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비아사

덤프버전 :




파일:콘비아사 로고 수정.svg
콘비아사
Línea Aérea Conviasa SA
Conviasa
부호콜사인 (CONVIASA)
IATA (V0) ICAO (VCV)
항공권 식별 번호308
설립 연도2004년
허브 공항시몬 볼리바르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23
취항지 수29
마일리지Infinito
항공 동맹미가입
링크파일:콘비아사 로고 수정.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취항지
4. 보유 기종
5. 사건 사고
6. 여담



1. 개요[편집]


베네수엘라의 국책 항공사.

2. 역사[편집]


1997년 기존 베네수엘라의 플래그 캐리어였던 비아사(Viasa)가 재정난으로 문을 닫은후 2001년부터 새로운 항공사가 계획되기 시작했다. 2004년, 대통령 우고 차베스의 허가를 받고 설립되었으며 동년 11월, DHC-7으로 운항을 시작했다. 2010년 ATR 42 추락사고로 한달여간 운항을 중지당했었으며 2012년에는 EU 취항금지 항공사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1]

하지만 2015년에 베네수엘라의 경제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2016년, 임금 미지불로 인해 조종사들이 80%가 퇴직하는 바람에 운항 노선이 20%가량 감소했으며 이듬해에는 콘비아사를 대신해 카라카스-마드리드간의 노선을 비행했던 스페인의 와모스 항공이 계약을 해지했다. 또한 보험금을 지불할 외화가 부족해 국제선 운항을 중단했다.[2]

2018년 니콜라스 마두로가 부정선거로 대통령직을 연임하자 여당의 후보 후안 과이도가 과도 정부를 선포함으로써 2019년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가 시작되었다. 그러던 2019년 1월 13일, 도널드 트럼프가 괴이도의 정부를 공식 정부로 인정하자 마두로가 미국과의 단교를 선언했다. 이로인해 베네수엘라-미국간의 비행편이 모두 중단되었다. 2020년, 미국의 해외자산통제국(미국 재무부 산하)이 콘비아사를 특별지정제재대상으로 지목하며 콘비아사는 서방제 비행기들의 부품 수입이 막히게 되었다.

3. 취항지[편집]


중남미
아르헨티나부에노스 아이레스
볼리비아산타크루스데라시에라
칠레산티아고
쿠바아바나
도미니카 공화국산토도밍고
에콰도르괴야킬 · 키토
멕시코칸쿤 · 멕시코시티 · 톨루카
니카라과마나과(포커스 시티)
파나마파나마시티
베네수엘라바르셀로나 · 바리나스 · 바르키시메토 · 카니이마 · 카라카스(허브) · 카루파노 · 시우다드과야나 · 쿠마나 · 엘비지아 · 그란로크 · 라프리아 · 푼토피조 · 마라카이보 · 마투린 · 폴라마르 · 산토도밍고 · 발렌시아
유럽
러시아모스크바
스페인마드리드
아시아
이란테헤란 이맘 호메이니 국제공항
카타르도하 하마드 국제공항 (22.11.21. 운항 시작)
중국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22.06.30. 운항 시작)

4. 보유 기종[편집]


제작사기종보유 대수비고
에어버스ACJ319-1001베네수엘라 정부 전용기
A340-2001
A340-3001
A340-6003
ATRATR 421
엠브라에르ERJ-19016
리니지 10001베네수엘라 정부 전용기

5. 사건 사고[편집]


  • 2008년 콘비아사 보잉 737 추락 사고
  • 콘비아사 2350편 추락 사고


6. 여담[편집]


친북 국가 베네수엘라의 국책항공사이므로 북한이탈주민은 이 항공사를 이용하지 않을 것을 강력하게 권장한다. 자세한 사유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의 이 문단을 필독할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00:07:51에 나무위키 콘비아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3년 EU 취항금지 항공사 명단에서 제외되었다.[2] 대부분의 국제선 노선은 2019년 재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