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 우크라이나 전역

덤프버전 :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3년 6월 8일부터 치르고 있는 전투에 대한 내용은 오리히우 전투 문서
{{{#!html </div>의 오리히우 전투번 문단을
오리히우 전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3년 6월 23일부터 치르고 있는 전투에 대한 내용은 크린키 전투 문서
{{{#!html </div>의 크린키 전투번 문단을
크린키 전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펼치기 · 접기 ]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전투크림 최고 라다 점령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친러 미승인국도네츠크 · 루간스크 · 하리코프 · 오데사
돈바스 전쟁
경과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전선도네츠크아르테미우스크 전투[우] · 슬로뱐스크 포위전[우] · 마리우폴 전투[우]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우]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러] · 일로바이스크 전투[러] · 데발체베 전투[러] · 아우디이우카 전투[우]
루한스크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러]
반응조지아 민족군단 · 전술그룹 벨라루스 · 성 스테파노 군단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요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경과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전선동부동부 우크라이나 공세[진] (하르키우 전투[우] 이지움 전투[우] 스타로빌스크 전투[러] 스바토베 전투[러]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진] 크레민나 전투[러] 세베로도네츠크 전투[러]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우] 슬로뱐스크 전투[우] 리만 전투[우] 시베르스크 전투[우] 바흐무트 전투[러] 및 탈환전[진] 솔레다르 전투[러] 아우디우카 전투[진] 부흘레다르 전투[진] 리시찬스크 전투[러] 졸로테 전투[러] 포파스나 전투[러] 마린카 전투[러] 마리우폴 포위전[러]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진])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무승부]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진])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우]
남부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우] · 헤르손 공세[진] (헤르손 전투[우] 미콜라이우 전투[우] 드니프로강 공방전[진] 올레쉬키 전투[진]) · 자포리자 공세[진] (자포리자 전투[우] 멜리토폴 전투[러] 베르댠스크 전투[러] 에네르호다르 전투[러](자포리자 발전소 전투[러]) 오리히우 전투[진]) · 오데사 상륙전[우]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진] · 2023 우크라이나 대반격[러]
북부[우]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 · 흘루히우 전투 · 쇼스트카 전투) · 체르니히우 전투 · 체르노빌 전투 · 키이우 전투 (호스토멜 공항 전투) · 수미 전투
특수작전 및 전투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U]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U] · 벨고로드 공습[U]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U] · 타간로크 공습[U] · 크림 대교 붕괴 사건[U] · 2023년 모스크바 공습(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미상]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미상])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항공우주군 공습[U](댜길레보 비행장 공격[U] · 엥겔스 비행장 공격[U] · 쿠르스크 공항 공격[U])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미상] · 크림 대교 2차 붕괴 사건[U]
전쟁범죄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흐로자 공습
경제제재와 영향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반응전쟁 당사국 지지국제기구 · 러시아 지지 · 우크라이나 지지 (유럽 · 아시아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중립
상징Z · 백청백기 · 백록백기
인터넷 밈키이우의 유령 · 테크노 하우스 전투 · 아조우짱 · 성 재블린
의용군우크라이나 국제군단(자유 러시아 군단)· 워스태시 · 카이사르 · 데니스 카푸스틴
민간군사기업바그너 그룹(바그너 그룹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입) · 모차르트 그룹 · 상트 안드레이 십자가 · 애국자
무기 지원무기대여법(렌드리스) · 푸틴을 위한 선물 (빅토르 방공시스템) · 우크라이나 민간 스타트업(트렘비타)
러시아의 대응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헤르손 인민공화국 ·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 군민정청(헤르손[A] · 자포로지예[A] · 하리코프[B] · 니콜라예프[B]) ·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 바그너 선
사건 사고64km 돈좌 · 러시아 재벌 의문사 사건 · 데니스 키리예우 처형 사건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 · 2022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사건 ·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공습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암살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경과) ·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
기타알렉산드르 두긴 · 이고르 기르킨 ·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 크림 공화국 · 2022년 나토 마드리드 정상회의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탈나치화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 UEFA 유로 2024/예선(C조) · Ukraine War Stories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전쟁의 현재 진행 상황은 경과/23년 11월 문서의 오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 각주 ]
[각주]
[우]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우크라이나군의 승리[러]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친러 반군/러시아군의 승리[진] A B C D E F G H I J K L M 전투 진행 중[무승부] 승부 없음[U] A B C D E F G H I J K 우크라이나군의 공격[미상] A B C 공격 주체 알 수 없음[BLR] 벨라루스 파르티잔 공격[A] 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 러시아 연방에 편입된 군민정청[B] 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당시 독립적인 주로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지 않은 군민정청


남부 우크라이나 전역
Боевые действия на юге Украины
Південний театр воєнних дій російсько-української війни
Southern Southern Ukraine campaign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2022년 2월 24일 ~ 진행 중
장소
교전국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지휘관
불명파일:러시아 국기.svg 미하일 주스코[1]
병력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불명
파일:러시아 국기.svg
불명
결과
러시아군의 후퇴 및 우크라이나군의 반격 진행 중
영향
우크라이나의 드니프로강 서안 탈환
러시아의 헤르손 상실
피해규모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전사자 3명 이상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상

1. 개요
2. 배경
3. 전개
3.1. 2월 24일
3.2. 2월 25일
3.3. 2월 26일
3.4. 2월 27일
3.5. 3월 1일
3.6. 3월 2일
3.7. 3월 3일
3.8. 3월 4일
3.9. 3월 7일
3.10. 3월 18일
3.11. 4월 14일
3.12. 11월 10일
3.13. 11월 11일
3.14. 11월 12일
3.15. 러시아군의 드니프로 서안 철수 이후
3.16. 2023년 6월 26일
4. 평가
5. 주요 전투



1. 개요[편집]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중 러시아군의 침공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남부 지역에서 진행 중인 공세이다. 그 과정에서 헤르손 전투, 멜리토폴 전투, 에네르호다르 전투, 베르댠스크 전투가 일어났다. 2월 27일 시점에서 3개 전선[2] 중 러시아군이 가장 성과를 올리고 있는 공세였다.

그러나 3월 2일을 기점으로 헤르손을 점령한 시점까지는 러시아가 선전했으나 3월 18일부터 우크라이나가 반격하기 시작해서 4월에 들어서자 6월 시점에서 전선은 미콜라이우와 헤르손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11월 이후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시를 함락하였다.

2023년 현재는 자포리자주 위주로 치열한 전투가 펼쳐지고 있다.


2. 배경[편집]


남부 헤르손 방면의 전투가 수도 키이우나 제2도시 하르키우만큼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이곳에서 러시아군이 승리를 거두고 공세를 이어가 마리우폴까지 점령하면 우크라이나 남부와 동부의 러시아 전선이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헤르손 공세가 성공하여 우크라이나군의 남부 방어선이 무너지면 마리우폴 방면의 우크라이나군은 급격히 열세에 몰려 마리우폴 전투 역시 러시아군의 승리로 끝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는 키이우 전투와 하르키우 전투에도 큰 영향을 줄 공산이 크다. 최악의 경우 우크라이나군의 동부, 남부 전력이 붕괴하여 러시아군의 공세가 남북에서 키이우와 하르키우로 집중되고 우크라이나가 드니프로강 동부 지역을 모두 상실할 수도 있다.

게다가 우크라이나군이 해당 지역을 탈환하면 크림반도의 러시아군을 견제하여 하르키우의 안전을 도모 후 크림 반도 탈환을 준비하거나 동부 전선에 집중할 수 있다.#

4월 들어서 우크라이나의 반격이 거세지고 있으나 5월 들어 러시아가 일부 점령지를 수복하고 교착 상태를 만들었기에 승리 가능성은 반반이라 할 수 있다. 러시아군은 우선 돈바스 전역에 집중하고 있기에 그곳에서 승기를 잡은 후에 다시 미콜라이우 공세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돈바스 전역에서 우크라이나군이 얼마나 버티냐에 따라 헤르손 공세의 결과 역시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7월 이후, 우크라이나 총참모부에서는 지속적으로 헤르손 공세에 관한 소식을 언론에 알렸고, 7월 말에는 인홀레츠 강을 도하하여 교두보를 마련했다. 이에 러시아군은 동부군관구 소속 35/36 제병협동군, 흑해함대 소속 육군 22군단, 남부군관구 소속 49제병협동군, 공수군 소속 76근위공중강습사단, 러시아 국가근위대(내무군) 등 다수의 부대가 파견되었다.

8월 중순부터, 우크라이나군은 남부 전선 양측 접촉선 세 방향에서 공세에 나섰고, 이와 함께 안토니우스키, 노바 카호우카의 전략적 핵심교량을 타격하기 시작하면서 러시아군 입장에서는 드니프로강을 건너는 운송에 차질을 빚기 시작했다. 러시아군은 폰툰 부교와 헬기(Mi-8, Mi-28, Ka-52), 바지선 등을 이용해 수송을 시도하는 중이다. 이후 올렉산드리브카-비소코필리아를 탈환하여 키셀리브카까지 조금씩 전진하는 우크라이나군과 이를 저지하려는 러시아군과의 교전이 9월까지 이어지던 중 동부전선에서 러시아가 예상치 못한 대규모 전투가 시작되었다. 이후 10월 4일부터 헤르손 북동쪽에서도 공세가 일어나며 러시아군이 후퇴하고 있다.

11월 10일, 러시아 국방장관이 헤르손에서 철수를 명령하여 러시아군의 후퇴가 개시됐으며, 스리니후카가 탈환되고 헤르손 시내로 우크라이나군이 전진하고 있다.

헤르손주 일대를 우크라이나가 탈환한 이후인 2023년 현재는 자포리자주를 중심으로 접전이 펼쳐지고 있다.


3. 전개[편집]



3.1. 2월 24일[편집]


헤르손 전투가 일어났다.


3.2. 2월 25일[편집]


러시아군이 자포리자 주 제2의 도시인 멜리토폴을 점령했다.[3]

그리고 에네르호다르에 위치한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했다.

3.3. 2월 26일[편집]


헤르손 지역 헤니체스크에서 러시아군 기갑부대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해 교각에 폭약을 설치하던 우크라이나군 공병 비탈리 스카쿤자폭했다. 비탈리는 이 임무에 자원했으며, 본래는 폭약 설치 후 빠져나와야 했지만 러시아군이 너무 빠르게 진격해와 탈출할 여력도 없어지자 교각과 운명을 같이했다고 한다.##

현지시각 18시 30분, 헤르손 방면에서 서진한 러시아군 전차가 미콜라이우[4] 근교로 들어왔고 비탈리 킴 주지사는 시민들에게 집에 머무르며 창가에서 떨어지라고 명령했다.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전차는 도시를 통과했다고 한다. 헤르손·미콜라이우 방면으로 진출한 러시아 군세는 일단 격퇴된 것으로 보이며, 헤르손에서 드니프로강을 사이에 두고 격전중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멜리토폴 방면에서 동진한 러시아군은 마리우폴을 향해 진격하고 있으며, 베르댠스크 공항을 점령하고 아조프 해에 면한 항구도시인 베르댠스크 시를 포위했다.

한편 크림 반도에서 북진한 러시아군이 드니프로 강에 맞닿은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5][6] 근처에 진입했다고 우크라이나 당국이 발표했다.#


3.4. 2월 27일[편집]


러시아군이 현지시각 15시 50분 베르댠스크에 진입, 20시에 시청을 점령했다.#


3.5. 3월 1일[편집]


멜리토폴 전투에서 러시아군이 승리를 거둠으로써 멜리토폴을 러시아군이 점령하였다.


3.6. 3월 2일[편집]


헤르손 전투에서 러시아군이 승리했다. 동진한 러시아군은 돈바스 방면의 반군과 합세, 마리우폴을 포위했다.


3.7. 3월 3일[편집]


폴로기를 러시아군이 점령하였다.


3.8. 3월 4일[편집]


러시아군이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에 포격을 가한 후 발전소를 점령했다. 다행히 방사능 수치에는 별 이상이 없다.#

그리고 자포리자 주의 에네르호다르를 러시아군이 점령하였다.


3.9. 3월 7일[편집]


바실리옙카를 러시아군이 점령하였다.


3.10. 3월 18일[편집]


헤르손 근처 코미샤니 주변에서 격렬한 전투가 발생했다.#


3.11. 4월 14일[편집]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 남쪽 마을에 공수작전을 시행했다고 밝혔다.


3.12. 11월 10일[편집]


  • 러시아군에 드니프로강 서안 헤르손에서 철수하라는 명령이 하달되었다.#####
  • 우크라이나의 대규모 반격이 개시되었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보로젠스케(Борозенське)를 탈환했다고 한다.## 주변 마을인 브루스킨스케(Брускинське)를 탈환한 것이 확인되었으니, 보로젠스케도 탈환했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 [{{{#2f854e,#8bcb98 검증됨}}}]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상장은 헤르손 전선에서 24시간 동안 두 방향으로 7km를 전진하고 12개 정착지를 점령했다고 밝혔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키셀리우카(Киселівка)를 탈환했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파울리우카(Павлівка)를 탈환했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스타니슬라우(Станіслав)를 탈환했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미콜라이우주 예우헤니우카(Євгенівка) 및 헤르손주 보브로비쿠트(Бобровий Кут)를 탈환했다.##
  • 우크라이나 경찰은 헤르손주에서 민간인 살해 및 파괴, 약탈 범죄에 대해 정보를 수집 중이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치칼로베(Чкалове)를 탈환했다.##


3.13. 11월 11일[편집]


파일:11일 헤르손.jpg
11.11. 기준 헤르손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이 드니프로강을 건너 철수하면서 우크라이군은 헤르손주에서 지난 하루 동안 빠르게 진격했다.
  • 지난 24시간 동안 수십 개의 정착지가 해방되었는데, 특히 지난 8개월 동안 헤르손시 북부 러시아군의 거점이었던 스니후리우카가 가장 눈에 띈다.
  • 이름이 표기된 지역은 서쪽부터 스타니슬라우, 미롤류비우카, 키셀리우카, 블라호다트네, 스니후리우카, 타마리네, 브루스킨스케, 보로젠스케, 노보카이리, 밀로베[7]이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밀로베(Милове)를 탈환했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미콜라이우주 타마리네(Тамарине)를 탈환했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미롤류비우카(Миролюбівка)를 탈환했다.##
  • 러시아군이 헤르손시의 TV탑과 보일러실, 변전 시설을 폭파했다고 한다.####
  • [검증 필요] 우크라이나군 제28기계화여단이 헤르손시에 접근 중이라고 한다.#
  • 헤르손주 카호우카(Каховка) 지역에서 폭발이 발생했다.##
    • 헤르손주 오브리우카(Обривка) 마을에서 폭발이 발생했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퍄티핫키(П'ятихатки), 쿠체르스케(Кучерське)를 탈환했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스타리차(Стариця)를 탈환했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카치카리우카(Качкарівка)를 탈환했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의 위성도시 초르노바이우카(Чорнобаївка)를 탈환하고 헤르손 국제공항도 탈환했다.##라이브맵 반영 지도
  • [검증 필요]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시를 완전히 포위했다고 한다.##
  • [{{{#2f854e,#8bcb98 검증됨}}}] 우크라이나군이 헤르손주 시차슬리베(Щасливе)를 탈환했다.###
  • 러시아군 방공 부대가 헤르손에서 철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 우크라이나군이 안토니우카(Антонівка) 지역에 정밀타격을 가하고, 카호우카 댐에서 폭발이 발생했다고 한다.###


3.14. 11월 12일[편집]


  •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약 8개월 동안 점령하고 있던 헤르손을 비롯해 베리슬라우 등 여러 곳들을 탈환했다.
  • 러시아군은 드니포로강 서안 점령지에서 모두 철수했다.


3.15. 러시아군의 드니프로 서안 철수 이후[편집]


2022년 12월 내내 우크라이나군은 도하 작전을 시도하지 않고 전선이 정체되었다. 킨부른 반도에 상륙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지만, 추가 소식은 들려오지 않았다.
이후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의 서안과 동안 사이의 미사일, 드론, 사보타주 공격과 드니프로강과 강 위의 섬에서 벌어지는 전투는 드니프로강 공방전 참조


3.16. 2023년 6월 26일[편집]


우크라이나가 안토니우카 방면에서 드니프로강을 도하하여 강 건너 올레쉬키앞까지 진출했다. # 하지만 곧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최초 상륙지점인 모래톱 뒤편으로 밀려났고 이후에는 소강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4. 평가[편집]



5. 주요 전투[편집]



[1] 제58제병협동군 사령관.[2] 키이우가 포함된 북부, 하르키우를 비롯한 동부, 헤르손을 비롯한 남부[3] 일부 언론사에서는 우크라이나 제2의 도시로 오보하였다. 우크라이나의 진짜 제2의 도시는 하르키우.[4] 러시아어로는 니콜라예프.[5] 흔한 원자력 발전소 1이 아니라 세계 제9위, 유럽 최대 규모의 원자력 발전소다. 우크라이나 전력의 1/5 이상을 공급한다.[6] 우크라이나의 원자력 발전소 의존 비중이 50%가 넘어가니,(54%) 우크라이나의 원자력 발전 40%를 차지하는 셈이다.[7] 영문 철자가 Mylove라 하트(♥)로 표기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11월 문서의 r6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자포리자 공세 문서의 r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자포리자 공세 문서의 r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0 18:05:35에 나무위키 남부 우크라이나 전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