퍼스 - 서남마을 - 경민아파트 - 신주중학교 - 황산우체국.우남퍼스트빌 - e편한세상2차.신창비바패밀리 - 쌍용닷홈.청어람 - 신도시동원아파트 - 도시통합관제센터[2] - 남양산IC - 중앙고속도로지선 - 경부고속도로 - 구서IC - 경부고속도로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 부산대역 - 온천장역 - 명륜역(1번 출구)


2. 개요[편집]


양산시 직행좌석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61.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1200번과 비슷한 시기에 생겼는데 당시엔 어곡동에서 출발해 유산공단, 양산부산대병원, 양산신도시를 거쳐 명륜역으로 갔다. 유산공단에서 양산신도시로 나갈 때 교동에서 바로 신도시로 가지 않고 황산로를 계속 타서 범어 쪽으로 간 뒤 양산부산대병원을 거쳐서 갔다. 신도시대동아파트 이후에는 1200번, 1500번과 모든 구간이 중복되었다. 어곡과 부산광역시를 연결하는 유일한[3] 교통수단이었으며 덕분에 어곡동 주민들과 유산공단으로 출퇴근하는 노동자들이 주 수요층이었다. 양산시 직행좌석버스 노선 중 수요가 가장 저조해 평시엔 BH115E 2대, 주말엔 1대로 운행해 배차간격도 제일 길었다.

  • 2014년 9월 23일에 첫/막차 시간이 변경되었다. 양산시 공지사항
    • 평일/토 명륜동 첫차: 7시 25분 → 7시 20분
    • 공휴일 어곡 첫차: 7시 15분 → 7시 20분
    • 공휴일 명륜동 첫차: 8시 25분 → 8시 30분
    • 공휴일 어곡 막차: 20시 25분 → 20시 40분
    • 공휴일 명륜동 막차: 21시 40분 → 21시 50분


  • 직행좌석 4개 노선이 합류하는 신도시동원아파트 구간 균등배차 및 원활한 회차시간 확보로 이용객들의 편의 및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을 이유로 2016년 10월 7일에 증산공영차고지 첫차가 6시 20분에서 10분으로, 증산공영차고지 막차가 21시 50분에서 45분으로 앞당겨졌다. 양산시 공지사항

  • 2017년 7월 4일에 '대방노블랜드5.8차 - 반도유보라4차 - 부산대양산캠퍼스' 구간이 '대방노블랜드5.8차 - LH5단지 - LH2단지 - 이지더원2차.한양수자인 - 대방노블랜드7차.부영1차 - 양우2차아파트 - 부산대양산캠퍼스'로 변경되었다. 양산시 공지사항 이로써 8번처럼 가촌신도시를 한 바퀴 돌고 나가게 되었다. 그리고 같은 날에 첫/막차 시간이 조정되었다.
    • 평일 증산 첫차: 6시 10분 → 6시
    • 평일 명륜역 첫차: 7시 10분 → 7시
    • 평일 증산 막차: 21시 45분 → 21시 50분
    • 평일 명륜역 막차: 22시 45분 → 22시 55분
    • 공휴일 증산 첫차: 5시 50분 → 5시 45분
    • 공휴일 명륜역 첫차 변동없음.
    • 공휴일 증산 막차: 21시 40분 → 21시 45분
    • 공휴일 명륜역 막차: 22시 35분 → 22시 50분

  • 2018년 3월 2일에 1대가 증차되었으며 첫/막차시간이 변경되었다. 양산시 공지사항
    • 평일/토 증산 첫차: 6시 → 5시 40분
    • 평일/토 명륜동 첫차: 7시 → 6시 45분
    • 평일/토 증산 막차: 21시 50분 → 21시 45분
    • 평일/토 명륜동 막차: 22시 55분 → 23시
    • 공휴일은 모두 변동없음.

4. 특징[편집]


  • 기종점이 같은 1500번을 보조하는 역할이다. 1500번은 물금읍사무소와 범어리를 경유하는 반면에 1300번은 양산부산대병원을 경유한다. 과거엔 1500번만 가촌지구를 경유했지만 현재는 두 노선 모두 경유하나 이 곳도 구간이 서로 다르다.

  • 1500번과 같이 양산발 노선 운행 중 양산JC를 거치는데 요철이 심한 구간이 존재한다. 혹시 음료를 마시고 있거나 중요한 물건을 들고 탄다면 해당 구간에서는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안전벨트를 안 매고 있다면 정말로 몸이 공중에 뜰 정도다.

  • 드물게 내성지하차도를 경유해 부전교회 삼거리에서 유턴하고 부전교회 앞에 정차 후 휴식하는 차량이 있다.

  • 1500번과 더불어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와 양산캠퍼스(양산부산대학교병원) 사이를 잇는 노선이다. 양산캠퍼스는 의과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전문대학원, 간호학과, 정보의생명공학대학 의생명융합공학부[4]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며, 정보의생명공학대학[5] 소속학생들 외 일반학부생들은 양산캠퍼스에 갈 일이 없다.[6]
  • 의생명융합공학부 소속 학생들은 2023년 2학기 부터 신축건물인 경암공학관[7]에서 학과생활이 이루어져 양산캠퍼스기숙사 정류소에 하차하여야 한다.

4.1. 노선[편집]


파일:양산시 CI_White.svg 양산시 직행좌석버스 1300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동래로
명륜역 ▼
중앙대로
▲ 금정구청.부산가톨릭대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지선
양산시도시통합관제센터 ▼
양산대로
▲ 양산시도시통합관제센터
청운로
신도시동원아파트 ▼
양산역로
쌍용닷홈.청어람 ▼▲ 신도시동원아파트
양주로
시외버스터미널 ▼▲ 쌍용닷홈.청어람
삽량로
황산우체국.우남퍼스트빌 ▼▲ e편한세상2차.신창비바패밀리
신주로
경민아파트 ▼▲ 신주중학교.반도유보라1차
황산로
부산대의학대학원 ▼▲ 미래디자인융합센터.서남마을
부산대학로
반도유보라4차 ▼▲ 양산캠퍼스기숙사
청운로
양우내안애2차.부영아파트 ▼▲ 양우내안애1차
증산역로
대방노블랜드7차.부영아파트1차 ▼▲ 양우내안애2차.부영아파트
물금로
LH아파트2단지 ▼▲ 이지더원2차.한양수자인
물금2길
LH아파트5단지 ▼▲ LH아파트2단지
청운로
대방노블랜드5차.8차 ▼▲ 부영아파트2차.이지더원1차
증산역로
증산역 ▼▲ 증산상업지구
메기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양산시 시내버스 파일:양산시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급행 (부산)
1002[a]
직행좌석 (양산)
1100120013001500
일반 (부산)
3750302
일반 (양산)
12[a]161721
23[a]585960
61
마을 (양산)
법서1법서1-1
도시형 (양산)
도시형2
[a]: 심야버스 운행 노선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양산시의 정류소만 경유하는 노선만 서술, 실질 월경지인 월평교차로의 정류소만 지나는 버스는 제외


비수도권 고속도로 경유노선
[ 펼치기 · 접기 ]
부산광역시10051008
울산광역시1733
충청남도
당진시
92009201
전라남도
담양군
311311-1311-2
311-3311-4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고령-대구서부
경상남도
양산시
110012001300
150030003100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신반-대구서부의령,신반-마산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양산부산대학교병원)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양산캠퍼스(양산부산대학교병원)
급행1300
일반10161721
2632-13852
132138
부산대양산캠퍼스역
일반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5:34:12에 나무위키 양산 버스 130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말, 공휴일 5대 운행.[2] 정식명칭은 양산시도시통합관제센터이지만 안내방송은 양산시도시통합관제센터.극동아파트후문으로 방송한다.[3] 2000년대 초반에는 14번도 있었다. 다만 이 노선과는 다르게 이마트를 경유했다.[4] 2020년에 신설된 학부다.[5] 정보컴퓨터공학부, 의생명융합공학부[6] 정보컴퓨터공학부는 부산캠퍼스 소속학부이나 정보의생명공학대학 자체가 양산캠퍼스 소속으로 단과대 행정실은 양산캠퍼스에 있다.[7] 대학생활원(기숙사) 건물인 지행관 뒷편에 위치 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