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세종대학교/학부






1. 개요
2. 학과
2.1. 수학통계학과
2.2. 물리천문학과



1. 개요[편집]


파일:세종대학교 엠블럼.svg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College of Natural Science
}}}
학과
전공
수학통계학과
-
물리천문학과
-
화학과
교직

-

FM: 통일기수 자연과학대

연혁[1]
[ 펼치기 · 접기 ]
연도
단과대학
1964
수도여자사범대학(4년제) 이학부[1]
1967
수도여자사범대학 리학부문[2]
1970
수도여자사범대학 이학부[3]
1978
세종대학(4년제) 이학부[4]
1981
세종대학 이공계열[5]
1982
세종대학 자연계[6]
1987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7]
1996
세종대학교 이공대학[8]
1997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대학[9]
단과대학 평가
[ 펼치기 · 접기 ]
연도
평가기관
평가
2017
QS
세계대학평가 물리·천문학 국내 8위[1][2]
2021
QS
세계대학평가 물리·천문학 국내 8위·세계 301-350위권[3]
2022
THE
세계대학평가 자연과학 부문 국내 4위·세계 201-250위[4]
ARWU
세계대학 학술순위 물리학 국내 9-13위·세계 401-500위[5]
2023
QS
세계대학평가 물리·천문학 국내 8위·세계 251-300위[6]
THE
세계대학평가 자연과학 부문 국내 6위·세계 201-250위[7]
소개 영상
[ 펼치기 · 접기 ]

홈페이지 · SN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2. 학과[편집]



2.1. 수학통계학과[편집]


수학통계학과 Dept.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2]

학위명: 이학사

FM: 비상수통

연혁[3]
[ 펼치기 · 접기 ]
연도
학과
1987
세종대학교 수학과신설, 응용통계학과신설[1]
1995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부 (수학 전공), 전산·정보·응용통계학부 (응용통계 전공)[2]
1996
세종대학교 이학부 (응용수학 전공)[3]
1998
세종대학교 응용수학과[4]
2003
세종대학교 수리물리학부 (응용수학 전공)
2004
세종대학교 수학통계학부 (응용수학 전공)
2008
세종대학교 수학통계학부 (수학, 응용통계학 전공)
2022
세종대학교 수학통계학과
소개 영상
[ 펼치기 · 접기 ]

홈페이지 · SN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수학통계학과는 수학응용통계학에 대해 배우는 학과이다. 1학년 과정에서는 일변수미적분학, 다변수미적분학, 선형대수학1 과목을 통해 수학적 기초를 다진다. 또한 통계학1 과목을 통해 데이터 정리, 여러 가지 확률분포와 표본분포를 배운다.[4]

수학에 대해 심도 깊게 배우기 위해, 2학년 과정에서는 해석학개론1·2 과목을 통해 고전해석학의 기본 개념을 배운다. 또한 선형대수학2 과목을 통해 선형대수학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그뿐만 아니라 수치해석, 조합론, 확률론 등 여러 수학 이론을 배운다. 3학년 과정에서는 현대대수학1·2 과목을 통해 현대대수학의 기본체계 및 이론을 배운다. 또한 복소수해석학, 정수론 등 여러 과목을 통해 기존의 수학적 지식을 심화한다. 4학년 과정에서는 기존 과정에서 얻은 수학적 지식을 응용하여 보험수학, 위상수학 등 여러 분야의 수학을 배운다.[5]

수학을 바탕으로 통계이론과 컴퓨터를 이용한 통계기법[6]을 배우는 응용통계학에 대해 심도 깊게 공부하기 위해, 2학년 과정에서는 통계학2 과목을 통해 기초적인 통계학 개념과 통계패키지[7] 사용법을 배운다. 또한 확률론 과목을 통해 확률을 이해하고 응용한다. 그뿐만 아니라 선형대수학2, 미분방정식 등의 과목을 통해 통계학의 토대가 되는 수학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3학년 과정에서는 전산통계실습 과목을 통해 통계패키지와 관련된 컴퓨터 지식을 배우며, 회귀분석 과목을 통해 자료분석에 흔히 이용되는 통계기법을 배운다. 또한 수리통계학2 과목을 통해 기초통계학에서 배운 추정과 검정을 수학적으로 고찰하고 추가적인 통계학 개념을 배운다. 4학년 과정에서는 다변량통계분석, 시계열자료분석 등 심화된 통계이론들을 배운다.[8]


2.2. 물리천문학과[편집]


물리천문학과 Dept. of Physics and Astronomy

학위명: 이학사

FM: 무한물천

연혁[9]
[ 펼치기 · 접기 ]
연도
학과
1987
세종대학교 물리학과신설[1]
1995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부 (물리 전공)[2]
1996
세종대학교 이학부 (물리학 전공)[3]
1998
세종대학교 물리학과[4]
2003
세종대학교 수리물리학부 (물리학, 천문우주학 전공신설)
2003
세종대학교 수리물리학부 (물리학 전공), 지구천문학부 (천문우주학 전공)
2005
세종대학교 물리천문지구환경학부 (물리학, 천문우주학 전공)
2008
세종대학교 물리천문학부 (물리학, 천문우주학 전공)
2010
세종대학교 물리학과, 천문우주학과
2015
세종대학교 물리천문학과
소개 영상
[ 펼치기 · 접기 ]

홈페이지 · SN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물리천문학과는 물리학천문학을 배우는 학과이다. 국내의 학사 과정에서는 경북대, 경희대, 서울대, 세종대, 연세대, 충남대, 충북대에서만 천문학을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물리천문학과는 희소성이 높은 학과이다. 세종대 물리천문학과는 이론천문학, 관측천문학, 우주과학 세 가지 분류 중 관측천문학에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지만 우주론 및 외부은하천문학이 특화된 특이한 경우이다. 물리천문학과는 물리천문학과만의 전산실습실을 갖추고 있으며, 76cm 반사망원경[10], 40cm 반사망원경[11], 다수의 8인치 반사망원경·쌍안경, 6인치 쌍안경 등의 천체 관측 장비와 CCD, 광전측광계와 같은 광검출 장치를 보유하고 있다. 물리천문학과 학생들은 영실관 옥상에 있는 천문망원경을 사용하여 별을 관측한다.

2010년 개소한 물리천문학과 그래핀 연구소는 국내 최초 집단연구사업인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정부로부터 총 54억 원의 지원을 받았다.[12] 또한 2014년부터 물리천문학과가 SDSS[13]라는 우주 거대구조 연구 프로젝트의 준회원이 됨에 따라 SDSS로부터 국제 천문학계의 최상급 3차원 우주 지도 데이터를 공급받아 여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세종대의 경우는 오히려 관측천문학 강의들이 아닌 외부은하천문학의 영역이라 할 수 있는 은하천문학, 중력과 상대론, 현대우주론 강좌 등이 타 대학과 구분되는 특화 강의이다. 이뿐만 아니라 물리천문학과는 미국 국립천문대 산하의 WIYN observatory와 2016년 8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유효한 협정을 맺었다.[14]

물리천문학과 졸업자는 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정보통신 분야에 진출하고 있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포함한 전산물리트랙을 이수하여 금융모형분석과 같은 금융 분야로도 진출하고 있다. 또한 국립과학관, 한국과학문화재단, 과학교육 기자재 기업, 천문기기 기업 등 여러 천문학 및 과학 관련 공공기관과 기업에서도 근무하고 있다.

물리천문학과는 2010년부터 星지순례[15]라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星지순례는 물리천문학과 구성원들이 2박 3일 동안 함께 숙식하며 낮에는 천문대 견학 및 협동 활동을 하고 밤에는 소형망원경을 통해 천체를 관측하는 행사이다. 또한 물리천문학과에서 전통적으로 '별밤축제'라는 행사가 열리는데, 세종대학교 학생, 교직원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참여 가능한 행사이다. 보통 천문학과 관련된 행사를 진행하는데, 그 중 가장 눈에 띄는 행사는 플라네타리움이다. 플라네타리움은 큰 돔의 형태를 띄고 있는데 이 안에 들어가서 진행자가 기기를 조작하면 실제 우주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행사들이 준비되어 있다.


2.3. 화학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세종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화학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화학과 Dept. of Chemistry

학위명: 이학사

교직이수

FM: 우하화학

연혁[16]
[ 펼치기 · 접기 ]
연도
학과
1973
수도여자사범대학(4년제) 과학교육과신설[1]
1978
세종대학(4년제) 화학과[2]
1982
세종대학 이공계열 (화학과)[3]
1983
세종대학 화학과[4]
1987
세종대학교 화학과[5]
1995
세종대학교 자연과학부 (화학 전공)[6]
1996
세종대학교 이학부 (화학 전공)[7]
1998
세종대학교 화학과[8]
2001
세종대학교 응용화학과
2003
세종대학교 화학생물학부 (응용화학 전공)
2003
세종대학교 응용화학부 (응용화학 전공)
2004
세종대학교 화학생물학부 (응용화학 전공)
2007
세종대학교 화학생물학부 (화학 전공)
2008
세종대학교 화학환경학부 (화학 전공)
2009
세종대학교 화학과
홈페이지 · SN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4:59:48에 나무위키 세종대학교/학부/자연과학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2] 2017년도 세종요람에는 수학통계학과의 영문명이 Faculty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Faculty는 단과대학과 사실상 같은 개념이므로 자연과학대학에 속해 있는 수학통계학과의 영문명은 Dept.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로 표기되는 게 옳다.[3] 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4]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5]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6] 통계처리기법 및 통계분석기법[7] 통계패키지는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소프트웨어다.[8] 세종대학교 홈페이지 - 2017년도 세종요람[9] 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10] 76cm 반사망원경은 소백산 천문대로의 이전이 계획되어 있다.[11] 40cm 반사망원경은 곤지암 소재의 천문대에 설치되어 있다.[12] 이 사업을 주도한 홍석륜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2012년 75억 원 규모 나노소재 기술개발 사업의 총괄책임자로 선정됐다.[13] SSDS(Sloan Digital Sky Survey)는 지구에서 대략 30억 광년 이내의 우주를 측량하여 우주의 3차원 지도를 구축하는 세계 최대의 천문 프로젝트이다. 미국, 독일, 일본의 여러 대학과 기관 등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에선 세종대와 천문연, 고등과학원 세 곳이 참여 중에 있다.[14] 세종대학교 홍보실 - <특별기획> QS 세계대학평가 국내 TOP 10 진입! 세종대 5개 학과의 경쟁력 ④물리천문학과 - 전문성 갖춘 인재양성이 강점[15] 별 성(星)과 성지순례의 합성어[16] 2022년도 세종요람 - 연혁, 학사학위수여자현황