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수성3/수성3-1

덤프버전 : r

>
대구광역시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white 급행
ㆍ[[틀:대구광역시 순환버스|
순환
]]ㆍ[[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
간선
]]ㆍ[[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대구광역시 출근맞춤버스|

출근
]]ㆍ[[틀:군위군 마을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2187; font-size: 16px;"
군위
]]ㆍ[[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c; font-size: 16px;"
폐선]]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3번
기점대구광역시 동구 서호동(안심중학교)종점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반야월역)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
막차[평일, 토요일] 22:10 / [공휴일] 21:59막차-
평일배차15분주말배차16분
운수사명경북교통인가대수8대[1]
노선반야월역 - 율원초교 - 안심도서관 - 율하휴먼시아5단지 - 율하역[A] - 연호역[B] - (대공원역대구미술관 →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 TBC황금네거리 → 성동초교 → 국립대구박물관담티역) 이후 역순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수성3(-1)_노선도.jp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3-1번
기점대구광역시 동구 서호동(안심중학교)종점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반야월역)
종점행첫차05:34기점행첫차-
막차22:33막차-
평일배차15분주말배차17분
운수사명세진교통인가대수8대[1]
노선반야월역 - 율원초교 - 안심도서관 - 율하휴먼시아5단지 - 율하역[A] - 연호역[B] - (담티역 → 국립대구박물관 → 성동초교 → 황금네거리 → TBC →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 대구미술관 → 대공원역)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소
수성3 방향TBC, 율하역
수성3-1 방향황금네거리평일, 토요일, 성동초등학교공휴일, 구.남부정류장평일, 토요일, 율하선수촌2단지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이며 순환형 지선노선이다. 본선 운행거리는 31.8(수3)/31(수3-1)km.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바람. (수성3번, 수성3-1번)


3. 역사[편집]


  • 2015년 8월 1일 노선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으로, 사실상 604번의 단축판이다. 604번의 수성구(지산범물) 구간 ~ 대구미술관 ~ 범안대교 ~ 율하지구 ~ 동호공영차고지 구간을 갖고 왔다. 다만 예전에 다녔던 용학로 구간은 수성1/수성1-1번에 넘기고 지범로 직통으로 변경됐으며, 수성못(두산동주민센터)이 아닌 황금동(캐슬골드파크)으로 간다는 점에서 완전히 구간을 물려받은 것은 두산오거리 이후 구간 및 범안대교를 지난다는 것뿐이다. 율하지구에서는 경로가 조정되어 북구3번과 코스가 다르다. # 배차간격은 604번보다 약간 줄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4. 특징[편집]


  • 수성구 지역 중 범어(동부)권, 만촌권, 범물권 - 동구 반야월권을 연결하는 순환버스의 역할을 한다.


  • 노선이 변경된 수성1/수성1-1번용지역~지산네거리~두산오거리~황금네거리 구간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노선이 생김으로써 옛 814번[2]이 폐선된 후 9년만에 황금네거리에서 캐슬골드파크 방향으로 우회전하는 노선이 다시 생겼다.


  • 요금소 통과시 일부 차량은 하이패스 차로로 통과하기도 했었다. 이에 대해서 별 문제가 없는 듯했지만, 미납한 차량과 시내버스를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시내버스의 하이패스 차로 이용을 금지시키고 면제차로로 간다. 그러다가 2022년부터는 다시 하이패스 차로로 통과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하이패스 차로에도 '시내버스 통행가능'이라는 문구를 띄운 걸로 보아 다시 허가한 듯.

  • 수성3번과 수성3-1번, 모두 기사 교대는 동호공영차고지에서 실시한다.[3]

  • 경산시에 출입하지 않는 다른 노선들과 달리, 수성3번은 무슨 이유가 있는지 경산시에 출입하는 노선들이 정차하는 구.남부정류장건너2 정류장에 정차한다.

  • 수성3번은 달구벌대로에서 고모동입구 쪽으로 좌회전 차량이 매우 많이 밀려있을 경우 직진후 유턴하여 내려온 후 우회전하여 범안로로 진입하기도 한다. 물론 기사들에 따라 다르며, 일부는 3차선에서 좌회전해버리는 경우도 있다.

  • 관계삼거리부터 삼덕요금소까지, 고모역부터 율하근린공원(율하역)까지는 자동차전용도로 구간이지만 좌석버스가 아닌 입석버스로 운행하고 있으며 입석승객이 발생하더라도 태우는 것을 거부하지 않는다. 차내에 안전벨트도 없다.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3번
2016년2017년2018년2019년
2,347명2,396명2,287명2,220명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3-1번
2016년2017년2018년2019년
2,487명2,648명2,529명2,677명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27 07:21:51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수성3/수성3-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 B 공휴일 7대 운행[A] A B 반야월역 방면 정류소 이름은 율하근린공원건너[B] A B 정류소 이름은 오성아파트(범물동, 담티역 방면), 고모동입구(반야월역 방면)[2] 2006년 개편 이후의 814번과는 다른 노선이다. 동대구로를 완주하는 현재의 통합 814번이 개편 전에는 814-1번이었다. 구 814번은 왔다리갔다리하는 선형 때문에 공기수송이었다.[3] 수성3번과 같은 회사에서 운행하는 651번도 여기에서 기사 교대를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