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노첸시오 3세 (r1판)

편집일시 :


 
  [초대-제60대]  
>
  [제61-120대]  

  [제121-180대]  
제121대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란도요한 10세레오 6세스테파노 7세요한 11세
제126대제127대제128대제129대제130대
레오 7세스테파노 8세마리노 2세아가피토 2세요한 12세
제131대제132대제133대제134대제135대
베네딕토 5세레오 8세요한 13세베네딕토 6세베네딕토 7세
제136대제137대제138대제139대제140대
요한 14세요한 15세그레고리오 5세실베스테르 2세요한 17세
제141대제142대제143대제144대제145대
요한 18세세르지오 4세베네딕토 8세요한 19세베네딕토 9세
제146대제147대제148대제149대제150대
실베스테르 3세베네딕토 9세그레고리오 6세클레멘스 2세베네딕토 9세
제151대제152대제153대제154대제155대
다마소 2세레오 9세빅토르 2세스테파노 9세니콜라오 2세
제156대제157대제158대제159대제160대
알렉산데르 2세그레고리오 7세빅토르 3세우르바노 2세파스칼 2세
제161대제162대제163대제164대제165대
젤라시오 2세갈리스토 2세호노리오 2세인노첸시오 2세첼레스티노 2세
제166대제167대제168대제169대제170대
루치오 2세에우제니오 3세아나스타시오 4세하드리아노 4세알렉산데르 3세
제171대제172대제173대제174대제175대
루치오 3세우르바노 3세그레고리오 8세클레멘스 3세첼레스티노 3세
제176대제177대제178대제179대제180대
인노첸시오 3세호노리오 3세그레고리오 9세첼레스티노 4세인노첸시오 4세

  [제181-240대]  
제181대제182대제183대제184대제185대
알렉산데르 4세우르바노 4세클레멘스 4세그레고리오 10세인노첸시오 5세
제186대제187대제188대제189대제190대
하드리아노 5세요한 21세니콜라오 3세마르티노 4세호노리오 4세
제191대제192대제193대제194대제195대
니콜라오 4세첼레스티노 5세보니파시오 8세베네딕토 11세클레멘스 5세
제196대제197대제198대제199대제200대
요한 22세베네딕토 12세클레멘스 6세인노첸시오 6세우르바노 5세
제201대제202대제203대제204대제205대
그레고리오 11세우르바노 6세보니파시오 9세인노첸시오 7세그레고리오 12세
제206대제207대제208대제209대제210대
마르티노 5세에우제니오 4세니콜라오 5세갈리스토 3세비오 2세
제211대제212대제213대제214대제215대
바오로 2세식스토 4세인노첸시오 8세알렉산데르 6세비오 3세
제216대제217대제218대제219대제220대
율리오 2세레오 10세하드리아노 6세클레멘스 7세바오로 3세
제221대제222대제223대제224대제225대
율리오 3세마르첼로 2세바오로 4세비오 4세비오 5세
제226대제227대제228대제229대제230대
그레고리오 13세식스토 5세우르바노 7세그레고리오 14세인노첸시오 9세
제231대제232대제233대제234대제235대
클레멘스 8세레오 11세바오로 5세그레고리오 15세우르바노 8세
제236대제237대제238대제239대제240대
인노첸시오 10세알렉산데르 7세클레멘스 9세클레멘스 10세인노첸시오 11세



파일:교황 문장.svg 가톨릭 교회의 교황
파일:176_innocenzo_III.png
제175대 첼레스티노 3세제176대 인노첸시오 3세제177대 호노리오 3세

파일:Pope_Innocent_III_(Monastery_of_Subiaco).jpg



1. 개요
2. 교황이 되기전
3. 교황이 된 이후
4. 기타


하느님께서는 하늘의 창공, 즉 보편적 교회 안에 두 개의 거대한 광채를 마련해 두셨습니다. 그 두 광채란 교황권과 왕권이라는 거대한 두 개의 직권입니다. 그러나 낮을 지배하는 태양이 밤을 관장하는 달보다 더 위대하고 달이 태양으로부터 그 빛을 얻듯이 교황이 왕보다 더 위대하고 왕권은 그 권위를 교황권으로부터 얻습니다



1. 개요[편집]


"교황태양, 황제"이라는 말까지 나온 중세 교회 최전성기의 교황이다. 본명은 '로타리오 디 세니'(Lothario di Segni)이며, 36살의 젊은 나이에 교황에 선출되었다. 이는 전임자 첼레스티노 3세가 80대 중반의 고령에 선출되어 92살에 사망했던 점 때문에, 추기경들 사이에서 "젊은 교황을 뽑아 시국에 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견해가 일치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2. 교황이 되기전[편집]


1161년 태어난 로타리오는 1190년 무렵 외삼촌 클레멘스 3세에 의해 부제급 추기경에 임명되었고, 1198년 1월 8일 첼레스티노 3세가 사망하자 그날 거행된 장례식 직후 바로 열린 콘클라베에서 선출되었다. 로타리오는 로마, 파리, 볼로냐 등 당대 최고의 명문 대학교에서 공부하며 신학법학에 조예가 깊었고, 달변가이기도 했다. 거기에 외모도 준수했다고 한다.

교황이 되기 전 1195년 무렵에 몇 편의 논고를 썼는데, <거룩한 제단의 신비에 대해서(De sacrosancti altaris mysterio)> 등이 있다. 스콜라 철학의 영향을 받아 논고에 그에 대한 많은 차용을 했다.


3. 교황이 된 이후[편집]


인노첸시오 3세는 교황의 지위와 권한에 대한 강력한 믿음을 바탕으로 자신을 '그리스도의 대리자'로 자처한 최초의 교황이며, 이는 그만큼 교황권이 무소불위의 절정기에 도달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젤라시오 2세 교황에 대해 주교회의에서 주교들이 이 칭호를 사용해 언급한 적이 있으나, 공식적인 교황의 칭호로써 사용을 확립한 이는 인노첸시오 3세가 처음이다.

인노첸시오 3세는 교묘한 배후조종과 파문을 번갈아 써가며 독일 정치에 개입해 자기 뜻대로 프리드리히 2세신성로마제국 황제로 만들었다. 프리드리히는 1212년 12월 9일 마인츠에서 대관식을 치르고 3년 뒤 아헨에서 다시 대관식을 치러 로마왕으로 인정 받았다.[1][2]

독일 왕권 분쟁만이 아니라 인노첸시오 3세는 리처드 1세의 동생인 존 왕에게도 간섭하여, 캔터베리 대주교의 서임을 둘러싼 논쟁 끝에 존 왕을 파문하고 프랑스 왕과 연합하여 전쟁에 자신이 없던 존 왕을 위협했다. 결국 존 왕은 인노첸시오 3세의 위협에 굴복해 잉글랜드 전체를 교황의 봉토로 바치고 이를 다시 수여받음으로써 스스로 교황의 봉신(封臣)이 되었으며, 봉신의 의무로 매년 1,000 파운드의 세금까지 납부하기로 약속해야 했다.[3]

군주들의 문제에 대한 개입 외에도, 인노첸시오 3세 시대에는 신앙적으로 중요한 일이 많았다. 남프랑스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한 새로운 신앙운동은 정통 교회를 거부[4]하여 위협으로 인식되었고, 결국 인노첸시오 3세는 1208년 교황 사절 피살 사건을 계기로 소위 '알비 십자군'을 결성해 남프랑스의 반(反)교황 세력인 카타리파를 처단하였다. 그러면서도 인노첸시오 3세는 교회 자정(自淨)의 필요성도 인식, 1210년 아시시의 프란치스코가 창설한 프란치스코 수도회를 인준하고 순회 설교의 권리도 인정하여 어느 정도 교회의 자정을 위한 노력도 실시하였다. 도미니코 수도회, 프란치스코 수도회가 이 때 허가되었다.

더하여, 가톨릭 교회에서 로마를 중심으로 전례 규정을 통일하는 관습이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인노첸시오 3세의 강력한 후광 덕분에 13세기를 지나면서 로마에서 유효한 것은 거의 법적인 성질을 지닌다는 생각이 확산되었으며, 인노첸시오 3세가 교황에 오르기 전 부제급 추기경 시절에 작성한 논고들도 13세기의 모든 전례학자들에게 받아들여졌다.[5] [6]

한편 1215년 인노첸시오 3세는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를 열어 교회 개혁과 신앙 및 윤리 문제, 새로운 신성 로마 황제인 프리드리히 2세에 대한 승인, 탈선해 버린 제4차 십자군을 대신한 새로운 십자군 운동의 계획 등을 논의하였다.[7] 라테라노 공의회는 중세 최대의 공의회로 1,200여 명의 주교, 수도원장, 사제들이 참석했다.

이 외에 인노첸시오 3세 때의 유명한 사건은 제4차 십자군의 탈선이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주도한 제4차 십자군은 같은 그리스도교 국가인 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고 약탈한 뒤 라틴 제국을 세우는 것(1204)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리스 교회를 무력으로 짓밟아 굴복시킨 뒤 콘스탄티노플에 라틴인의 교회가 세워졌기에 그리스인들의 증오심은 대단했으나, 인노첸시오 3세는 어쨌든 동서방 교회의 일치가 이루어졌다고 자평했다. 교황 스스로 말하길 "콘스탄티노플이 좀 더 빨리 라틴인의 손에 들어 왔다면 성지(聖地)가 짓밟히는 일도 없었을 것"이라 했다고 한다.[8] 다만 당시 교황이 전해들은 사실은 콘스탄티노플이 로마에 굴복했다는 소식 정도였고, 엔리코 단돌로가 사망하고 나서 콘스탄티노플에서 실제로 있었던 일을 전해들은 이후에는 '파멸의 한 사례에 불과하며 지옥의 과업'이라는 평가로 수정했다.

라테라노 공의회를 끝낸 뒤 교황은 1216년 7월 16일, 새로운 십자군 원정에 대한 조율을 위해 머물던 페루자에서 사망하였다. 시신은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4. 기타[편집]


결투 재판을 금했다.

현 벨기에 출신의 성녀 루트가르다에 의하면 사망 직후 연옥에서 고통받는 것을 봤다고 한다. 지옥에 갈뻔한 세가지 이유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대충 짐작은 가지만

4차 십자군 때문인지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하는 대체역사물에선 베네치아와 같이 쌍으로 좋은 대우를 못 받는다. 그나마 진실을 전해 듣곤 4차 십자군을 지옥의 과업으로 평한 덕인지 그나마 대놓고 멸망은 안 당하지만 권위가 제대로 실추되는 경우가 많다.


[1] 신성로마제국 황제의 제관은 인노센시오 사망 후인 1220년 11월 22일에 그의 후임 호노리오 3세로부터 정식으로 받게 된다.[2] 어릴 때부터 후견인 자격으로 프리드리히를 '보호'하고 마침내 황제로까지 만들어 주었으니, 인노첸시오 3세는 이제 신성로마제국의 거대한 판도도 교황의 발아래 있다고 생각했을 테지만, 그가 사망한 뒤의 상황은 정반대로 진행되어 교황과 황제의 갈등이 격화되었다.[3] 이런 상황에 분노한 잉글랜드 귀족들이 일으킨 반란의 결과가 바로 1215년 마그나 카르타의 체결이다. 한편, 이렇게 당한 전례가 있어 이후의 잉글랜드 왕들은 교황을 의도적으로 무시하게 된다.[4] 카타리파영지주의를 주장하여 육신은 사악한 것이며 세상을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구조로 보았는데, 이는 그리스도교보다 마니교에 가까웠다. 비슷한 주장을 한 정교회의 이단 교파가 9세기의 바오로파 및 카타리파와 같은 시기에 활동한 보고밀파 였다.[5] 이 책은 주로 색과 상징에 관해서 논하고 있긴 하지만, 그의 논고 <거룩한 제단의 신비에 대해서>나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다면 미셀 파스투로, 주나미 역, <서양중세상징사>의 169페이지를 참고하면 좋다.[6] 13세기에 이루어진 전례 통일화 규범은 아비뇽 유수 시대에 후퇴하게 되는데, 그것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전례에 대해 논의하고 <로마 미사 경본(Missale Romanum)>이 나온다(1570). 정확히 로마의 규범이 각 지역에서 받아들여진 것은 이 책이 나온 이후이고, 13세기의 전례 통일화는 그러한 규범이나 규칙이 생긴 것이 아니라 각 지역에서 받아들여지던 경향성의 시작이라는 의미이다.[7] 새로운 십자군 원정 계획은 1217년 결실을 보아 명목상 예루살렘 왕인 장 드 브리엔의 지휘하에 1218년 시작되었지만 이집트 공략에 실패하여 좌절되었다.[8] 호르스트 푸어만,『교황의 역사 : 베드로부터 베네딕토 16세까지』 161쪽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