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튼콜(드라마)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6E6D6D><tablecolor=#1d1d1d><bgcolor=#ffffff,#1f2023> 2021~2025 ||
||<width=25%> 파일:달이뜨는강_로고.png
(2021) ||<width=25%> 파일:오월의청춘로고ver.1.png
(2021) || 파일:멀리서 보면 푸른 봄 로고.png
(2021) ||<width=25%> 파일:경찰수업 로고.png
(2021) ||
||<bgcolor=#e0ffdb,#3b5a3b> 파일:연모 로고.png
(2021) || 파일:꽃 피면 달 생각하고 로고.png
(2021~2022) || 크레이지 러브
(2022) || 붉은 단심
(2022) ||
||<-4> ||
||<-4><bgcolor=#FFFFFF,#1F2023>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KBS 2TV 월화 드라마
커튼콜 (2022)
Curtain call
파일:커튼콜(드라마) 3인 포스터.jpg
장르로맨스, 가족, 휴먼, 드라마
방송 시간월 · 화 / 오후 09:50 ~
방송 기간2022년 10월 31일 ~ 2022년 12월 27일
방송 횟수16부작
제작사빅토리콘텐츠
채널KBS 2TV
제작진연출윤상호
극본조성걸[1]
[ 펼치기 · 접기 ]
제작조윤정
촬영정태근, 정우용, 전성우
미술임병철
음악김수현, 김우정, 양채은, 원예나, 천민정

출연강하늘, 하지원, 고두심, 권상우, 성동일, 정지소
스트리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wavve | 쿠팡플레이

파일:세계 지도.svg : 프라임 비디오
시청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언어)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KBS Dram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KBS 한국방송

1. 개요
2. 기획의도
3. 마케팅
3.1. 예고편
3.2. 포스터
3.3. 메이킹
5. 방영 목록 및 시청률
7. 평가
8. 수상
9. 여담



1. 개요[편집]


인생을 바꿀 크고 아름다운 무대에서

시한부 할머니의 소원을 이루어주기 위한 전대미문의 특명을 받은 한 남자의 지상 최대 사기극에 얽힌 사람들의 이야기
2022년 10월 31일부터 2022년 12월 27일까지《법대로 사랑하라》 후속으로 방영된 KBS2 월화 드라마.


2. 기획의도[편집]


파일:커튼콜(드라마) 이미지.jpg
나무처럼 올곧게, 자신의 모든 것을 주는 존재가 있을까?
나무는 태어나며 죽을 때 까지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 한다.
엄청나게 빠르고 고도화 된 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각각 자신의 이익만을 향해 달린다.
조금 더 많은 돈, 조금 더 편한 삶을 위해 타인을 배제하거나, 해친다.
더 이상 자신을 희생하는 일은 그리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나무처럼 한 곳을 지키는 존재가 되긴 쉽지 않다.
여기, 한국의 격동기를 거쳐온 한 여자가 있다.
그 격동기 속에서도 자신의 마음과, 일,남을 위한 사랑까지 놓치지 않은. 그 여자의 생이 이제 꺼져간다.
평생 자신이 일구어 놓은 단 하나의 <낙원> 을 남겨 놓은 채로.
그녀가 만든 <낙원> 에 삶을 꾸린 사람들이 있다.
그 낙원을 빼앗길 운명에 놓인 사람들이, <낙원>을 만든 사람과 그녀의 소명을 지키기 위해 고군 분투한다.
그 과정 속에서 어떤 이들은 타인을 위해 기꺼이 희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누군가에게 살면서 누군가의 안식처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당신에게 한 그루의 나무가 될 이유,
그리고 진정한 <낙원> 을 보여 줄 한 편의 큰 연극이 이제 막을 올린다!
파일:커튼콜(드라마) 로고 화이트.png 공식 홈페이지


3. 마케팅[편집]


PPL(간접광고) 및 제작지원 관련 마케팅 총괄 담당.
(주)피아미디어그룹 http://www.fiamg.co.kr/

3.1. 예고편[편집]


1차 티저2차 티저
3차 티저하이라이트


3.2. 포스터[편집]


파일:커튼콜 커플 포스터.jpg
파일:커튼콜(드라마) 3인 포스터.jpg
커플 포스터3인 포스터
파일:커튼콜(드라마) 개인 포스터 유재헌.jpg
파일:커튼콜(드라마) 개인 포스터 박세연.jpg
캐릭터 포스터
파일:커튼콜(드라마) 단체 포스터.jpg
단체 포스터


3.3. 메이킹[편집]


파일:커튼콜(드라마) 로고 화이트.png 메이킹
[ 펼치기 · 접기 ]
회차제목링크
포스터 촬영우아하고 청량하고 장꾸스럽고 따뜻하다! 혼자 다~ 해 먹는 포스터 촬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4. 등장인물[편집]


파일:커튼콜(드라마) 로고 화이트.png 인물관계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커튼콜(드라마) 인물관계도.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커튼콜(드라마)/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방영 목록 및 시청률[편집]


회차방영일시청률(%)비고
전국수도권
1회2022.10.31.7.27.2
2회2022.11.01.3.13.1[2]
3회2022.11.07.5.65.4
4회2022.11.08.6.05.5
5회2022.11.14.4.74.2
6회2022.11.15.5.65.3
7회2022.11.22.4.33.9[3]
8회2022.11.29.4.34.0[4]
9회2022.12.05.4.24.0
10회2022.12.06.5.45.2
11회2022.12.12.5.55.4
12회2022.12.13.6.15.9
13회2022.12.19.4.65.0
14회2022.12.20.5.25.1
15회2022.12.26.5.35.1
16회2022.12.27.5.75.0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단위 %.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 2회는 2022 KBO 한국시리즈 1차전 중계로 1시간 늦춰 방영한 탓인지 절반 이상이 깎였다. 이후로도 전작과 마찬가지로 좀처럼 치고 올라가지 못해 답보 상태인데 월드컵으로 인한 결방까지 겹치게 되었다. 첫 방송에서 경쟁작들의 결방으로 반사이익을 얻고 이후 부진한다는 점에서 전작과 판박이다.

  • 경쟁작인 치얼업보다는 앞서지만 이는 치얼업 역시 한국시리즈와 월드컵 중계로 인한 잦은 결방으로 시청층을 사로잡지못한데다 후반부 전개에서 무리수를 두면서 2%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오히려 화제성과 유튜브 조회수는 밀리는 편이다. 젊은 층에 어필하던 치얼업은 작품이나 배우는 화제성 순위에 꾸준히 올라오는 반면 커튼콜은 순위권에도 올라오지 못하고 있다. 치얼업 종영 후 그 후속작 트롤리 첫 방영에서 시청률을 따라잡혔으나 트롤리가 이후 크게 치고 나가지못하고 꾸준히 하락하면서 마지막회에는 2%의 격차를 유지한 채로 끝냈다.

  • 전작과 마찬가지로 첫회만 최고 시청률로 끝났으며 막방 버프도 별로 받지 못했다. 다만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유지하기는 했다.


6. OST[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커튼콜(드라마)/OST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커튼콜(드라마) 로고 화이트.png OST
파트표지발매일곡명아티스트링크
Part 1
파일:커튼콜(드라마) OST Part 1.jpg
2022.10.31.오지 않는 사람아백지영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2
파일:커튼콜(드라마) OST Part 2.jpg
2022.11.01.민들레야조수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3
파일:커튼콜(드라마) OST Part 3.jpg
2022.11.07.그래 사랑이야송유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4
파일:커튼콜(드라마) OST Part 4.jpg
2022.11.08.너는 바다김나영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5
파일:커튼콜(드라마) OST Part 5.jpg
2022.11.14.오랫동안성시경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6
파일:커튼콜(드라마) OST Part 6.jpg
2022.11.22.사랑하면 안 되는 사람임한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7
파일:커튼콜(드라마) OST Part 7.jpg
2022.12.05.Stand By Your Side이수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8
파일:커튼콜(드라마) OST Part 8.jpg
2022.12.06.사랑이란 게노틸러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9
파일:커튼콜(드라마) OST Part 9.jpg
2022.12.12.사랑이 피어나한승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10
파일:커튼콜(드라마) OST Part 10.jpg
2022.12.19.정지소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 실로 방송국에서 돈을 썼다라 표현할 정도로 호화 캐스팅인데다가, 주조연 모두 연기력 출중한 배우들이 대거 출연했다. 덕분에 방송에 대한 몰입감은 좋았지만, 지나치게 올드한 스토리와 연출 때문에 시청률과 화제성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한 채 종영되었다.

  • 비슷한 시기 용두사미로 끝난 드라마가 워낙 많았던 만큼 스토리 상 큰 붕괴없이 무난하게 마무리를 지은 점은 호평받았다. 연출과 스토리는 아쉬웠어도 그 아쉬운 결과물을 배우들이 잘 커버해줬다는 평.

  • 다만 너무 과하게 OST를 깔아놔서 그런지 몰입에 방해된다는 의견도 종종 보이는 편이다.


8. 수상[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
2022년KBS 연기대상남자 최우수상강하늘
여자 최우수상하지원
남자 조연상성동일
여자 신인상정지소
베스트 커플상강하늘 & 하지원
남자 인기상강하늘


9. 여담[편집]


  • 방영하는 시기에 카타르 월드컵이나 연말 시상식 등으로 인해 시간대 조정[5] 또는 결방 가능성이 있을 전망이다.

  • 고두심과 강하늘은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서 모자 관계로 나온 후 3년 만에 재회한다.

  • 하지원은 2006년 드라마 《황진이》 이후 16년 만에 KBS 드라마에 출연한다.

  • 권상우와 하지원은 2006년~2008년 뱅뱅 광고 동반출연 이후 15년 만에 재회했다.

  • 권상우와 황우슬혜는 2020년 영화 《히트맨》에서 부부로 호흡을 맞춘 바 있다.

  • 최대훈과 황우슬혜는 2019년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서 부부로 호흡을 맞춘 바 있다.[6]

  • 정지소는 2014년 드라마 《기황후》 에서 하지원의 아역으로 출연했던 인연이 있다.

  • 정지소와 장혜진은 2019년 영화 《기생충》 이후 같은 작품에서 재회했다. 정지소는 부잣집 딸 다혜, 장혜진은 가정부가 되는 충숙 역이었다.

  • 성동일과 정지소는 2020년 드라마 《방법》에서 서로 대립하는 상대역으로 출연했던 인연이 있다.

  • 당초 '나무는 서서 죽는다'라는 제목으로 알려졌는데, '커튼콜: 나무는 서서 죽는다'라고 부제로 붙었다가 최종적으로는 '커튼콜'이라는 제목으로 확정되었다. 하지만 포스터에는 '나무는 서서 죽는다' 부제도 함께 적혀 있었고, 1~8회까지는 부제가 적혀 있었으나 9회부터는 그냥 커튼콜만 남았다.



[1] 영화 《청년경찰》, 《히트맨》 등을 제작했다.[2] 2022 KBO 한국시리즈 1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해 23시부터 방송.[3] 11월 21일은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예선 B조 1차전 잉글랜드 : 이란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4] 11월 28일은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예선 H조 3차전 대한민국 : 가나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5] 22시 경기 직전 또는 종료 직후.[6] 두 인물의 캐릭터 모두 사랑의 불시착과 매우 흡사한 포지션이다. 주연 캐릭터들에게 우호적이며, 재벌가의 자식과 며느리인 것, 형제 중 한 명(윤세형, 박세준)이 여동생(윤세리, 박세연)과 사이가 안 좋다는 것, 출생의 비밀이 있는 형제(윤세리, 유재헌)가 있다는 것, 북한 사투리를 쓰는 캐릭터(리정혁, 유재헌, 자금순 등)가 있다는 것 등 전작의 윤세리 큰오빠 부부 캐릭터와 비슷하다. 조금 더 착해진 윤세준도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